He 162

제2차 세계대전의 나치 독일군 항공기
전투기전투기Bf109, Fw190, He 100, He 112, Ta152
重전투기Bf110, Do335, Me210/410
야간 전투기Bf 110G, Do 217/N, Ta 154, He219 우후
제트기 / 로켓추진 전투기Ba 349, He 162, He 280, Me163 코메트, Me262
폭격기경폭격기 / 급강하폭격기Hs123, Hs 129, Ju87, Do 17
中폭격기He 111, Ju 88, Ar 234
重폭격기Do 19, Fw 200, He 177, He 277, Ju 89, Ju 188/388, Ju 390
수송기Ju 52, Ju 290, Me323 기간트, SM. 79, 융커스 G.38, Bv 222
정찰기Fw189 우후, Fi 156 슈토르히, Hs 126, Bf 108
프로토타입 및 페이퍼 플랜Ta183, Ho229, 리피쉬 Li P.04-106, Me 264, Ta 400, Me P.1092, Me P.1101
기타미스텔, V1, V2, Ar 96, BV238
유럽의 제트전투기 (프랑스 및 동구권 제외)
개발/도입년도영국스웨덴독일이탈리아유럽 합작
1940년대미티어 | 뱀파이어 | 어태커Me262 | He162
1950년대라이트닝 | 베놈 | 시빅슨 |
스위프트 | 자벨린 | 헌터 | 슈미터
J 21R | J 29 툰난 |
J 32 란센
피아트 G.91
1960년대호커 시들리 P.1154J35 드라켄EWR VJ 101SEPECAT 재규어
1970년대시해리어AJ37 비겐VFW VAK 191B토네이도
1980년대해리어 II람피리데
1990년대호크 Mk.200JAS39 그리펜
2000년대유로파이터 타이푼
2010년대
2020년대FS2020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He162_color010.jpg

Heinkel He 162 'Spatz'
Volksjäger (People's Fighter - 국민전투기)

운용과 퇴역
초도비행1944년 12월 6일
도입1945년
퇴역1945년
제원

He 162 A-1/2

분류 : 단발단좌 터보제트 전투기
전폭 : 7.20m
전장 : 9.05m(피토관 포함시 9650mm)
전고 : 2.60mm
주익면적 : 11.16㎡
익면하중 : 265Kg/㎡
중량 : 동체자중 1663Kg, 무장시 2805kg
엔진 : BMW 003E-1/2 축류식 터보제트 엔진, 정지추력 800kg (비상추력 920kg)
최대 속도 : 790Km/h(해면고도), 838Km/h(고도 6000m) (비상추력 905km/h)
항속 거리 : 975Km
한계 고도 : 12,000m

무장
(A-1형) 기수하단 양측에 MK 108 30mm 기관포 2문, 1문당 탄약 50발
(A-2형) 기수하단 양측에 MG 151/20 20mm 기관포 2문, 1문당 탄약 120발

1 개요


He 162는 제2차 세계대전나치 독일이 급조 생산한 단발 단좌 제트전투기로서, 시속 800km/h를 넘나드는 본격적인 제트기임에도 불구하고 기체의 대부분이 목재로 제작되었다.
별칭인 Spatz는 나치가 참새라는 뜻으로 공식적으로 붙인 이름이며, Salamander는 그야말로 비공식적 별명이다.

1.1 국민전투기 계획의 배경

2차대전 말기, 비록 Jumo004 엔진을 쌍으로 장비한 Me262가 맹활약하고 있었지만, 한 줌밖에 안 되는 이 제트전투기 전력이 나치의 하늘을 되찾아 줄 수는 없었다.

독일 국방군의 인적, 물적 고갈을 국민돌격대, 즉 노인과 소년들에게 군복을 지급할 형편도 아니라서 전투원이라는 의미로 완장, 판처파우스트, 구식 소총과 수렵총 따위를 대충 쥐어 준 오합지졸로 메꾸려는 계획이 있었고, 그 계획은 지상에서뿐만 아니라 하늘에서도 이루어져야 했다. 따라서 제트 전투기를 매우 값싸고 빠르게 뽑아내기 위해서 나치 항공성은 '국민전투기'(Volksjäger) 계획을 발표, Me262를 생산하던 메서슈미트를 제외한 여러 회사들에게서 설계안을 제출받았다.

메서슈미트 박사와 갈란트 중장은 이 프로젝트에 대해 대놓고 반발했다. 메서슈미트 박사는 그렇다 쳐도, 갈란트는

나는 이 프로젝트가 시작했을 때부터 계속 반대하는 입장에 섰다. 이 계획의 창안자와는 달리, 나는 항공기의 떨어지는 성능, 항속거리, 무장, 갑갑한 시야, 의심스러운 비행 성능 등 명백한 사실에 근거하여 반대했던 것이다.

