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여객(포항)

Koreawide(코리아와이드)
경북코치서비스진안고속대성고속대화교통코리아와이드 포항
AK경산관광동대구터미널북부정류장경산시외버스터미널코리아와이드 ITS

1 설명

경상북도 포항시시내버스 업체. 포항시외버스터미널로 가면 금아버스그룹과 함께 지겹도록 볼 수 있는 아성, 천마고속과 계열 관계였다.
현재는 경북코치서비스에 매각되어 경북고속의 계열사이다.[1]

1990년대 중반부터 포항시의 시내버스를 독점으로 굴려온 성원여객이 도산한 후 2007년부터 차량, 직원 모든 것을 그대로 들고 온 신안여객이 세워져 현재 포항시 시내버스를 독점운행하고 있다.
2013년 12월 기준으로 32개의 노선에서 200대의 차량이 운행 중이다.

본래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포항버스, 삼아여객, 대원교통 경쟁 구도로 흘러가고 있었다.

2 차량

안동시에서 포항시로 놀러왔거나 이사를 왔다면 시내버스들을 보고 상당히 의아하게 생각할 것이다.
안동엔 시내버스로 드물어서 보기가 힘든 현대 F/L이 여기에는 잔뜩 굴러다닌다. 경주시천년미소처럼 상당한 현대빠회사다. 그래도 구미시일선교통에 비할 급이다.

대구·경북지역 버스 업체 중 1985년 설립 당시부터 한국화이바 프리머스 전기버스와 설립 초기에 운용한 1985년 이전 년식의 타 업체 출신 대우 BF101을 제외하면, 100% 현대차만 출고한 유일한 회사다.
사실 구미시또다른 모 회사 때문에 대우버스도 어느 정도 있는 편이라 사실상 경북권에서 현대버스 최다 보유지역은 포항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차라고 해도 차령이 오래되면 빠르게 F/L 신차로 바꿔버리기 때문에 포항에서는 구형 노장차량을 보기가 어렵다. 다만 시내에 돌아다니는 노선만 그렇고 지선버스는 낡은 차량들이 상당히 많다.[2]

자일대우버스는 101번 노선에서 운행중이었던 딱 1대의 BS110CN[3]이 2016년 대차되면서 원주, 순천, 목포처럼 100% 현대차로만 구성된 현대 천국이 되어버렸다. 예전 BF101 시절부터 쇠창틀 하이파워 시절까지는 대우버스도 상당히 많이 존재했지만 대우버스는 계열사, 안동시 시내버스대구광역시 시내버스세운버스우주교통에서 많이 굴린다.[4]

양덕차고지 소속 차량(101, 105, 108, 109, 130, 200, 600, 700번)의 경우 차령이 중간인 동글이 뉴 슈퍼 에어로시티도 어느 정도 있는 반면, 간선버스는 한 대도 없다.[5][6] 문덕차고지 소속 차량 (102[7], 107, 160, 175, 100, 500, 510, 800번)의 경우 800번을 제외한 거의 모든 차량이 F/L 신차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말은, 신차를 뽑으면 대부분 문덕차고지 우선으로 투입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 문덕차고지 이전 전에 CNG충전소가 없을 때에는 들어오는 신차는 전부 양덕차고지로 투입됐었다.

옆동네양반네모 전자도시처럼 포항도 지선버스의 에어로타운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차량이 대형 차량이다. 중형 차량은 2004년에 글로벌 900을 들여온 것이 마지막 출고이며 그것들도 내구연한이 다 되어서 모두 교체되었다. 물론 교체분은 당연히 뉴 슈퍼 에어로 시티 F/L.

인근의 두 동네들과는 다르게 전 차량이 도시형 버스로 이루어져있다. 하긴 포항에 고급형 버스들을 굴릴 노선이 없기는 하다. 하지만 현재는 대우빠인 경북코치에게 매각됐으니 앞으로 어찌될지는 모른다. 다만 계열사인 진안고속이나 대화교통이 혼용 출고를 하는걸 보아 신안여객도 혼용으로 갈 수도 있다.[8]

이 회사의 천연가스버스차량은 '쾌적한 포항환경 - 신안여객이 만들어 갑니다.'[9]가 붙는다.

자동변속기는 주로 ZF를 쓰는 듯.

3 차고지

3.1 문덕공영차고지

2010년 8월말 완공 예정이었으나 땅주인과의 협상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먼저 가스 충전소부터 짓기로 하여 12월 즈음에 가스 충전소 설치가 완료되었다. 2012년 12월에 완공되었으며, 기존 양덕차고지에 있던 신안여객 본사가 문덕차고지 근처로 이전되었다. 기존 노선은 2013년 2월 22일부터 이 차고지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문덕차고지 이전으로 문덕2리, 문충리 일부(보광그린파크)의 교통환경이 좋아졌다. 오천지선과 보광그린파크 자체 셔틀 버스를 이용해야했으나, 지금은 다리 하나만 건너면 문덕차고지에서 출발하는 대부분의 노선 버스를 탈 수 있다.

100, 102, 107, 160, 175, 500, 510, 800, 구룡포지선, 동해지선, 오천지선, 터미널공영 노선이 문덕차고지 소속이다.

3.2 양덕공영차고지

101, 105, 108, 109, 130, 131, 176, 200, 600, 700, 청하지선, 흥해공영버스가 소속되어있다. 차고지 내부에 CNG충전소, 신안여객 노동조합이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신안여객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1]
  2. 참고로 양반네모 회사가 대구·경북에서 마지막으로 슈퍼 에어로 시티를 2015년 9월 초순까지 굴렀던 곳이다. 포항은 2004년식 슈퍼 에어로 시티 좌석형을 2015년 4월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좌석형으로 대차되면서 슈퍼 에어로 시티가 전멸되었다.
  3. 경북 70자 1377호로 2007년식이다. 차량색깔도 일반버스의 파란색이 아닌 청록색이다. 이전 문서에는 디젤이라고 적혀있었지만 사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엄연한 NGV 천연가스 차량이다.
  4. 과거에는 대구 삼천리버스도 올 대우 회사였지만, 자일대우버스 공장의 파업으로 인해 현대차를 출고한 걸로 추정된다.
  5. 올해 1월경까지 101번에 한 대 있었지만, 올해 들어온 102번 신차에 번호판을 넘겨주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6. 600번은 지선이므로 제외.
  7. 양덕차고지 소속이었다가 문덕차고지 소속으로 변경.
  8. 아직은 현대차만 출고하고 있다.
  9. 이는 본래 천연가스버스 차량에 붙던 '쾌적한 도시환경 - 천연가스버스가 만들어 갑니다.' 문구를 살짝 변형한 것. 2009년 이후로 현대차에는 이 문구가 붙지 않는데 신안여객 차량은 꾸준히 붙여서 출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