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무기

  • 일본군이 사용한 무기들의 목록.
  • 해당 무기들이 만들어진 원인은 일본군/무기체계를 참조.
  • 문서 대다수를 가급적 중립적으로 서술할 필요 있음.

1 육군

1.1 보병

1.2 기갑, 차량

모 전차게임에 이 불쌍한(...) 일본군 전차들이 등장했다. 치하는 중국 테크 트리에서 먼저 등장. 지못미
2015년 8월 13일 기준 초중전차 오이를 포함한 일본 페이퍼 플랜전차들이 등장한다고한다. 6티어로 등장하는 오이는 마우스랑 비슷한크기(...) 자세한것은 여기서.

여기서 일본군 기갑차량들의 스펙에 관한 기본 정보를 알 수 있다.

1.3 화포류

1.4 양륙함

1.5 수송정

2 해군

일본군 해군의 함선 명명법은 다음과 같다.

  • 전함 : 에도 시대까지 존재했던 구 번국명. 단 후소의 경우 번국명이 아닌 일본의 다른 이름에서 따온 사례.
  • 항공모함 : 용, 봉황, 학, 매 등의 하늘을 나는 생물체. 이 항모는 날아오르는 항모이다. 개장항모가 있어서 예외가 좀 많은 편인데, 이 경우에는 전투함 출신(전함,순양함,수상기모함)의 경우는 개장되기 이전의 함명을 그대로 명명했다. 자세한 사항은 하단에 기술. 또한 1943년 이후 명명법이 변경되면서 운류급 2번함 이후부터는 산 이름도 채용하게 되었다.
  • 중순양함 : 산명. 순양전함의 경우도 중순양함처럼 산 이름을 채용.(공고급, 아마기급 순양전함 등) 예외적으로는 후루타카급 2번함 카코는 취소된 센다이급 4번함의 이름을 가져와서 서류상으로도 중순양함이면서 경순양함의 이름을 가졌다.
  • 경순양함 : 하천명. 단 중순양함인 모가미급은 명목상으로는 경순양함이었기 때문에 경순양함식 명명법을 채용했으며 이는 후속형인 토네급도 마찬가지였다.
  • 구축함 : 1등 구축함의 경우 자연 현상, 기상 현상, 월명, 2등 구축함 및 마츠,타치바나급의 경우(이쪽은 1943년이후에 명명법칙이 바뀌어서 식물명도 사용가능해진것에 따름) 식물명
  • 잠수함 : 이로하 노래의 순서에 따라 1등 잠수함은 이(伊), 2등 잠수함은 로(呂), 500톤 이하의 잠수함은 하(波)를 불이고 공통적으로 ~호 제**잠수함이라고 명명. 예를 들어 순잠 1형 잠수함 1번함의 경우 위 방식에 따라 伊호 제 1잠수함이 정식 명칭이고 줄여서 伊1 로 부르는 방식.
  • 수뢰정 : 새 이름.
  • 해방함 : 섬 이름. 단, 태평양전쟁 말기의 건조함 중에는 잠수함처럼 번호만을 채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 수상기모함 : 과거의 무훈함 또는 추상명사
  • 포함 : 절경지 등 명소의 이름을 사용. 공작함 아카시도 이 방식에 따라 명명.
  • 특무함 : 해협, 수도, 반도, 항만 등의 지명
  • 잠수모함 : 뒤에 고래를 뜻하는 鯨(고래 경, 일본어로는 게이음?)자를 붙임(진게이급 잠수모함, 타이게이 등)

2.1 전함

2.2 항공모함

2.2.1 정규항공모함

2.2.2 경항공모함

  • 치토세급 - 치토세(千歳), 치요다(千代田) - 수상기 모함 출신이라 그전의 방호순양함들의 이름을 따왔다.
  • 쇼호급 - 쇼호(祥鳳), 즈이호(瑞鳳)
  • 다이요급 - 다이요(大鷹), 운요(雲鷹), 주요(冲鷹)
  • 히요급 - 히요(飛鷹), 준요(隼鷹)
  • 신요(神鷹)
  • 카이요(海鷹)
  • 호쇼(鳳翔) - 일본군 최초의 항공모함
  • 류조(龍驤)
  • 류호(龍鳳) - 쇼호급에 묶여 분류되기도 한다.