또한 이 전투기가 전쟁이 끝나기 전에 효과적인 작전을 수행할 수 없을 것이라고 그들을 설득하려 했다. 나는 우리에게 남은 가능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검증된 Me262에 남은 여력을 쏟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엄청난 노동력과 재료를 낭비하는 이 사업은 Me262의 생산을 저해할 것이 분명하였고, 전쟁이 끝나가는 상황에 우리가 또 한 번 힘을 분산시킨다면, 모든 노력이 물거품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이라고 격하게 까댔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그 말이 맞게 되었다. 역시 갈본좌

1.2 계획의 실체

'Volksjäger', 국민전투기 계획은 일단 최단 시간 내에 최소한의 자원을 소모하여 최대한의 제트 전투기를 만들어 내고, 글라이더 훈련을 거친 히틀러 유겐트 얼라들(...)을 태워 연합군의 압도적인 항공력을 상대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항공기 자체의 요구사항은 '스펙상으로는' 꽤나 우수한 것으로써 시속 750km/h 이상, 2문 이상의 MK 108 혹은 MG 151 기관포, 단거리 이착륙 등 일반적인 프로펠러 전투기보다는 한 단계 높은 것을 요구하였다.

여담이지만 Me262로 훈련할 때도 숙련도가 낮은 조종사들은 자기 속도가 너무나 빨라, 접근 속도를 가늠하지 못 해 제대로 사격도 못 했다고 한다. 정식 훈련받은 조종사들도 이럴 정도인데 히틀러 유겐트 얼라들에게 이런 기체를 주면 어떤 일이 벌어졌을지는...

그 중 선택된 것이 하인켈사의 설계안으로, 원래 쌍발 제트전투기로 개발하던 자사의 기획안을 단발 단좌 전투기로 변경한 것이었다. 이는 빠른 양산을 위한 것이며, 설계 자체로는 블롬 운트 포스(B&V)의 것이 더 우수하였다는 설도 있다. 실제로, B&V의 초기 설계안은 Ta183이나 MiG-15와 흡사하다.

1.3 He 162의 개발

He 162는 기본적으로 당시의 일반적인 전투기들보다 한 체급 작다. 당장 Bf109도 2차대전 전투기 중 가장 작은 축에 들지만, He 162는 그보다 더 작다. 이렇게 작고 가느다란 동체에 짤막한 직선형 날개를 동체 등에 매달았으며 그 위에 또 BMW 003엔진을 얹은 특이한 외양을 하고 있다. 동체 상부에 있는 엔진의 위치 때문에, 조종사를 보호하기 위하여[1] He 162에는 폭약식 사출좌석이 기본적으로 장비되었다.

기체의 개발은 번개처럼 이루어졌으나, 원형기의 사고 등으로 주익 끝에 윙팁 연장부(wingtip extension)가 추가되었고(이 윙팁 연장부는 삼각날개 연구로 유명한 리피쉬 박사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리피쉬의 귀' 라고 불리웠다. 이것이 있었기에 그나마 이 비행기를 실전에 투입할 엄두를 낼 수 있게 되었다.) 실전 배치 또한 늦어지게 되었다.

무장으로는 원래 '국민전투기' 계획에 지정되어 있던 MK 108 30mm 기관포 2문을 동체 하부에 장착하였고, 최초의 양산형인 A-1형도 이 형태로 생산되었으나 MK 108 기관포를 더 이상 생산할 수 없게 되고 또한 합판으로 만든 초경량 기체에 가하는 30mm 기관포의 반동도 문제가 되어 루프트바페의 만능 무기였던 MG 151 20mm 기관포 2문을 장착하고 A-2형으로 생산되었으며, 사실상 He 162는 거의 A-2형으로 생산되었다. 또한 He 162에 장착한 MK 108의 탄약 탑재량이 적었기 때문에 조금 더 넉넉한 MG 151 기관포로 채택한 점도 있다. He 162 A-3 형부터 기체 강도를 증가시켜 MK 108 2문을 다시 장착하려는 시도도 있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A-3은 만들어지지 못했다.

