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페이

대한민국에서 정식 서비스 중인 간편 결제 서비스
width=80
삼성 페이
width=60
네이버페이
width=90
카카오페이
width=35
T페이
width=70
SSG 페이
width=70
십일페이
width=50
엘페이
width=60
페이코
width=70
PayPal
width=60
페이나우
30px
H-Wallet
width=35
LG 페이
뱅크월렛width=90
스마일페이

4cf79ce2fee72ceee02d80696ac2ab9b114233.jpg
파일:/image/030/2016/01/27/768009 20160127161217 141 0003 99 20160130101811.jpg

1 개요

LG전자가 개발 및 공개예정 중인 모바일 결제 서비스.

LG전자가 애플페이삼성페이가 데뷔한 후인 2015년부터 갑자기 무더기로 '페이' 상표를 대한민국미국에 등록하여, 이 때부터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 당시에는 'G PAY'로 알려졌으나, 2015년 11월 19일 서울 여의도 트윈타워에서 KB국민카드, 신한카드 2개사와 함께 업무 협약 조인식을 가지면서, 공식적으로 2016년 초 'LG페이'를 출시한다고 워딩하면서 공식적인 이름을 갈음하였다. 그러나 여러가지 문제와 더불어 LG전자의 의지의 문제인지 아님 타사페이가 너무나 막강한 탓인지는 모르나 현재까지도 출시가 지체되고 있는 상황이다.

2 화이트 카드 방식

현재까지 언론 등을 통해 알려져 있는 정보에 따르면 '화이트카드' 방식으로 이 방식은 공카드를 한 장 제공하고, 스마트폰 앱을 통해 카드 정보를 공카드로 전송한 다음, 그 카드로 결제하는 방식이다. 물론 이렇게 되면 어찌됐건 카드를 소지해야 한다. 여러 장의 카드를 한 장으로 줄여준다는 부분에서는 편리하겠지만 애플 페이를 필두로 하는 모바일 페이 시스템의 존재 의의 중 하나가 "폰 하나만 들고 다녀도 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LG 페이는 시대를 역행하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일단 마그네틱 + IC카드 + NFC 결제 방식을 모두 지원해 카드 결제 단말기를 보유중인 대부분의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범용성은 확보된 것으로 보이지만 삼성 페이 역시 이 정도 범용성은 확보되어 있다. 물론 삼성페이가 IC카드에는 대응되지 않는 것에 비하면 장점이 있지만, 카드와 스마트폰을 같이 다뤄야 한다는 점 역시 편의성 측면에서는 명백한 마이너스 요소다. 카드 한 장을 새로 만들고 결제할 때마다 카드를 써야 하는 건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범용성과 편의성을 등가교환한 셈. LG전자의 모든 스마트폰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하므로 어쨌든 LG폰이라는 테두리 내에서는 유일하게 더 나은 부분이다. # 삼성페이의 MST처럼 하드웨어 부품이 필요한 것도 아닌만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만 해준다면 기존 기기에서도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기기까지 업데이트를 해줄 것이냐가 관건. 우리는? 아마 안될거야..

이미 이 분야를 어느 정도 상품화 단계까지 구현한 것으로 미국의 스타트업 '코인'(Coin, onlycoin.com)이 있다. 모바일 을 열고 별도로 제공되는 카드 리더기를 전화기에 연결해 카드를 리더기에 긁어 인증한 후 최대 8장까지 입력할 수 있다. 카드를 사용할 때는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 다만 시중 은행OTP처럼 배터리가 방전되면 새로 구입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코인 측의 주장으로는 1일 5회 결제 기준으로 배터리 수명이 2년 정도라 하지만. # 참고로 최근에 나온 Coin 2.0가 $99로 가격이 저렴하지 않다. LG페이의 경우 아직까지 배터리 수명이나 자세한 기술 사양에 대한 내용은 공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2016년 1월 27일 드디어 베일에 싸인 카드가 공개되었다! 카드는 위의 예상대로 화이트 카드 형식으로 배터리는 탈착식이 아닌 충전식(!)[1]으로 되어 충격을 주었다. 전면부 디스플레이는 카드 번호를 선택해 고를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며 카드 잠금도 지원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카드 한장으로 ATM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IC카드 확정! 배터리 충전 한번만으로 최대 1달 정도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배터리 수명은.. 장담하기 힘들 것 같다.. 정식 공개는 MWC 2016에서 공개할 예정이며 다수의 밴사와의 결제 테스트도 진행하고 있으며 3월 중으로 출시할 것을 밝혔다. 또한 카드사도 1개사 추가 되어 롯데카드도 추가되었다.[2] 사정상 상반기 출시 카드는 마그네틱만 지원 될 것으로 보여진다.

