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권


1918년 12월 13일 해주 출생의 육상 세단뛰기 선수. 일본 및 대한민국 국적으로 활약했다.

보성전문학교로 진학해서 대학생 신분이던. 1939년 오스트리아 에서 열린 국제대학경기대회(유니버시아드 대회의 전신)에 출전하여 15.37m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당시 일본은 1928 암스테르담 올림픽 세단뛰기 종목에서 오다 미키오가 일본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을 딴 이후로 올림픽 세단뛰기 3연패를 하며 세단뛰기 세계 최강국으로 군림하고 있었고, 1940 올림픽이 자국 도쿄에서 개최될 예정인지라 세단뛰기 4연패가 유력한 상황이었고 그 주인공이 바로 김원권이었다. 실제로 1940년 세단뛰기 세계 최고기록은 김원권이 세운 15.68m였고, 1939년엔 비공인이긴 하나 16.25m로 당시 세계신기록에 해당하는 기록을 내기도 했다.

그러나 중일전쟁의 여파로 일본은 올림픽 개최권을 반납했고 이후 2차 세계대전이 터지면서 올림픽 자체가 취소되며 김원권의 올림픽 금메달의 꿈은 무산된다. 예정대로 대회가 개최됐다면 손기정에 이어 두 대회 연속 조선인 금메달리스트가 배출될 것이 유력했으니 아쉬움이 많이 남을 수밖에 없다.[1] 김원권은 이후로도 1941년~1943년에 거쳐 연도별로 세계 최고기록을 세우며 세단뛰기 최강자로 군림했다.

해방 이후 태극마크를 달고 1948 런던 올림픽에 출전하며 올림픽 무대에 서는 꿈을 이루지만 선수로서는 전성기가 지난 30대였고, 예선을 7위로 통과하며 분전하지만 결선에서는 14.25m의 기록으로 12위에 그치고 만다.

김원권의 재능이 얼마나 역대급이었느냐 하면 김원권이 수립한 15.86m의 최고기록은 1984년까지 한국 신기록이었다. 김원권 이후 어떤 한국인도 40년 넘게 이 기록을 넘지 못하다가 1984년 박영준[2]에 의해 경신되었다. 시대보정도 필요없는 수준... 한 마디로 김원권은 마라톤 이외 종목에서 한국 역사상 유일한 세계 톱레벨의 육상선수였다.

형인 김원룡 역시 육상선수였다. 김원룡의 주종목은 높이뛰기였는데 이 선수 또한 조선 신기록을 세우는 등 재능을 과시했다. 1948 올림픽에 형 김원룡은 임원으로, 동생 김원권은 선수로 참가한다.

은퇴 이후 노년을 일본 고베시에서 보내고 있는 듯 하다.
  1. 비슷한 케이스로 역도의 박동욱, 남수일, 김성집이 있다. 이 선수들은 각각 밴텀급과 페더급, 미들급에서 세계신기록을 경신하는 등 일본 역도계를 평정한 것을 넘어 1940 올림픽의 금메달 후보로 꼽혔지만 대회가 무산되었다. 이 선수들은 해방 후에 대한민국 국적으로 1948 런던 올림픽에 출전했고 김성집은 3위, 남수일은 4위, 박동욱은 10위를 기록한다.
  2. 이 선수가 훗날 은퇴한 후 코치로서 가르친 선수가 김덕현이다. 김덕현은 김원권과 마찬가지로 유니버시아드 대회 금메달을 따며 육상 전체를 통틀어 세계수준에 근접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몇 안되는 선수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