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족(던전 앤 파이터)

1 개요

던전 앤 파이터에 등장하는 몬스터군.

대부분의 용족은 바칼의 고향이기도 한 드락발트라는 행성에 살고 있지만, 게임 내에서 등장하는 모든 용족은 바칼이 창조한 생명체이다.[1] 때문에 대부분은 직간접적으로 폭룡왕 바칼과 관련되어 있다. 바칼은 용의 전쟁에서 패퇴하고 천계를 지배한 뒤 아라드 대륙에 히스마, 스카사, 스파라찌와 호위할 하급 용족들을 내보냈으며 히스마가 카잔오즈마에게 죽고 스파라찌가 흑요정들에게 봉인 당하자 하급 용족들은 흩어지기에 이른다.

이 이후로 인간들, 특히 제국군의 드래곤 슬레이어들에게 노예로 끌려가거나, 사냥 당해 수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한다. 아라드에 남은 용족의 이야기는 청색의 수호자에서 짧막하게 나온다.

2 종류

2.1 바칼의 성의 용족

2.1.1 폭룡왕 바칼

바칼의 성의 보스. 용들의 왕. 마계를 지배하기 위해 용의 전쟁을 펼쳤다가 패퇴하며 천계로 도주했다. 자세한 것은 바칼이나 바칼의 성을 참조. 분명 용들의 왕인데 자신이 소환한 스카사나 히스마보다 덩치가 작다.

2.1.2 화룡 애쉬코어

바칼의 성의 네임드 용인. 설정 상으로 헤츨링이였을 때 바칼을 뒤따라 같이 마계로 진입했다. 자세한 것은 바칼의 성을 참조.

태동에서는 프로토 타입인 화룡이 등장한다. 패턴은 화염 원반을 투척하는 것 밖에는 없지만 데미지가 꽤 높은 편이다.

2.1.3 금룡 느마우그

바칼의 성의 네임드 용인. 분신 및 기둥을 소환하는 패턴을 구사한다. 자세한 것은 바칼의 성을 참조. 여담으로 이 녀석만 프로토 타입이 등장하지 않는다(...) 근데 등장했어도 용머리한 니콜라스에 불과할 듯

2.1.4 흑룡 네이저

바칼의 성의 네임드 용인. 암흑정령 소환 및 오오라를 거는 패턴을 구사한다. 자세한 것은 바칼의 성을 참조.

태동에서는 프로토 타입인 흑룡이 등장한다. 암속성 구체를 X축으로 발사하는 패턴을 사용

2.1.5 진룡 이트레녹

바칼의 성의 네임드 용인. 강한 충격파를 일으키는 패턴을 구사한다. 자세한 것은 바칼의 성을 참조.

태동에서 프로토 타입인 진룡이 등장한다. 잡몹 주제에 무적타임에 높이 띄우기, 스턴 걸기등을 시도하기 때문에 성가시다.

2.1.6 샐더

바칼의 성의 용인. 설정 상 화룡 애쉬코어가 리자드맨과 융합시켜 탄생시킨 인공 생명체이다.

2.1.7 키츠

바칼의 성의 용인. 할퀴기 및 화염 방사 패턴을 구사한다. 화염 방사만 주의하면 별로 무서울 것은 없다.

2.1.8 키몬

바칼의 성의 용인. 키츠와 패턴은 동일. 과거 구 꿈틀대는 성에 키츠와 함께 나왔던 적이 있다.

2.2 대전이 이전 일반던전 하늘성의 용족

2.2.1 라키우스

용인의 탑의 보스. 초급 던전의 보스치고는 패턴이 다양하고 강력하므로 주의해야한다. 기상 시 발동하는 자기장 공격은 감전을 걸며, 기를 모아 찌르는 공격은 퍼센트로 체력을 깎아먹기 때문에 레벨이 높다한들 방심해서는 안된다. 또한 철창을 내려 플레이어를 가두는 패턴을 사용하기도 한다. 게다가 일정 체력 이하로 내려갔을 시에 분신을 소환하는데, 이 분신은 라키우스 자신과 똑같은 패턴을 사용한다. 다만 위협적인 자기장 패턴은 사용하지 않으니 다행. 이래저래 성가신 보스지만 전직 레벨이 15로 내려간 뒤로부터 체감 난이도는 많이 내려간 편이다.

2.2.2 미르키우스

용인의 탑의 용인. 패턴은 찌르기 밖에 없지만 리치가 꽤 길다. 또 명속성 저항이 꽤 높은 편이다. 하늘성 개편전에는 아예 명속성 기술에 내성을 가지기도 했다.

2.2.3 미니우스

용인의 탑의 용인. 라키우스의 모습에서 살짝 작아진 형태. 패턴은 미르키우스와 동일.

2.2.4 세라밀리온

용인의 탑의 용. 체력이나 공격력은 낮으나 떼를 지어 몰려다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2.2.5 루스 세라밀리온

용인의 탑의 용. 세리말리온과 다른 점이라면 몸통 색깔을 바꾼 것과 돌진 패턴이 추가된 형태.

