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

파일:Attachment/wlrp.gif

운반 도구.

농사에 필요한 거름, 곡물, 나무, 풀 등의 사람의 힘으로 나를 수 있는 물건을 운반할때 사용되는 한국의 대표적 운반도구이다.

기록으로는 1690년 <역어유해>에 배협자(背狹子)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유물로는 무안 양장리 유적에서 지게자루가 출토되었고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도 지게의 부품인 지게 발채가 무더기로 발굴되었다. 학계에서는 <위지 동이전>의 삼한조에 "나라 안에 공사가 있거나 관가에서 성을 쌓을 때는 용감하고 건장한 젊은이가 모두 등가죽을 뚫어 큰 새끼줄로 한 발(丈)이나 되는 나무를 꿰매고 온종일 외치며 일을 한다. 아파하지도 않으며 그것으로 일 잘하고 건장한 것으로 여긴다."는 기록을 지게를 묘사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1]

몸체는 주로 소나무로 만들었으며 처음부터 사용자의 체구에 맞게 제작하였다고 하며 몸체를 연결시켜주는 '세장'은 밤나무와 박달나무와 같은 단단한 나무를 사용하고, 몸체는 가지가 Y자형인 자연목 두 개를 마련하여 사다리골 형태로 세운 다음 그 사이사이 3~4개의 세장을 끼우고 탕개로 죈 다음 사개를 맞추어 고정시켰다. 짚으로 멜빵을 만들어 세장과 목발에 위 아래로 멜빵을 걸어줌으로 지게를 등에 질수 있는 구조. 무게는 보통 5~6kg 내외로 썼다고.

지게의 위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현재 링크가 막힌 상태.

고려장 관련 이야기로 할아버지를 버리려고 한 아버지가 아들의 재치로 뉘우친 '할아버지의 지게'가 유명하다.

지금은 시골에서도 지게를 보기가 쉽지 않지만 6,70년대만 해도 도시 지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었다. 씨티 100이 보급되기 이전만 해도 도시 골목골목으로 물건을 나를 때 많이 사용되었는데, 당시의 지게꾼은 오늘날 퀵서비스의 조상 격이라 할 수 있다.

21세기에서는 차로 만들어졌다. 흔히 볼 수 있는 건 아니지만 현대에서는 나무 대신 플라스틱 파이프나 쇠파이프로 만든 지게를 쓰기도 한다. 26세기에서는 무인 로봇으로도 만들었다카더라.
80ce_35.jpg
현대에는 등산용품으로 지게배낭(프레임배낭)이 만들어 판매되고 있으며, 미군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여담으로 6.25당시에는 이 지게를 사용한 수송부대, 지게부대가 존재했다. 영어 명칭은 A Frame Army 직역하면 'A자 골격의 부대'이다. (지게의 모습을 보고 A와 비슷하다 생각해서 지은 이름) 이 부대의 후신이 미8군단 한국인지원단(KSC: Korean Service Corps)이다. 제50동원보병사단에 동원훈련 받으러 간 간부 예비군 중 소수가 간혹 여기서 훈련 받는 경우가 생긴다. 훈련이래봤자 미군기지 구경하는 거지만. 한국군 동원부대 간부들은 여기에 예비역 간부를 빼줘야 하는 걸 엄청 싫어한다고 카더라. 이 예비역들은 전쟁이 나면 미군 소속이 되어 머리 끝부터 발끝까지 미제 장비 일체를 새삥으로 지급받는다. 미군에 고용된 민간인 신분으로. 민간인이기 때문에 이때는 총도 안 준다고(...).

주 임무는 수송 주로 탄약, 식량, 식수를 고지로 보내주고 고지에서 부상자(!), 전사자(!!!)를 내려 보냈다고 한다.

대학가에서는 A학점을 '지게'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알파벳 A가 지게 모양과 유사하게 생겼기 때문이라고 한다.

지게부대 항목은 추가바람
  1. 참조자료:<한국의 농기구>,어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