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2리그

일본의 축구 리그
구분명칭
1부J1리그
2부J2리그
3부J3리그
4부JFL
J2리그
정식명칭메이지 야스다 J2리그
영문명칭J2 League
창설년도1999년 (J리그 디비전 2)
2015년 (J2리그)
참가 팀 수22개팀
상위 리그J1리그
하위 리그J3리그
타이틀 스폰서메이지 야스다
최근 우승팀오미야 아르디자 (2015)
최다 우승팀가와사키 프론탈레, 교토 상가 FC, 콘사도레 삿포로 (2회)
웹사이트홈페이지

1 개요

2008시즌까지 J리그 승강결정전이라 하여 J리그 16위팀과 J2리그3위팀이 홈&어웨이 경기를 펼쳐 승자가 J리그에 잔류(혹은 승격)하는 경기가 있었다.
하지만 2009시즌 J2리그 팀이 18개팀으로 늘어나자 플레이오프 없이 승격직행/강등직행으로 제도가 변화되었다. 2012시즌엔 J2리그 팀이 22개팀으로 되면서 잉글랜드 풋볼 리그 챔피언십처럼 상위 2개 팀은 J1 승격직행하고 차상위 4개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승격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다만 승격 PO에선 무승부시 연장전과 승부차기가 없고 정규리그 순위가 높은 쪽이 이긴 걸로 친다고.

2012시즌부터 J1 라이센스제가 도입되어 J1 라이센스를 취득해야만 승격이 가능하도록 규정되었다. J1 라이센스를 취득하지 못한 팀은 성적상 승격이 가능하더라도 승격할 수도 없고 승격 플레이오프도 참가하지 못한다. J1 라이센스 미취득 팀이 승격권 안에 들어가도 자동 승격권 또는 승격 PO 참가 자격이 차순위 팀에게 승계되지 않는다.[1]

하부리그인 JFL리그로의 강등도 있다. JFA(일본축구협회)의 입장은 팀간의 격차가 줄어들었다고 판단되면 J2<->JFL간의 승강제도 실시할 것이라고 했으며, 2012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2014 시즌 부터 J3리그와 승강제가 실시하고 있다. JFL리그는 J3리그와 승강제를 실시하게 된다. 22위는 곧바로 강등되며 21위는 J3리그 2위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룬다. 단, J3리그 우승팀이나 준우승팀 중 어느 한 팀이 J2 라이센스가 없어서 승격할 수 없는 경우 이렇게 처리된다.

  • J3 우승팀과 준우승팀 중 우승팀만 J2 라이센스 → J2 22위 자동 강등, J2 21위는 플레이오프 없이 잔류.
  • J3 우승팀과 준우승팀 중 준우승팀만 J2 라이센스 → J2 22위 승강 플레이오프 참가, J2 21위는 잔류.
  • J3 우승팀과 준우승팀 둘 다 J2 라이센스 없음 → J2 21위와 22위 둘 다 잔류.

2부리그라고 깔 볼수만은 없는 것이 한국청소년대표팀 상당수가 J2리그팀 소속이고, 박지성 선수도 교토에서 J2리그 시절을 보내기도 했다. 그 뒤 팀을 승격 시키고 일왕배 우승컵까지 선물한 뒤 PSV 아인트호벤으로 이적했다.

2 역대 시즌 결과

2.1 2012 시즌

2.1.1 2012 시즌 결과

  • 2012년 상위 2+1개 팀 (2013년 J1로 승격)
    • 반포레 고후 (우승)
    • 쇼난 벨마레 (준우승)
    • 오이타 트리니타 (6위, 승격 PO 우승)[2]
  • 2012년 J1에서 2013년 J2로 강등
  • 2012년 J2에서 2013년 JFL로 강등
    • 마치다 젤비아 (22/22)
  • 2012년 JFL에서 2013년 J2로 승격

2.2 2013 시즌

2.2.1 2013 시즌 참가팀

2013년 참가팀은 다음과 같다. 표시는 2013년 JFL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3년 J1리그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이상 22개 클럽이 2013 J리그 디비전 2에 참가하게 된다.

