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1 카드 능력치

DragonKnightDracoEquiste-JP-Anime-5D.pngcard73709125_1.jpg
한글판 명칭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
일어판 명칭波動竜騎士(はどうりゅうきし) ドラゴエクィテス
영어판 명칭Dragon Knight Draco-Equiste
융합/효과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10바람드래곤족32002000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 + 전사족 몬스터
이 카드는 융합 소환으로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①: 1턴에 1번, 자신 또는 상대 묘지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하고, 이 카드를 엔드 페이즈까지 그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카드로 취급하고 같은 효과를 얻는다.
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의 카드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효과 데미지는 상대가 받는다.

2 원작에서

설정상 액셀 싱크로에 대해 생각한 후도 유세이 나름대로의 결론으로서 기황제 와이젤 인피니티에게 대항 할 수 있는 싱크로를 뛰어넘는 것 중 하나. 이러한 등장배경 때문에 당시 액셀 싱크로 몬스터라는 소문이 있었으나, 실제 카드는 융합 몬스터 카드로 밝혀졌다.[1]

싱크로를 뛰어넘는 것이라고 하지만 유세이 본인은 아직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했다고 인지하고 있다. 즉 유세이에게 있어서도 드라고에퀴테스는 임시방편 이상의 의미가 없는 것. 심지어 소환 대사조차 "스타더스트 드래곤! 정크 워리어! 너희들의 힘을 하나로"로 짦기 그지없다.

듀얼에서는 102화에서 유세이가 SP-스피드 퓨전를 사용하여 정크 워리어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융합하여 소환되었다.

그후 라이트닝 트라이콘을 전투로 파괴. 그 직후 발동한 함정 카드 '리턴 데미지'로 발생한 효과 데미지를 쟝에게 돌려준다. 그후 쟝이 사용한 스피드 월드 2의 카드 파괴 효과때 묘지에 있는 스타더스트를 제외하여 그 효과를 얻어 자신을 릴리스하고 무효화 시켰다. 거기다가 스타더스트의 효과를 얻었기 때문에 엔드 페이즈에 묘지에서 부활한다고 말한다.[2] 제외하여 그 몬스터의 효과를 얻는건 상대턴에는 못 할 텐데 애니에서는 사용 가능. 다만 제외할 수 있는 건 융합 소재뿐이라는 조건이 붙어 있었다.

원작에서의 소재도 드래곤족 싱크로 + 전사족이지만, 유세이는 이 카드를 기황제의 대책으로 생각했기에 전사족 싱크로 몬스터를 사용한 것으로 여겨진다.

막상 기황제와 싸울 땐 클리어 마인드라는 해답 속의 슈팅 스타 드래곤을 사용했으므로, 자연스레 잊혔다. 하지만 태그포스 5에서 존재감을 확보하는 데 성공. 유세이의 메인 덱인 '흐르는 별' 덱레시피에 들어 있으며, 화려한 전용 소환 영상과 공격 영상까지 있다.

만약 vs아포리아전에서 이걸 썼다면 싱크로 몬스터가 아닌 관계로 안티 싱크로로 설계된 기황제 및 기황신의 온갖 효과를 무시하면서 싸움을 비교적 유리하게 펼칠 수 있었을 터인데, 유세이는 끝까지 싱크로로 끝내려 했다. 결과는 갖은 고생 끝에 겨우 승리.

공격 기술명은 스파이럴 재블린, 데미지 반사 기술명은 웨이브 포스.

여담으로 이걸 사용할 당시의 팀 5D's 출전 멤버들은 전부 이 카드를 소환할 조건이 된다.

  • 유세이
전사족 + 기계족 + 드래곤족 혼합덱, 싱크로 몬스터가 드래곤.
전사족 + 악마족 혼합덱, 싱크로 몬스터가 드래곤
  • 아키
식물족 중심으로 전사족, 마법사족 포진, 싱크로 몬스터가 드래곤.

또한 유세이가 사용한 유일한 융합 몬스터이기도 하다.

3 OCG에서

7기 첫번째 팩 듀얼리스트의 혁명의 표지 몬스터로 등장.

