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사관학교/출신 인물

대한민국 해군해군사관학교 출신 인물을 설명하는 항목이다. 해사에서 훈련을 받지만 생도가 아닌 해군학사장교 (OCS) 출신 인물은 학사장교 항목을 참조할 것.

사관학교 출신인물
육군사관학교/출신 인물해군사관학교/출신 인물공군사관학교/출신 인물

목차

1 1기(1946년 입학/임관)

해군참모총장을 4명이나, 대장 2명과 중장 2명(해병까지 포함하면 3명, 그리고 이때 중장은 지금 중장과는 위상이 달랐다. 해군 최선임이 중장이던 시절에 중장이니.)을 배출한 기수이다. 해사판 별들의 기수이다. 육군사관학교가 1969년에 첫 육군참모총장을 배출한 것과 달리 해군사관학교는 선배들인 상선사관 출신들이 이성호 제독의 인사정책으로 인하여 1960년대 초반에 전면 퇴역하면서 1962년에 첫 해사 출신 참모총장인 이맹기 제독을 배출했다.

  • 공정식 : 6대 해병대사령관
  • 이맹기 : 6대 해군참모총장
  • 이태영 : 해군 첩보부대장 등을 역임. 1951년 12월 16일 원산항에서 전사. 당시 PC-704 지리산함장.
  • 김영관 : 8대 해군참모총장, 대한민국 해군의 첫 대장이다. 전임으로 해군참모총장을 지낸 이맹기 제독과 함명수 제독은 해군중장으로 전역.
  • 장지수 : 9대 해군참모총장
  • 함명수 : 7대 해군참모총장

2 2기

3 3기

  • 정태석 : 3대 해군제2참모차장(12대 해병대사령관)
  • 황정연 : 11대 해군참모총장

4 4기

5 5기

6 6기

7 7기

8 8기

9 9기

  • 박희재 : 6대 해군제2참모차장(15대 해병대사령관)
  • 최상화 : 15대 해군참모총장

10 10기

11 11기(1953년 입학/1957년 임관)

해사의 첫 4년제이다. 공교롭게도 육사도 11기부터 4년제이다. 공사는 1기부터 4년제.

  • 성병문 : 7대 해군제2참모차장(16대 해병대사령관)

12 12기(1954년 입학/1958년 임관)

  • 박구일 : 8대 해군제2참모차장, 17대 해병대사령관

13 13기(1955년 입학/1959년 임관)

14 14기(1956년 입학/1960년 임관)

15 15기(1957년 입학/1961년 임관)

16 16기(1958년 입학/1962년 임관)

17 17기(1959년 입학/1963년 임관)

18 18기(1960년 입학/1964년 임관)

19 19기(1961년 입학/1965년 임관)

20 20기(1962년 입학/1966년 임관)

21 21기(1963년 입학/1967년 임관)

22 22기(1964년 입학/1968년 임관)

23 23기(1965년 입학/1969년 임관)

24 24기(1966년 입학/1970년 임관)

25 25기(1967년 입학/1971년 임관)

  • 김성만 : 작전사령관, 38대 해군사관학교장
  • 윤연 : 작전사령관, 37대 해군사관학교장

26 26기(1968년 입학/1972년 임관)

27 27기(1969년 입학/1973년 임관)

28 28기(1970년 입학/1974년 임관)

29 29기(1971년 입학/1975년 임관)

30 30기(1972년 입학/1976년 임관)

31 31기(1973년 입학/1977년 임관)

32 32기(1974년 입학/1978년 임관)

  • 황기철 : 30대 해군참모총장
  • 원태호 : 44대 해군사관학교장, 합동참모차장까지 지냈으나 위의 황기철 제독에게 밀려 대장 진급이 좌절되었다. [1]

33 33기(1975년 입학/1979년 임관)

  • 구옥회 : 48대 해군사관학교장을 역임 후 15년 5월에 전역하였다. 참고로 구 제독의 아들 구정명 중위도 해사 67기 출신이다.
  • 유낙준 : 30대 해병대사령관
  • 홍재성 : 해병대부사령관 역임.

34 34기(1976년 입학/1980년 임관)

  • 이호연 : 31대 해병대사령관
  • 정호섭 : 23대 작전사령관. 해군참모차장 역임 후 31대 해군참모총장에 임명

35 35기(1977년 입학/1981년 임관)

  • 박찬석 : 해군소장. 해군본부 전력기획참모부장과 군수사령관을 지냈다.
  • 엄현성 : 해군작전사령관. 합동참모차장 역임 후 32대 해군참모총장에 임명.
  • 이기식 :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 이영주 : 32대 해병대사령관

36 36기(1978년 입학/1982년 임관)

  • 김시록 : 예) 소장, 현재 충북지방병무청장. 해병대부사령관 역임.
  • 박경일 : 20대 해군교육사령관. 2015년에 골프장 캐디 성추행 문제로 전역조치되었다.
  • 이범림 : 50대 해군사관학교장(현). 2015년 중장진급.
  • 이상훈 : 2015년 중장진급. 33대 해병대사령관.

