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환의 뱌쿠야

126F0C114BEF99451E6ECE?.jpg
夢幻の白夜(むげんのびゃくや)

일본판 성우한국판 성우
마도노 미츠아키박서진[1]

1 개요

로컬라이징 이름은 몽환의 바쿠야. 카구라가 죽은 후 나라쿠가 새로 만든 분신. 카구라가 죽기 전에 주로 맡았던 감시, 정찰 등이 주 임무인지라 카구라와 약간 비슷한 면이 있다. 커다란 종이학을 타고 날아다니며 들고 다니던 병에 담긴 술(?)을 흩뿌려 대상을 이공간으로 보내는 것과 한쪽 눈을 날개 달린 작은 눈알 요괴로 변형시켜 정찰 보내는 특이한 능력들이 있다.[2] 이 외로 하얀 꽃 한송이와 자신을 함께 불태우며 모습을 감추는 이동방식도 주로 보였다.

호칭에 걸맞게 덧없는, 허무하다 라는 뜻도 있다카더라.

죽음에 대해선 무덤덤한 것 같다. 나라쿠의 분신이니 어차피 나라쿠가 죽으면 없어질 몸이라며 임무를 완수하고 죽었다.

2 작중 행적

몽환의 뱌쿠야라는 이름답게 환술을 잘 쓰며 목숨이 위태로울 것 같으면 싸움보단 일단 도망부터 치는 성격. 필요하면 싸움도 불사하던 다른 분신들과 대비된다. 키쿄우가 거미줄에 더럽혀져 코하쿠로부터 떨어질 때 사혼의 구슬 조각을 회수하기 위해 코하쿠를 공격하지만 갑자기 셋쇼마루가 튀어나와 거슬린다면서 베려 하자 종이학을 타고 튀어버린다. 쉽게 말해 전투보단 방해 능력에 특화된 분신이라고나 할까...

후에 마가츠히#s-3의 환상으로 셋쇼마루를 유인한 후 환상이란 걸 들키자 시간을 끌기 위하여 잡요괴 천 마리를 데려와 셋쇼마루를 공격하나 셋쇼마루가 폭쇄아를 뽑아들자마자 한방에 모조리 쓸려나간다.여기 1초는 짧습니다 이때 표정이 꽤 볼 만하다. 셋쇼마루를 무서워하는지 항상 '셋쇼마루 님'이라고 부른다.[3]

나라쿠와 이누야샤 일행의 최종 싸움에서 이누야샤가 사용한 명도잔월파의 요력을 흡수하여 명도잔월파로 카고메를 벤다.[4] 들고다니던 검의 용도와 쓰이지 않던 이유를 해명해주는 장면. 사실 저 검은 1회성 기술 복제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는 듯.[5]

직후 이누야샤의 명도잔월파에 당해 나라쿠가 죽으면 어차피 죽는다고 하는 동시에 역할은 끝났으며 미련은 없다면서 소멸한다. 나라쿠는 여러 분신을 만들었는데 1회용 분신들을 포함해도 나라쿠의 말을 끝까지 잘 들은 유일한 분신이라 할 수 있다. 칸나도 결국 나라쿠를 배신했으니 말이다.. 또한 나라쿠의 분신중 유일하게 자기힘으로 전투를 치르지 않은 분신이다[6]

3 그의 명대사(?)

  • 아까 카고메도 그렇고, 그냥 공중에 화살을 쏘면 될 것을 굳이 소리쳐서 알려주고...[7]
  • 링을 해치려 했지? 내가 보여준 나라쿠의 환상과 함께.
  • 퇴치사 산고, 퇴치당한 건 너 자신이다.
  • 여기서 물러나지. 그런 이유로 저승 구경할 생각은 없거든.[8]
  • 당연히 어렵겠지. 그래서 천 마리 정도 불렀어.[9]
  • 뭐야....한 방에 끝났어?[10]
  1. 중복으로 맡은 묘가 할아범보다 이 쪽이 더 호평을 받는다.
  2. 이 눈알 요괴는 바쿠야에게 자신이 보고 있는 것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 원리 때문인지 나라쿠가 몸을 재생하는 와중에 이누야사들의 현황을 알고 싶다며 그의 머리에 촉수를 찔러넣어 함께 시청(...)하는 장면도 나온다. 당연히 달가워하진 않는다...
  3. 단, 셋쇼마루가 없거나 나라쿠를 거의 이겨가는 스토리 끝자락에서는 나라쿠가 죽으면 자신도 함께 죽기에 이제 무서울게 없는지(...) 말을 놓았다.
  4. 이는 나라쿠가 소멸할 때 사혼의 구슬 속으로 들어가게 하기 위함이었다.
  5. 별거 아닌 것 마냥 말했지만 실은 엄청난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만약에 셋쇼마루의 창룡파만 배껴도 이누야샤 파티는 고전을 면치 못했을 게 뻔하다(...)
  6. 최종 결전에서 명도잔월파로 카고메를 공격한건 그냥 기습이었고, 직후 소멸했으니 애매하지만. 뭐 이거 빼면 정말 자기 기술 혹은 무기를 사용해 공격을 행한 적은 아예 없다. 대부분이 환술같은 디버프계 기술인데다, 애초부터 뱌쿠야는 옆에서 깐죽거리며 내분이 일어나게끔 부추기는 용도의 분신이다 보니(...)
  7. 화살을 쏘기 전 칸나가 듣게끔 '구멍을 쏜다' 라 말하는 걸 비꼬는 말이지만 넓은 의미로는 작중 내내 기술을 쓸 때마다 기술명을 외침으로서 상대방 또한 듣고 대처가 가능케 하는 것을 꼬집는 바쿠야의 대사로 간접적으로 내비친 작가의 애드립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8. 뱌쿠야가 싸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아주 잘 보여주는 장면(...)
  9. 셋쇼마루를 묶어두기위해 수천마리의 요괴를 불러놓고 자신만만하게 셋쇼마루에게 한 말이다.
  10. 바로 위에서 부른 수천마리의 요괴들이 폭쇄아 한방에 쓸려나가는 진풍경(....)을 보면서 한 말이다(....) 일본판에서는 에?....순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