조금 어렵다고 할수도 있는 소환조건이지만. 같은 팩에서 나오는 미라클 싱크로 퓨전으로 쉬운 소환이 가능은 하고 드래곤족인 만큼 용의 거울로도 융합이 가능하다. 여차하면 초융합으로 상대의 스덕이나 슈팅스타, 스카레드, 궁극의 싱크로 몬스터도 먹고 나오는 짓도 가능하다. 흠좀무. 이걸로 히어로덱은 더욱 강해졌다. 굳이 자신의 히어로뿐만이 아니라 범용성 높은 전사족인 개벽 같은 것이 스덕과 같이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한다면.. 또한 강력한 범용 엑시즈인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 또한 전사족 몬스터. 그 외에도 여러 범용성있고 고성능인 몬스터들이 드래곤, 전사에 포진되어 있다.

또한 한 턴 뿐이지만 다크 엔드 드래곤, 빙결계의 용 궁니르같은 사기적인 몬스터의 효과를 재탕할수 있다는 점도 쓸만하다. 특히 내 묘지뿐 아니라 상대의 묘지도 가능하기에 위험한 드래곤 싱크로 몬스터를 제외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환경이 변화하면서 레드 데몬이나, 폭룡검사, 싱크로 드래곤 등 강력한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현재의 튜너를 투입하는 덱이라면 기본적으로 엑스트라 덱에는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들이 투입될 것이기에 지금까지도, 그리고 앞으로도 간접적인 강화가 이뤄질 전망이다.초융합으로 강탈당하는 것도 억울한데 묘지로 간 놈까지 저 멀리

그리고 마지막 효과 덕분에, 이녀석이 나오면 번 덱은 사실상 고자가 된다. 효과 데미지가 자기한테 되돌아오니까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발동할수도 없다. 어떤 의미에서는 머티리얼 드래곤보다 더한 번 계열 덱의 천적. 몸빵이 되고 락으로 틀어막는 스텔스 버드도 고자가 돼버렸고...

지천의 기사 가이아드레이크를 쓰는 덱일 경우 이쪽도 병용하기 쉬우니 채용을 고려할만 하다. 둘 다 미라클 싱크로 퓨전에 대응하고, 가이아드레이크의 융합 소재인 가이아 나이트가 전사족인 것도 있고, 가이아 나이트를 뽑을 값으로 C·드래곤을 뽑으면 이 카드의 융합 소재로 활용할 수도 있다.

꽤나 쓸모없을지 모르지만, 효과로 레드 데몬즈 드래곤 취급을 할경우 1레벨 튜너 두장으로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을 소환할 수 있다.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복제하여 슈팅 스타 드래곤을 소환하는 것도 가능은 하지만, 레벨을 4나 낮춰야하므로 그건 제법 어렵다.

이 카드의 이름이 처음 나왔을 때 한자 '波動竜騎士' 부분을 '파동의 용기사'라는 식으로 끊어 해석하여 '파동용기사'라고 쓰는 경우가 많았지만, 실제로 정발된 카드에서는 이걸 '파동룡의 기사'라고 봤는지 '파동룡기사'라고 쓰여 있었다. 궁극룡 기사와 비슷한 경우.

여담으로 드래고는 용, 에퀴테스는 로마어로 기사를 의미하는 복수형. 즉 전부 직역하면 파동용기사 용기사가 된다. 뭐 이런 네이밍 센스는 유희왕에서는 자주 보이는 것. (예) 질풍(게일)의 게일) 그런데 영어판에서는 '파동' 부분이 떨어져나가서 그냥 용기사 용기사가 되어버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카드 번호레어도발매국가기타사항
듀얼리스트의 혁명DREV-KR038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홀로그래픽 레어
한국한국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팩 유성편 3DP10-KR016슈퍼 레어한국
DUELIST REVOLUTIONDREV-JP038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홀로그래픽 레어
일본세계 최초수록
듀얼리스트 팩 유세이편 3DP10-JP016슈퍼 레어일본
Duelist RevolutionDREV-EN038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홀로그래픽 레어
미국미국 최초수록
Duelist Pack: Yusei Fudo 3DP10-EN016슈퍼 레어미국
2010 Collectors TinsCT07-EN003시크릿 레어미국
  1. WRGP 직전에 있었던 패러독스 사건 당시, 선배가 싱크로 몬스터로 융합을 했던 사례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는 후일담이 있다.
  2. OCG 듀얼이라면 불가능하다. 보통 카드들은 일부 특수한 경우를 빼면, 묘지에 간 이후에는 이름이나 효과가 원래대로 돌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