2.3 순양함

2.3.1 중순양함(1등 순양함)

2.3.2 경순양함(2등 순양함)

  • 텐류급 - 텐류(天龍), 타츠타(龍田)
  • 쿠마급 - 쿠마(球磨), 타마(多摩), 키타카미(北上), 오오이(大井), 키소(木曾)
  • 나가라급 - 나가라(長良), 이스즈(五十鈴), 나토리(名取), 유라(由良), 키누(鬼怒), 아부쿠마(阿武隈)
  • 유바리급 - 유바리(夕張)
  • 센다이급 - 센다이(川内), 진츠(神通), 나카(那珂)
  • 아가노급 - 아가노(阿賀野), 노시로(能代), 야하기(矢矧), 사카와(酒匂)
  • 오요도급 - 오요도(大淀)

2.4 구축함

2.4.1 1등구축함(기준배수량 1000톤급이상)

  • 미네카제급 구축함
미네카제, 사와카제, 오키카제, 시마카제, 나다카제, 야카제, 하카제, 시오카제, 아키카제, 유우카제, 타치카제, 호카제, 노카제, 나미카제, 누마카제
카미카제, 아사카제, 하루카제, 마츠카제, 하타카제, 오이테, 하야테, 아사나기, 유나기,
무츠키, 키사라기, 야요이, 우즈키, 사츠키, 미나즈키, 후미즈키, 나가츠키, 키쿠즈키, 미카즈키, 모치즈키, 유즈키
특 1형 후부키급 : 후부키, 시라유키, 하츠유키, 미유키, 무라쿠모, 시노노메, 우스구모, 시라쿠모, 이소나미, 우라나미,
특 2형 아야나미급 : 아야나미, 시키나미, 아사기리, 유기리, 아마기리, 사기리, 오보로, 아케보노, 사자나미, 우시오,
특 3형 아카츠키급 : 아카츠키, 히비키, 이카즈치, 이나즈마
  • 하츠하루급 구축함
하츠하루, 네노히, 와카바, 하츠시모, 아리아케, 유구레
  • 시라츠유급 구축함
시라츠유, 시구레, 무라사메, 유다치, 하루사메, 사미다레, 우미카제, 아마카제, 카와카제, 스즈카제
아사시오, 오오시오, 미치시오, 아라시오, 아사구모, 야마구모, 나츠구모, 미네구모, 카스미, 아라레
가게로, 시라누이, 쿠로시오, 오야시오, 하야시오, 나츠시오, 하츠카제, 유키카제, 아마츠카제, 토키츠카제, 우라카제, 이소카제, 하마카제, 타니카제, 노와키, 아라시, 하기카제, 마이카제, 아키구모
유구모, 마키구모, 카자구모, 나가나미, 마키나미, 타카나미, 오오나미, 키요나미, 타마나미, 스즈나미, 후지나미, 하야나미, 오키나미, 키시나미, 아사시모, 하야시모, 아키시모, 키요시모
아키즈키, 테루즈키, 스즈츠키, 하츠즈키, 니이즈키, 와카츠키, 시모츠키, 휴츠키, 하루츠키, 요이즈키, 나츠즈키, 하나즈키
  • 시마카제급 구축함
시마카제
  • 마츠급 구축함(43년의 명명기준 변경으로 인해 기존의 2등구축함에 사용되었던 식물명을 사용함)
마츠, 타케, 우메, 모모, 쿠와, 키리, 스기, 마키, 모미, 카시, 카야, 나라, 사쿠라, 야나기, 츠바키, 히노키, 카에데, 키에키
  • 타치바나급 구축함
타치바나(橘), 카키(柿), 카바(樺), 츠타(蔦), 하기(萩), 스미레(菫), 쿠스노키(楠), 하츠자쿠라(初櫻), 니레(楡), 나시(梨), 시이(椎), 에노키(榎), 오다케(雄竹), 하츠우메(初梅)

2.4.2 2등구축함 (기준배수량 1000톤급이하)