1.3.1 가구공장에서 깎아 만든 제트 전투기

He 162는 가구공장 등에서까지 부품을 깎아 수백 기의 기체가 생산되었다. 당시 독일의 사정을 생각해 보면, 이 시기에 이런 기체를 제조했다는 자체가 기적이다. 하지만 역시 상황을 무시할 수 없었는지 넘쳐나는 기체 자체의 결함이 맞물렸다. 예를 들자면 시제기를 만들 때조차 부품의 사이즈가 맞지 않아 돌려보내는 일도 있었다. 즉, 일본 후기 전투기들과 같이 양산기조차도 각 기체마다 다양한 결함이 있었다. 덕분에 오죽하면 JG1의 조종사들이 기체가 쌓여 있어도 1기의 비행가능한 기체를 조종하기 위해 대기할 정도였다. 설상가상으로 신뢰할 수 없는 당시의 제트엔진, 또한 주익과 동체의 비율이 거의 F-104를 보는 듯 할 정도라 매우 불안정한 조종성이 맞물려 제대로 운용되기에는 낙타가 바늘구멍 통과하는 것과 별 다를 것 없는 기체가 되었다.

결국 He 162의 전과는 1기 격추라고 '주장'하는 것뿐으로, 물론 이것마저도 JG1의 공식 격추로는 인정받지 못한다. 세간에 알려진 He 162에 킬마크가 그려진 기체는 에밀 데무스 중령의 기종전환 전 킬마크를 옮겨 그린 것. 한국 웹에도 2기 격추라고 알려져 있지만, 외국의 자료에는 엄연히 1기 격추 '주장'이다.

1.4 성능은?

비행성능의 경우 직진성은 좋았지만 다른 부분은 상당히 안 좋았다. 결국은 요격기의 특성...시대를 앞서간 미사일 만능주의 기체 제대로 된 공중전을 벌이기에는 한계가 너무 컸다. 그 탓에 운동성의 밸런스가 꽤나 엉망이었다고 한다. 그나마 윙팁 연장부를 달기 전에는 완벽한 과부제조기였다... 또 국민 전투기로 개발되었음에도 조종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워서 베테랑 조종사만이 제대로 다룰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의외로 쓸만하다고 평가를 내린 조종사도 있었다.

전후 Me262, Ar 234 등의 제트기들과 함께 전리품으로 실려가 남 좋은 일만 톡톡히 시켰으며, 소련은 이 전투기를 카피 생산할 계획까지 세웠지만 결국 집어치웠다. 미그기와 이 기체의 성능차이를 보연 당연한 부분. 당시의 어떤 제트기가 그렇지 않겠냐 싶지만 He 162와 그 파생형 설계안들은 매우 독특한 모양새를 가지고 있었는데, 갈매기형 후퇴익이나 V테일, 심지어 전진익도 기획중이었어서 많은 2차대전 매니아의 관심을 자극하기도 한다.

1.5 기타

동체 형상에서 A-10 썬더볼트와의 유사성을 지적하는 사람들도 많다. 사실 비슷하게 생기기도 했지만, 설계사상부터가 '날아다니는 탱크' 를 지향하는 A-10과는 달리, He 162는 말 그대로 제트엔진과 조종석을 붙인 합판 문짝에 다름아니었다.

그럼에도 두 기체가 비슷해보이는 것은 엔진배치와 꼬리날개 때문이다. He 162는 동체의 최소화 및 고온의 엔진을 가급적 목재 구조물로 된 동체에서 멀게 하기 위하여 엔진을 기체 바깥에 붙였고, A-10은 쌍발 엔진을 택하되 엔진과 동체 및 엔진끼리의 간격을 최대한 멀게하여 엔진이 폭발하더라도 주변 동체나 반대편 엔진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동체 바깥에 붙였다.

그 결과 두 기체 모두 하나의 수직꼬리날개를 쓸 수 없게 되었으며(엔진의 배기가스에 영향을 받아 뜨끈하게 달궈지므로) 수직꼬리날개가 수평꼬리날개 끝에 붙는 H형 꼬리날개를 택하게 되었다. 다만 A-10은 이 H형 꼬리날개를 택한 또 다른 이유로 엔진배기구를 측면 및 아랫면에서 꼬리날개로 가려서 적의 적외선 유도 방식 지대공 미사일에 포착될 가능성을 더 줄이기 위한 것도 있다.

반면 두 기체의 중요한 차이점으로 He 162는 주익이 동체 위쪽에 붙어있는 반면 A-10은 동체가 주익 아래에 붙어있다는 점으로 별것 아닌것 같지만 항공기 설계에 있어서는 상당히 큰 차이점이다.

일본에서도 독일의 He 162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아서 카피형을 생산하려는 계획이 있었지만, 전쟁이 끝나기 전까지 완성되지 못했고 결국 취소되었다.

2 관련 문서

Heinkel He 162

3 관련 항목

  1. 그 당시에는 캐노피를 손수 열거나 자동 사출하게 만들고 조종사가 직접 좌석에서 뛰어내려야 했다. 이 기체는 엔진 흡입구가 조종삭 후상방에 위치하니 이렇게 하다가는 쏘옥~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