2.2.2 2013 시즌 결과

  • 2013년 상위 2+1개 팀 (2014년 J1로 승격)
  • 2013년 J1에서 2014년 J2로 강등
  • 2013년 J2에서 2014년 J3로 강등
    • 가이나레 돗토리 (22/22, 승강 PO 패배)
  • 2013년 JFL에서 2014년 J2로 승격
    • 카마타마레 사누키 (준우승, 승강 PO 승리)[3]

2.3 2014 시즌

2.3.1 2014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13년 JFL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3 J리그 디비전 1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2.3.2 2014 시즌 결과

2.4 2015 시즌

2.4.1 2015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14년 J3리그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4 J리그 디비전 1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2.4.2 2015 시즌 결과

2.5 2016 시즌

2.5.1 2016 시즌 참가팀

표시는 2015년 J3리그에서 승격된 팀을 의미하고, 표시는 2015년 J1리그에서 강등된 팀을 의미한다.

2.5.2 2016 시즌 결과

  • 2016년 상위 2+1개 팀 (2017년 J1로 승격)
    • 미정 (우승)
    • 미정 (준우승)
    • 미정 (승격 PO 우승)
  • 2016년 J1에서 2017년 J2로 강등
    • 미정 (16/18)
    • 미정 (17/18)
    • 미정 (18/18)
  • 2016년 J2에서 2017년 J3로 강등
    • 미정 (22/22)
  • 2016년 J3에서 2017년 J2로 승격
    • 미정 (우승)

3 연도별 결과

연도우승준우승기타 승격팀
1999가와사키 프론탈레FC 도쿄-
2000콘사도레 삿포로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1교토 퍼플 상가베갈타 센다이-
2002오이타 트리니타세레소 오사카-
2003알비렉스 니가타산프레체 히로시마-
2004가와사키 프론탈레오미야 아르디자-
2005교토 퍼플 상가아비스파 후쿠오카반포레 고후(3위)
2006요코하마 FC가시와 레이솔비셀 고베(3위)
2007콘사도레 삿포로도쿄 베르디 1969교토 상가(3위)
2008산프레체 히로시마몬테디오 야마가타-
2009베갈타 센다이세레소 오사카쇼난 벨마레(3위)
2010가시와 레이솔반포레 고후아비스파 후쿠오카(3위)
2011FC 도쿄사간 도스콘사도레 삿포로(3위)
2012반포레 고후쇼난 벨마레오이타 트리니타(6위)
2013감바 오사카비셀 고베도쿠시마 보르티스(4위)
2014쇼난 벨마레마쓰모토 야마가몬테디오 야마가타(6위)
2015오미야 아르디자주빌로 이와타아비스파 후쿠오카(3위)
  1. 2014시즌에 실제 사례가 있다. 기라반츠 기타큐슈가 정규 시즌을 5위로 마쳐서 성적상으로만 본다면 승격 PO 참가가 가능했는데도 J1로 승격하기 위해 필수로 취득해야 하는 J1 라이센스를 취득하지 못하여 승격 PO에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자리는 정규 시즌 7위를 차지한 오이타 트리니타에게 승계되지는 않고 그 대신 정규 시즌 3위를 차지한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를 자동으로 2라운드에 진출시키는 것으로 처리되었다.
  2. 2012년부터 바뀐 규정에 의하면 3위부터 6위까지 승격 PO에 진출하는데 6위가 승격하기 가장 불리하다. 경영난으로 자금 융자를 받은 어려움을 딛고 PO에서 우승한 것.
  3. 우승팀인 나가노 파르세이루는 그 당시 J2 라이센스가 없었다.
  4. J3리그 준우승팀 나가노 파르세이루와 승강플레이오프. 사누키가 1승1무를 기록하며 잔류하였다.
  5. 1차전 2:1 마치다 젤비아 승, 2차전 0:1 오이타 트리니타 패. 합계 3:1로 패하며 J3리그로 강등되었다. 좌측이 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