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

제2차 세계대전의 영국군 항공기
전투기복엽기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볼튼 폴 디파이언트,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호커 허리케인, 호커 타이푼, 호커 템페스트
함재기씨 글래디에이터, 페어리 풀머, 페어리 파이어플라이, 호커 시허리케인, 슈퍼마린 시파이어, 호커 시퓨리A, 드 해빌랜드 시호넷A
쌍발기브리스톨 보파이터, 웨스트랜드 훨윈드,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드 해빌랜드 호넷A
제트기글로스터 미티어,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A, 슈퍼마린 어태커A
뇌격기페어리 소드피시, 페어리 알바코어, 페어리 바라쿠다, 블랙번 파이어브랜드, 브리스톨 뷰포트, 웨스트랜드 와이번A
폭격기경폭격기드 하빌랜드 모스키토, 암스트롱-위트워스 휘틀리, 페어리 배틀, 브리스톨 블렌헤임
中폭격기빅커스 웰링턴, 핸들리 페이지 햄든,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A
重폭격기아브로 랭커스터, 숄트 스털링,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급강하폭격기, 공격기블랙번 스쿠아, 페어리 바라쿠다, 브리스톨 브리건드A
렌드리스 항공기전투기벨 에어라코브라, 커티스 키티호크, 리퍼블릭 썬더볼트, 노스 아메리칸 머스탱, 브루스터 버팔로(B-339E), 그루먼 마틀렛, 그루먼 가넷(헬캣), 보우트 콜세어, 록히드 라이트닝
뇌격기, 공격기제너럴 모터스 어벤저, 브루스터 버뮤다, 더글라스 하복, 벌티 벤전스
폭격기록히드 허드슨, 록히드 벤추라, 컨설리데이티드 리버레이터 B, 보잉 포트리스, 노스 아메리칸 미첼, 마틴 머로더
수상기컨솔리데이티드 카탈리나, 컨솔리데이티드 코로나도, 숄트 선더랜드
시제기글로스터 E.28/39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영국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A: 전후 도입

[1]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english-electric-canberra-bomber.jpg
RAF 도색
english-electric-canberra_1.jpg
USAF 도색
USAF_WB-57F_In_Flight.jpg
정찰기 버전

English Electric Canberra

1 개요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는 잉글리시 일렉트릭사(English Electric)[2]가 개발한 영국 공군의 1세대 제트 폭격기이다. 폭격기로 개발되었으나 정찰기로 더 오래 활동하기도 했다.

2 제원

전폭19.51 m
전장19.96m
전고4.77 m
자체중량9.820 kg
전비중량20,865 kg(46,000 lb)
최고속도12,192 m에서 933 km/h
상승력17 m/s
항속거리5,440 km
엔진7,400 lbf (36 kN) 롤스-로이스 아본 R.A.7 Mk.109 터보제트 X 2
무장
20mm 이스파노-수이자 Mk.V 기관포 4문
무유도 로켓포드 X 2(2인치(51mm) 로켓 37발 장착)
마트라 로켓포드 X 2(SNEB 68mm 로켓 18발 장착)
8,000 lb(3,628 kg)의 폭장(내부폭장은 6,000lb, 외부파일런에 2,000lb)[3]
각종 미사일(후기형부터), 전술 핵무기

3 느려지는 개발

캔버라는 1944년에 다목적으로 굴릴 수 있는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의 성공에 영향을 받았다.[4] 영국 방위성이 여러 영국의 항공기 제작사들이 설계를 제시했고 그중 잉글리시 일렉트릭사의 제안이 채택되었다.[5] 1946년 초에 대형기체 개발에 노하우가 있는 숄트 브라더즈사와 함께 설계를 완료하고[6] 4기의 시제기가 제작에 들어갔으나 전후의 대대적인 군축으로 인하여 시제기의 비행은 1949년에 가서야 이루어지게 된다. 첫 비행 후 공군은 132대를 주문하였으며 첫 비행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량을 거친 이후 양산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1951년에 배치되기 시작한다.
또한 미국은 이 폭격기의 성능에 고무받아 1954년, B-57의 이름으로 마틴사[7]가 양산, 및 배치되었다.