  • 모모급 구축함
모모, 카시, 하노키, 야나기
  • 나라급 구축함
나라, 쿠와, 츠바키, 마키, 케야키, 에노키
  • 모미급 구축함
모미, 카야, 나시, 타케, 카기, 츠가, 니레, 쿠리
  • 와카타케급 구축함
와카타케, 쿠레타케, 사나에, 사와라비, 아사가오, 유우가오, 후요우, 카루카야

2.5 잠수함

2.5.1 대형 잠수함 (1등 잠수함)

  • 카이다이(해대)형 잡수함
    • 해대 1형
    • 해대 2형
    • 해대 3형A/3형B
    • 해대 4형
    • 해대 5형
    • 해대 6형A/6형B
    • 해대 7형
  • 순잠형 잠수함
    • 순잠 1형
      • 순잠 1형 개
    • 순잠 2형
    • 순잠 3형
    • 순잠 갑형
      • 순잠 갑형 개1
      • 순잠 갑형 개2
    • 순잠 을형
      • 순잠 을형 개1
      • 순잠 을형 개2
    • 순잠 병형
      • 순잠 병형 개
  • 키라이센급
  • 센토쿠급
  • 센호급
  • 센타카급
  • 순잠 정형(센유오오가타)

2.5.2 중형 잠수함 (2등 잠수함)

  • 피아트 F1급/F2급
  • 빅커스 L1급/L2급/L3급
  • 카이츄(해중) 1형/2형/3형/4형/5형(특중형)/6형
  • 중형(센츄가타)
  • 소형(센코가타)

2.5.3 잠수정 (3등 잠수함)

  • 타입 A급/마메센급
  • 타입 B급
  • 타입 C급
  • 타입 D급/코류급
    • 이상의 '타입' 시리즈 잠수정들을 갑표적이라 칭한다.
  • 카이류급

2.5.4 수송 잠수함

  • 테이가타급
  • 테이가타 2급
  • 센타카쇼우급

2.6 특무함

  • 공작함
아카시, 아사히[5]
  • 급양함
마미야, 이라코
노토로, 시레토코, 에리모, 사타, 츠루미, 시리야, 이로
카자하야
스노사키, 타카사키
  • 아시즈리급
아시즈리, 시오야

2.7 노획

왜 미국배가 여깃냐만은 사정이 약간 복잡하다. 태평양 전쟁 개전 직후, 발리 섬에 일본군이 상륙하려한다는 정보를 하달받고 선두에서 달리던 스튜어트는 일본해군과 교전후 심각한 피해를 입고 현 인도네시아의 수라뱌아까지 도착했다. 그렇게 선거에 들어가서 인양하는 도중 함이 전복되서 37도가량 기울어지고 선체에 손상을 입었다. 그와중에 일본군이 코앞까지 몰려와서 결국 폭파시키기로 하고 폭탄을 설치후 무사히 떠났는데 문제는 이 폭탄이 폭발하지 않았다.저질 신관 당연히 이 물건을 일본군이 입수했지만 선체가 너무 손상되서 제 102호 초계정으로 취역시켰다.[8][9] 이때문에 미해병들 사이에서는 미군 구축함이 일본해군기를 달고 다닌다는 괴소문이 따라다녔다고...[10]

2.8 기타

2.9 함포

2.10 지상병기

미국과 달리 일본은 해병대인 해군 육전대가 독립되어 있지 않고 해군 소속이기 때문에 해군 역시 자체적인 육상병기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3 항공병기

따옴표("") 안의 이름은 정식 명칭이 아니라 연합군이 붙인 코드네임이다. 연합국 코드명 항목 참조.