37 37기(1979년 입학/1983년 임관)

38 38기(1980년 입학/1984년 임관)

  • 정안호 : 합참 전략기획본부 부장
  • 박성배 : 해본 인사참모부 부장
  • 박동우
  • 윤정상 : 초대 잠수함사령관(현)

39 39기(1981년 입학/1985년 임관)

40 40기(1982년 입학/1986년 임관)

육사42기, 공사34기와 마찬가지로 2011년에 대령에서 준장으로 진급하는데 1년이 연장됨에 따라 임관 후 26년이 지난 2012년에 준장 진급했다.

41 41기(1983년 입학/1987년 임관)

42 42기(1984년 입학/1988년 임관)

  • 김기노 - 똥별 청해부대 11진 지휘관이었던 대령 시절 제미니호 석방 작전을 지휘한 것으로 유명하다. 2012년 부식비, 유류비를 횡령한 것이 후일 밝혀지면서 군 검찰에 현행범으로 긴급 체포되었다.

43 43기(1985년 입학/1989년 임관)

44 44기(1986년 입학/1990년 임관)

  • 정승기 : 해병대

45 45기(1987년 입학/1991년 임관)

  • 김영수
  • 최원일 : 2010년 당시 천안함 함장. 천안함 사건으로 인한 탓인지 6년이 지난 현재도 대령진급을 하지 못하고, 중령계급으로 후방부대에서 복무중이다. 2015년 3월 기준으로 최 중령은 해군작전사령부 예하 8전투훈련단 종합전술훈련대대장으로 재직 중이다.

46 46기(1988년 입학/1992년 임관)

47 47기(1989년 입학/1993년 임관)

  • 안지영(安志榮) - 제1연평해전에서 참수리정 325호에서 부상을 입으면서까지 투혼을 발휘, 반격하여 을지무공훈장을 수훈.

48 48기(1990년 입학/1994년 임관)

49 49기(1991년 입학/1995년 임관)

50 50기(1992년 입학/1996년 임관)

51 51기(1993년 입학/1997년 임관)

52 52기(1994년 입학/1998년 임관)

53 53기(1995년 입학/1999년 임관)

54 54기(1996년 입학/2000년 임관)

55 55기(1997년 입학/2001년 임관)

56 56기(1998년 입학/2002년 임관)

57 57기(1999년 입학/2003년 임관)

58 58기(2000년 입학/2004년 임관)

59 59기(2001년 입학/2005년 임관)

60 60기(2002년 입학/2006년 임관)

61 61기(2003년 입학/2007년 임관)

62 62기(2004년 입학/2008년 임관)

63 63기(2005년 입학/2009년 임관)

64 64기(2006년 입학/2010년 임관)

65 65기(2007년 입학/2011년 임관)

66 66기(2008년 입학/2012년 임관)

67 67기(2009년 입학/2013년 임관)

  • 구정명 : 중장 보직을 무려 4개[2]나 역임했던 구옥회 제독(해사 33기)의 아들이다. 특이한 것은 구 제독이나 구정명 씨나 모두 임관할 때 박근혜 대통령과 악수를 했다는 것이다. 구 제독은 79년에 임관하면서 영부인 대리 자격으로 임관식에 참석한 큰영애[3]와 악수를 했고,구정명 씨는 13년 임관식 때 임관자 대표로 박근혜 대통령과 악수하였다. 현재 구정명 씨는 중위고, 올해 말이나 내년에 대위로 진급할 예정이다.

68 68기(2010년 입학/2014년 임관)

69 69기(2011년 입학/2015년 임관)

70 70기(2012년 입학)

71 71기(2013년 입학)

72 72기(2014년 입학)

73 73기(2015년 입학)

  1. 참고로 임관할 때는 이 기수 수석으로 임관했다.
  2. 해군작전사령관, 해군교육사령관,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해군사관학교장 4개를 역임하였고, 1기수 후배인 정호섭 제독과 해군참모총장 자리를 두고 경합을 벌였으나 해군 인사적체 때문에 정호섭 제독이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3. 큰 + 영애(윗사람의 딸을 높혀 부르는 말). 동생인 박근령은 작은영애라고 불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