2.2.6 오라헌터 시우스

성주의 궁의 네임드 용인. 대부분의 패턴이 라키우스와 동일하지만 버프를 해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분신 소환 패턴은 사용하지 않는다.

2.3 改 이계던전 '꿈틀대는 성'으로 나오는 옛날 하늘성의 용족

2.3.1 바실리스크

꿈틀대는 성의 보스. 설정 상 다리가 아직 다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건물 형태이다. 자세한 것은 꿈틀대는 성을 참조.

2.3.2 바실리스크의 비늘

바실리스크가 소환하는 비늘. 무한으로 소환하므로 바실리스크를 처리하는데 주력하도록 하자.

2.3.3 리자드 로열 가더

바실리스크가 소환하는 석상. 석상이 일정 시간 내 유지되면 석상은 리자드 로열 가더로 변신한다.

2.3.4 마그네우스

꿈틀대는 성의 네임드 용인. 자기장 공격과 정신 지배 및 찌르기 등의 패턴을 사용한다.

2.3.5 복수의 기사 알렉토

꿈틀대는 성의 네임드 용인. 입에서 작은 귀문반 구슬을 발사하는데 데미지가 무척 높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3.6 복수의 기사 티스포네

꿈틀대는 성의 네임드 용인. 기사들 중에서 강적. 적룡의 눈물을 시전하는데 범위는 전체인데다가 데미지 또한 상당하다.

2.3.7 복수의 기사 메가이라

꿈틀대는 성의 네임드 용인. 다른 기사들에 비해 그리 성가신 패턴을 구사하지는 않으나 그렇다고 해서 방심해서는 안된다.

2.3.8 리자드 소울

꿈틀대는 성의 네임드 용인. 분신을 소환하는 패턴을 사용하는데 분신을 죽이면 즉사하므로 본체를 찾아서 빠르게 처리하는게 관건이다.

2.3.9 카메나

꿈틀대는 성의 네임드 용인. 미르키우스와 모습이 같으나 실력은 천지차이이다. 소환하는 분신들은 미니우스와 모습이 같다.

2.4 그 외의 용족

2.4.1 냉룡 스카사

스카사의 레어의 보스. 폭룡왕 바칼의 분신 중 하나. 패턴 하나 하나의 데미지가 무척 강력하나, 익숙해지기만 하면 바보가 따로 없을 정도이다. 물론 초보자에게 절망을 주기엔 충분할 정도의 녀석이라 보통은 파티플이 선호된다. 다만 에픽 퀘스트 중 오르카와 함께 스카사를 족치러 갈 때는 거의 종잇장이 되도록 밟히고 터진다(...) 오르카의 레벨이 70인지라 그 무서운 아이스 브레스도 거뜬히 버텨낸다. 흠좀무

태동에서는 네임드 몹으로 어린 스카사와 보스로 젊은 스카사가 등장한다. 어린 스카사는 간헐적으로 빙결을 거는 패턴이 성가시고, 젊은 스카사는 위의 냉룡 스카사에서 한층 더 개량된 패턴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당히 위협적이다. 도트는 바칼 우려먹기지만(...) 스카사의 레어에서 팔이나 허우적거리던 잉여에서 간지폭풍 용가리로 환골탈태했다는 평이 다수.

여담으로 스카사의 레어 에픽 퀘스트를 전부 클리어하면 업적 퀘스트로 오르카가 '설산의 보답'이라는 팔찌를 준다. 용족에게 추가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젊은 스카사는 물론 태동던전 전체에서 상당히 쓸만하므로 참고.

스토리상 대전이로 인해 설산의 눈에 묻혀버렸다. 이 때문에 스카사의 레어에서 등장하던 스카사는 미러아라드를 통해서만 만날 수 있다.

2.4.2 스카사의 새끼

스카사의 알에서 태어난 용. 버블 공격 및 돌진 패턴을 구사하는데 별로 그렇게 어려울 것은 없다. 여담으로 스카사의 알에서 나온 액체를 밟으면 중독에 걸린다.

2.4.3 사룡 스피라찌

흑요정 묘지의 보스. 정확히 말하자면 그의 머리만 보스(...) 폭룡왕 바칼의 분신 중 하나로 설정 상 흑요정들에 의해 인수분해된 상태. 후에 4명의 해골 문지기들이 봉인의 열쇠를 빼앗은 덕에 부활을 노릴 수도 있었지만 결국 모험가들에게 얻어터진다. 안습 사실 흑요정 묘지는 보스보다 가는 길이 상당히 짜증나는 던전이라...사슬 공격만 잘 피한다면야 보스는 쉬운 편이다. 오히려 좁아터진 보스방에서 지원 사격을 해대는 묘지 스켈레톤이 더 짜증난다.

태동에서 네임드 몹인 어린 스파라찌로 재등장한다. 패턴 자체는 그저그렇지만 죽으면 10초 뒤에 부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재빨리 아이템 주워먹고 방 넘어가는 게 상책.