3.1 전투기

3.1.1 육군 항공대

  • Ki-27 97식 전투기 "Nate"
  • Ki-43 하야부사 "Oscar" - 육군 항공대의 주력 전투기
  • Ki-44 쇼키 "Tojo" - 다른 나라가 봤을땐 그럭저럭 하는데 일본군 입장에선 기동성이 후달려서 쓸데가 없던 비행기
  • Ki-61 히엔 "Tony" - 그나마 잘 만들었다. 하지만 정비가 불가능.
    • Ki-100 - 히엔의 엔진을 교체한 전투기
  • Ki-84 하야테 "Frank" - 시도는 좋았으나 양산품은 불량품.
  • J8M(Ki-200) 슈스이 - 독일의 Me163 코메트를 참고로 제작된 일본군의 로켓추진 전투기

3.1.2 해군 항공대

  • J9Y 깃카 - 독일의 Me262를 참고로 제작된 일본군 최초의 제트 전투기

3.2 폭격기

3.3 정찰기

3.4 노획 항공기

3.5 기타

4 자살특공병기

  • 가이텐(回天)
  • 신요
  • MXY-7-baka오카
  • 후쿠류 - 굳이 말하자면 해저에서 운용하는 개인화기이지만, 그런 걸로는 설명이 안되기 때문에 여기에 기록.
  • 카이류 - 가이텐과 비슷한 자살특공용 잠수함으로, 어뢰 2정과 600Kg급 탄두(…)를 탑재했다. 일단 어뢰 2발을 쏜 후에 자살공격하라는 의미로 만들어졌다.

영어 위키피아에 실린 일본군 무기들.

어느 네이버 블로그에 이에 대해 조사한 내용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1. 한국전쟁 당시 사진 등으로 보아 한국군도 일본군이 남기고 간 차량을 사용한것 같다.
  2. 설계 당시에는 소류급 2번함이었으나 건조 도중에 군축조약을 탈퇴하게 되면서 제한사항에 여유가 생겨 소류보다 비행갑판 넓이를 확장하고 선수, 선미부를 개량해 능파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개량이 가해져서 완성됐다. 이러한 탄생이력 덕분에 문서에 따라서는 소류급 2번함으로도 기록되기도 하고 별개의 등급으로 기록되는 등 구분에 차이가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위키피디아 항목에서의 구분을 따라 별개의 등급으로 분류.
  3. 아마기급 순양전함에서 항모로 개장 중 폐기된 그 아마기와는 다른 배이다. 참고로 이 배가 만들어질 무렵인 태평양 전쟁 말기부터 명명법이 변경되어 본함의 경우처럼 항모에도 산 이름이 쓰이게 되었으며, 본함 이후의 운류급 함선인 3번함 카츠라기, 미완성함인 아소, 카사기, 이코마, 쿠라마 등의 함명도 전부 산에서 유래된 이름이었다.
  4. 카토리급 연습순양함은 일반 경순양함과는 달리 대사, 신궁 규모의 신사 이름을 함명으로 채용했다.
  5. 태평양전쟁 당시 기준. 원래는 시키시마급 전함의 2번함이며 미카사의 자매함이기도 하다.
  6. 원래는 상선이었다가 특무함으로 편입, 전후에는 쇄빙선으로 개장해 남극관측선으로도 활동했다. 현존하는 몇 안되는 구 일본해군 소속 함선 중 하나로 현재는 도쿄 오다이바에 위치한 배의 과학관에 정박해 있다. 여담이지만 이 배는 특무구조대의 훈련시설 용도로 현재도 월 1회 주기로 출항하고 있는 현역함이다.
  7. 함종변경이 잦은 편이었던 등급으로 원래는 노토로급 급유함으로 분류되었지만 당초 1번함이었던 노토로가 일찌감치 수상기모함으로 함종변경한 탓에 2번함인 시레토코의 이름을 따서 시레토코급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단, 시레토코도 반쯤 급병함으로 운용되었기 때문에 3번함 에리모의 이름을 따서 에리모급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당초 8척이 건조예정이었으나 이중 1척이 타 함종으로 계획변경되어 7척이 건조되었는데, 이때 설계변경된 1척이 바로 급양함 마미야.
  8. 이 과정에서 아군 오사를 피하기위해 1,2번 연돌을 연결하고 삼각마스트를 설치하고 일본군 무기와 소나를 달아서 최대한 일본군처럼 보이게 했다.
  9. 이 102호 초계정은 적어도 미군잠수함을 2척 격침시킨것으로 알려졌다.
  10. 전후 이 스튜어트는 미군으로 복귀후 나중에 표적함으로 격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