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941 존슨 소총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소총볼트액션 소총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윈체스터 M70
반자동소총M1 개런드, M1 카빈, M1941 존슨
자동소총M1918A2, M2 카빈
기관단총M1928A1/M1A1 톰슨, M2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M50/55 레이징, 유나이티드 디펜스 M42
산탄총윈체스터 M1897/12, 이사카 M37, Auto-5
권총M1903(포켓 해머리스), M1911A1, M1917 리볼버, 콜트 오피셜 폴리스, 하이-스탠다드 HDM
지원화기기관총M1917/18 루이스, M1917A1, M1919A4/A6, M1941 존슨, M2 중기관총
대전차화기보이즈 대전차 소총, M1/M9 로켓발사기(바주카), M18 무반동포
화염방사기M2 화염방사기
박격포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유탄Mk.2 수류탄, M7/M8 총류탄발사기
보병장비 둘러보기
WW1

연합군

동맹군
WW2
연합군
추축군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소련
프랑스
이탈리아 왕국
체코슬로바키아
중화민국
폴란드
핀란드
헝가리 왕국
스위스 스웨덴
냉전
소련
동독
중국
유고슬라비아
한국전
한국
북한
월남전
미국
월맹
현대전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한국
일본 중국 독일 핀란드 이스라엘
체코 스웨덴 이탈리아22px-Flag_of_India.svg.png 인도 폴란드
중화민국 터키 스위스 싱가포르 호주
스페인 노르웨이 태국 이집트 캐나다
브라질--- 북한

800px-M1941.jpg

1 제원

  • 종류: 반자동 소총
  • 구경: 7.62mm × 63 (.30-06 스프링필드), 7x57mm Mauser(칠레군용), .270 Winchester
  • 장탄: 10+1발
  • 무게: 9.5 lbs (4.31 kg)
  • 길이: 1,165mm (116cm) (45.87 inch)
  • 총열길이: 560mm (56cm) (22 inch)
  • 생산연도 : 1941년∼1945년

2 개요

M1941 Johnson Rifle.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개발된 미군반자동소총.
미국 "Marine Fire Arms"사에서 1936년 "Melvin Maynard Johnson Jr"에 의해 설계된 총으로, 1938년 3월에 원형이 만들어진 직후 미군의 테스트를 받는데 결과는 별로 신통치 않았는데, 테스트간 지적받은 더블칼럼구조(복렬식)을 싱글칼럼으로 변경하여 1939년 4월에 제출하고 영국군도 관심을 보여 독자적으로 테스트도 했지만 채용되지 않은 소총이다. 6월에도 테스트를 하게 되는데 30-06탄을 더블칼럼에서 싱글칼럼으로 변경한 탄창이다보니 길이가 두배가 되어 총상하부에 돌출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결국 좋은 답변을 들을 수 없었고 결국 존슨의 가장 큰 특징인 로터리형 회전식 탄창으로 개량하여 미 해군과 해병대에 제출하지만 이마저도 1941년 최종답변에서 "M1 개런드를 뛰어넘는 우위를 보이지 않는다"라는 답변을 듣게 된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태평양 전쟁이 발발함에 따라 네덜란드는 1940년부터 존슨 반자동 소총을 시험했고 결국 본국 군대에 도달하지 못했지만 네덜란드 식민지군과 왕립해군용으로 채용 약 50,000정이 발주되었고, 미국도 진주만 공습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함에 따라 무기의 수요가 폭증했으므로 제식화기 이외에 긴급히 새로운 소총을 배치할 필요성을 갖게 됨에 따라 미해병대도 M1이 제식이었으나 당시 보급이 육군에 편중되어 배치가 늦어지는 것에 따라 해군은 결국 존슨 반자동소총을 채용하며 M1941로 제식화 하게 된다.

그러나, M1941 존슨 계열의 총기류는 이 시기에도 아직 구조가 완전히 완성되지 않은 상태였다. 가장 큰 문제는 총기 구조상 총검을 장착하면 오동작이 일어나거나, 방아쇠를 당겨도 발사가 안되는 사태가 종종 일어난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험악한 전장에서 쉽게 잃어버릴 수 있는 작은 부품들이 많은데, 설상가상으로 약간의 충격등에도 잘 떨어져나간다는 점도 있었고, M1 개런드보다 더러움이나 주변 환경에 민감해서 총기 소제등의 관리를 더 충실하게 해야 한다는 점등의 자잘한 문제점도 있었다. 덕분에 장탄량이 10발이라 그 당시의 미국 제식 소총보다 2발이나 장탄량이 많다는 장점을 다 까먹었다.

이런 이유로 인해 M1 개런드가 부족하여 땜빵용으로 구매해서 사용한 것이며, 실전 평가 당시에는 땜빵용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딱히 나쁠건 발견되지 않았지만,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기존의 개런드를 능가할만한 뭔가가 있는것도 아니여서 대규모로 도입되거나 제식채용되지 않고 기존에 도입된 수량만 사용되다가 M1 개런드의 대규모 생산 및 배치에 따라 2선급 총기가 돼서 사실상 전장에서 물러난 다음,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퇴출되었다. 퇴출될 때까지 생산량은 약 70,000정.

1288259229.jpg

이것은 존슨소총의 로터리형 회전식 탄창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