4 운용

캔버라는 1951년에 영국 공군의 101대대에서 처음으로 운용하였으며 이 부대는 5월에 캔버라를 완전히 배치한다. 캔버라의 생산은 한국전쟁의 발발로 가속되었으며 요구하는 수량 또한 늘어났다. 캔버라는 폭격기 사령부에서 운용하였으며 기존에 운용하던 폭격기들인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아브로 링컨[8], B-29[9]를 대체하였다. 그러나 폭격기 사령부는 1961년에 모든 캔버라를 퇴역시키면서 폭격기로의 캔버라의 운용은 종료된다. 이유는 60년대 급격하게 발전한 항공기 성능에 직선익의 저속에다 폭장이 적은 캔버라는 더이상 폭격기로서의 가치가 떨어졌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캔버라는 폭격기 이외에도 정찰기로도 운용하였으며 캔버라 PR(사진촬영 정찰기)로 명명된 캔버라는 정찰기로의 운용은 2006년까지 지속된다.[10] 정찰기로서 캔버라는 보스니아 전쟁코소보 전쟁에도 참전해서 정찰임무를 수행했다. 영국은 총 900대의 캔버라를 생산하였다. 또한 미국은 마틴사와 제너럴 일렉트릭사가 총 403대를 라이센스 생산하였다. 캔버라는 15개의 나라에 수출되었으며 오스트레일리아는 49대의 캔버라를 직접 생산하기도 했다.

영국은 50년대 다시 폭장을 높이고 더 힘 좋은 제트엔진과 후퇴각을 적용한 V 폭격기 계획으로 빅커스 밸리언트, 아브로 벌컨, 핸들리 페이지 빅터가 차례대로 채택, 생산되면서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아브로 랭커스터같은 프로펠러 폭격기들을 확실하게 박물관으로 보내게 된다.[11] 이 탓에 캔버라도 애매한 폭장과 속도때문에 말이 있었지만 V 폭격기 계획으로 생산한 폭격기들이 총 합쳐서 300대를 못채우기 때문에 돈이 없는 영국은 캔버라를 그럭저럭 핵투하도 가능한 만능일꾼으로 써먹게 되었고 V 폭격기중 제일 문제가 많았던 빅커스 밸리언트와 함께 폭격기로써 퇴역하게 된다.엄밀하게 따지면 밸리언트는 캔버라보다 4년 늦게 퇴역했다.[12]

그리고 또 한가지 웃긴건 포클랜드 전쟁때 영국군을 공격한 아르헨티나군의 주력 폭격기는 이 항공기였는데, 전량 영국에서 생산된 물품들이었다.... 자국 공장에서 자국민들이 만든 폭격기에 공격당하는 영국군의 심정은 어땠을까... 이 캔버라들의 주요 역할은 영국 해군의 시선 끌기로 캔버라가 깔짝되다가 그사이에 A-4 스카이레이더가 영국 군함을 공격하는 식으로 운용했다고 한다. 그래도 캔버라 폭격기 여러대가 영국군의 해리어에 격추당했다. 근데 아르헨티나는 그 캔버라의 후계작인 아브로 벌컨에게 폭격당했다. 공중급유해서 쫓아온

5 기타

  • 폭격기 주제에 초기 제트 요격기들의 요격을 피할 수 있었다고 한다.[13]
  • 온라인 게임 워 썬더에서 영국, 미국 폭격기로 등장한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캔버라(폭격기)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뭔가 아닌것 같지만 일단 개발 시작은 1944년이고 초도비행도 1946년이다. 그저 군축탓에 늦어진것.
  2. 현재는 BAE Systems
  3. 내부폭장으로 4,000 lb '쿠키'운용 가능
  4. 그외 독일의 세계 최초의 제트폭격기 Ar 234의 영향도 있었다고 한다.
  5. 여담으로 잉글리시 일렉트릭사의 첫 주력기 채택이었다.
  6. Short Brothers 주로 비행정을 개발하던 회사였다. 대표작으로는 숄트 선더랜드, 숄트 스털링이 있다. 현존중
  7. 그당시에 B-26 중(中)폭격기 생산이 끝난 참이었다. 지금은 록히드 마틴
  8. 아브로 랭커스터를 바탕으로 발전시킨 중폭격기.
  9. 랜드리스해서 운용하던 B-29
  10. 미국식으로는 RB-57
  11. 다만 해상초계버전은 좀더 써먹었다.
  12. 좀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2차 중동전쟁때 수에즈에 폭격해보고 박물관으로 갔다.
  13. 이래보여도 초기 제트기인 글로스터 미티어드 해빌랜드 뱀파이어, P-80 슈팅스타하고 속력을 비교해보자. 거기에다가 초기 제트는 상속거리가 영 좋지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