이후 대전이로 추가된 던전인 사룡의 봉인에서 봉인이 풀린채로 등장. 다만 힘이 완전히 회복된 것은 아닌지 적정레벨대에서도 원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봉인되었을 당시의 모습은 오염지역미러아라드를 통해 만날 수 있다.

2.4.4 광룡 히스마

설정에서만 나오는 폭룡왕 바칼의 분신 중 하나로, 게임이 시작되는 시점에선 이미 카잔오즈마에 의해서 죽은 상태.

태동에서 네임드 몹인 어린 히스마로 등장한다. 원조 광룡답게 광룡의 외침 범위가 어마어마하며, 돌진 공격 또한 데미지가 상당하다. 태동에서 가장 위협적인 네임드.

2.4.5 다크 소울

극한의 제단 이지 모드에 등장하는 용. 하드 모드의 다중인격 아리안보다는 양반이지만 이 녀석도 만만찮게 강력하다. 3연속 트라이곤 스트라이크와 스핀 공격등을 사용하지만 가장 위협적인 패턴은 바로 어둠의 기운. 플레이어의 몸에 어둠의 기운을 붙으면 일정 시간뒤 절명급의 데미지를 주면서 폭발한다. 문제는 이게 예고나 카운터도 없이 폭발한다는 점. 여러번 상대하면서 타이밍을 익히고, 적당한 타이밍에 무적 기술을 써서 데미지를 회피하는 수 밖에는 없다. 여담으로 다크 소울이 죽어도 어둠의 기운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2.4.6 루스 라케시스

태동에서 등장한다. 모습이나 패턴이나 하늘성의 세리말리온과 거의 동일하지만 기동성이 좋고, 얼음 조각을 뱉는 추가패턴을 사용한다

2.4.7 드래곤 버클러

무한의 제단 또는 태동에서 등장. 칼로 베는 공격을 사용한다.

2.4.8 드래곤 랜서

무한의 제단 또는 태동에서 등장한다. 찌르기 공격밖에 사용하지 않는다.

2.4.9 드래곤 위저드

무한의 제단 또는 태동에서 등장. "트라이곤 스트라이크!" 라면서 플레임 스트라이크를 갈긴다. 성가신 녀석이니 가장 먼저 해치우는 게 좋다.

2.4.10 캄페라

무한의 제단에서 등장하는 네임드. 날아올랐다 낙하하는 패턴이 맵 전체에 데미지를 준다는 점만 유의하면 그닥 어렵진 않다. 가끔 타우 어설터마냥 슈퍼아머 상태로 돌진하기도 한다.

2.4.11 드래곤 나이트

태동에서 등장. 위의 캄페라와 패턴이 거의 동일하다(...)

2.4.12 뎅카스

날 때 부터 인간에게 길러진 애완용 임에도 용들의 주거지 하늘성에 돌아간, 귀향 본능을 가진 새끼 용.
로리안의 애완 강아지를 변신시킨 것이라 한다. 그런데 용마석을 뱉어내기도 했다.

2.4.13 스나이퍼 트리커

류탄을 하나 던진 후 카모플라쥬 상태로 닐스를 켜는 패턴을 가지고 있다
실은 버그로 원래는 인간형일 이 녀석이 용족으로 분류되어 있다(...)

2.4.14 거룡 네이트람

쿠룬달에 있는 3개의 던전들 중에 하나인 성지 : 쿠룬차드의 보스로 천계의 전쟁 당시에는 바칼이 넌 너무 어려서 전쟁에 참전을 못했다고 한다. 하지만 성체로 성장한 현재는 힘을 더 키우기 위해 쿠룬달에 있는 쿠룬차드의 넨들을 흡수해서 힘을 증폭시키려고 한다.

2.5 소환물

2.5.1 프리트

소환사가 계약 소환하는 용. 호도르와 함께 초반 소환사 육성을 도와주는 존재지만 후반에 빵빵한 정령들을 얻은 후에는 그저 그런 수준이다. 자세한 건 소환사(던전 앤 파이터)/스킬 참고

덤으로 미망의 탑 최상층의 구맹룡 사진이 소환하기도 한다. 데미지는 약하지만 범위가 넓어서 불뿜기에 캐스팅이 끊기는 경우가 부지기수.

2.6 해당 인물

용족은 대륙에서 인간들에게 하도 사냥당하다보니 숫자는 많지 않지만 이 중에서 숨어 지내다가 모습을 드러내는 용족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대륙의 안전과 회생을 위해, 혹은 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해 힘을 쏟아붓고 있다.

  1. 폭룡왕바칼 제 3장. 예언자 中 '그러나 마계에서 용족은 나 밖에는 없었고, 내가 아는 한 나 이외에 루크가 알고 있을 만한 용은 이 우주에 존재하지 않았다.' 제 5장. 용의 전쟁 中 '내가 창조한 용인들은 모두 죽은건가? 하긴 사도들을 상대할 수는 없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