이렇듯 경쟁 기업들에 비해 시간적으로나 기술적으로나 패널티를 갖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 플라스틱 결제에 대비해 사용자에게 많은 혜택을 안겨주거나 사용자를 락인할 수 있는 확고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의 마케팅이 성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 중에서도 SK텔레콤MWC 2015에서 '스마트 신용카드'를 선보인 바 있다. #

3 공개 및 출시

그간 LG 페이 관련 기사에서는 MWC 2016에 공개한다는 기사들이 나왔었는데.. 그러나 정작 LG페이의 화이트카드를 돌연 비공개로 돌려버렸다. 이유는 LG G5에 이슈를 집중시키기 위해 공개를 미룬 것. MWC에서의 공개가 안됐기에 한국에서 별도로 공개할 예정이라고한다.

한편 일본과 미국에서는 G페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한다고 한다고 한다.

MWC에서의 공개가 미뤄지면서 한참 조용한 모습을 보여준 LG페이를 두고 출시가 생각보다 더 뒤로 미루어질 것으로 보였지만 결국 4월 중순에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4월이 되어도 공개가 되지 않았다가 6월 공개로 다시 변경되었다가 다시 하반기 출시로 변경되고 말았다. 이유는 상술된 IC카드를 다시 넣고 출시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데다가 KB국민은행과의 전략적 재휴를 맺고, 심지어는 이제 결제 기능을 넘어서 스마트 OTP를 넣겠다는 것으로 가닥을 잡은 상태이니 화이트카드 출시는 더더욱 늦어진 것이다. 이러면서 사실상 삼성 페이처럼 시범 서비스를 3개월간 가지고 있다가 그 후 정식 서비스를 할 것으로 보였는데 늦어진 탓에 늦어진 기간동안 시범 서비스를 하다가 곧바로 베타 서비스로 넘어갈 가능성이 보인다.[3]

한편 2016년 9월 7일에 공개예정인 LG V20의 공개[4]와 함께 같이 공개할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추측에 불과하고, LG전자 측도 이 부분에 대해 미온적인 태도여서 또 다시 공개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5]

그리고 V20이 공개된 2016년 9월 7일 결국 테스트 중에 있다면서 또 다시 공개하지 않았다. 벌써 3번이나 공개하지 않은 것을 보면 범용성에 문제가 있든가, 타사에 밀릴 것을 판단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으나 이번에도 다시 공개가 불발한 것을 보면 당분간도 아닐 수 있다 공개할 계획은 없는 것 같다.

가장 최근의 보도자료를 통해서는 LG전자의 차기 출시작인 G6에 기존에 알려진 화이트 카드 방식이 아닌 폰 결제 방식으로 탑재되어 출시될 것이라 한다.

4 서비스 준비 국가

일본미국은 G페이로 출시되어 서비스될 예정이다.

4.1 한국

4.1.1 지원 예정 은행사

4.1.2 지원 예정 카드사

이 외에도 정식서비스 시 추가바람

4.2 미국

출시 후 추가바람

4.3 일본

출시 후 추가바람
  1. 충전 케이블과 충전기가 있다고 한다.
  2. 윗 기사에서 카드사 지원 부분에 대해 LG전자 측은 카드 등록만으로 자사전산을 거치지 않고 카드사에 직접 전해지기에(반대로 삼성페이는 자사 서버를 거치고 난 뒤 전해진다고 한다.) 금융사들에게 이득인 플랫폼이라고 말했으며 내달 이내에 거의 모든 카드사가 지원될 것으로 밝혔지만 추후 협력사와 출시 일자는 공개불가이라고 하였다.
  3. 삼성 페이처럼 복잡하게
  4. 한국 기준
  5. 물론 하나의 기술을 공개하는 것에 대해 내부적으로도 심도있는 생각과 여러 상황을 고려해야하는 문제인 만큼 신중할 수 밖에 없다. 다만 이미 삼성페이가 오프라인 핀테크 결제 시장을 먹을 대로 먹은 상태에서 이렇게 질질 끈다고 성공확률이 높아질까하는 것에는 부정적인 여론이 다수다.
  6. 전략적 파트너쉽을 맺었기에 사실상 지원 예정 은행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