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J미디어/뮤지콤시리즈

width=300&height=80
TJ미디어 반주기의 종류
뮤지콤시리즈PRO시리즈WOW시리즈질러TKR시리즈질러MR시리즈TDV
질러B시리즈질러C시리즈질러L시리즈질러S시리즈질러P시리즈수출용
2016년 하반기 현재 TJ미디어의 라인업
보급형중급형고급형최고급형
질러B시리즈질러C시리즈질러S시리즈질러P시리즈
TJ미디어 주변기기의 종류
스마트 인덱스앰프스피커이펙터마이크미디딤머관리기리모컨모니터
TJ미디어 웹노래방 서비스
질러쏭질러팅라이브팡팡TJ질러팅

개요

1989년 태진음향이 최초로 출시한 가정용 반주기이다. 뮤지콤의 뜻은 MUSIC+COMPUTER의 합성어라고 한다.

1989년 뮤지콤 TS-1500을 시작으로 매년 4종의 제품, 총 16개가 넘는 모델이 나왔으며 PRO-700까지 뮤지콤 브랜드를 사용하였으나 그이후는 태진 마크 아래에 조그만하게 있다가 태진미디어로 사명을 변경한 PRO-1500이후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주의할것은 기종에 따라 영상출력 기능이 없다. 그래서 반주기를 사면 노래 가사집이 같이 온다. 또한 이러한 기종은 번호도 현재 태진과 다르니 주의. 이때는 가거라 삼팔선이 1번이다. 기종에 따라 자막기라는 장비를 추가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1993년 TMS-7000이 출시되었다. TMS-7000은 초기 PRO급 스팩, 즉 업소용과 맞먹는 성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초기 PRO의 마스코트인 펭귄이 있으며 실제연주를 지원한다. 번호또한 구형 뮤지콤 번호가 아닌 PRO용 번호를 사용한다. 혼성을 지원하는데, 물론 남녀 가사구별은 없고 남녀키가 작동되지 않는다 정도의 기능이다. 점수제거와 무작위 연속, 리듬별 연속 기능도 지원한다.

부팅화면[1]

TMS-7000의 내부를 설명하자면, 기판이 파워 서플라이,메인보드,ROM(컨텐츠 보드),음량보드,컨트롤러 보드 5종류로 나뉜다. TMS68310 16MHz 16비트 메인 CPU, Z80B 2MHz 사운드 제어용 프로세서, Dream SAM9203음원을 사용하며, ROM을 매체로 하고 있다. 비디오는 RCA NTSC 출력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RF 모듈레이터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뒤에 준비되어 있다. 메인보드-컨트롤러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이 컴퓨터 플로피 드라이브 케이블과 비슷하다. 펌웨어 전용 EPROM 3개가 온보드. ROM 보드에 업데이트를 위한 ROM 소켓 16개가 있으며, ROM 보드 위에 또 다른 ROM 보드를 끼울 수 있는데, 업소용에서 확인된 UVEPROM보드 연결단자로 보인다.

그 후 TMS-8000 나왔고 이 제품을 마지막으로 TMS 시리즈는 더이상 나오지 않는다. 메모리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먼 후손이라면 TKR-355 정도가 있다.
  1. 참고로 이 부팅음은 WOW시리즈 전까지 사용되었으며 현재 TJ미디어 반주기에도 5037에 '뮤지콤'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반주기와 TJ미디어 홈페이지에서 검색이 되지 않는 히든곡이다. 그런데 네이버 곡목 검색에서는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