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위함/역사

전투용 수상함의 역사
고속정, 초계정/역사초계함/역사호위함/역사구축함/역사순양함/역사전함/역사

The Great Ships: The Frigates

1 18세기 ~ 19세기

Lutine1.jpg
(A Magicienne-class frigate)프랑스 호위함(frigate) Lutine, launched in 1779년

프리깃은 보통 속도와 항해성능을 우선시하여 설계한 경무장 군함을 일컫는다. 18세기초까지는 포갑판이 1~2개인 프리깃이 주를 이었으나 18세기 중반에 한개의 포갑판을 가지고 2개의 포갑판에 나눠서 탑재하던 함포를 한개의 포갑판에 탑재하기 위해 그만큼 길고 날렵한 선체를 가진 전통적인 프리깃이 나왔다. 프리깃은 주력함인 전열함에 비해 전투력은 떨어지지만, 뛰어난 항해 성능과 적당한 무장을 통해 전열함을 보좌하거나 기동성이 느린 전열함이 수행하기 힘든 정찰과 상선 호위등 힘든 다양한 임무들를 수행했다. 나폴레옹 전쟁 당시에는 소설 혼블로워처럼 단독으로 비밀 작전을 수행하거나 포상금을 노리기에 좋아서 프리깃 함장이 되는건 굉장히 매력적인 일이었다.

249px-US_Navy_101021-N-7642M-317_USS_Constitution_returns_to_her_pier_after_an_underway_to_celebrate_her_213th_launching_day_anniversary.jpg
USS Constitution(미국 프리깃)
미영전쟁 당시의 대형 프리깃 USS 컨스티튜션은 미해군 초창기 건조된 6개의 대형 프리깃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함선으로, 영국 해군의 전열함 빅토리처럼 현재까지도 미국 해군의 보스턴 해적에 남아있으며 실제 건조 200주년을 기념한 1997년에는 자력항해도 행한 적이 있다.

사실 미국의 호위함은 나름대로 전통이 있는 분류인데, 미국 건국 초기때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미국 독립전쟁 직후 미국해군은 도리어 마주치는 영국해군을 압도적으로 바르며 다녔는데 그 이유가 바로 10여 척 정도 밖에 안되는 미 해군 프리깃이 전부 프리깃을 한참 초월한 신형의 고성능 함선들이었기 때문. 애초부터 프리깃 헌터로 설계됐던 대형 프리깃이었고, 심지어 상황이 잘 받쳐주면 50문급이나 64문급의 낮은 급수의 전열함과도 그럭저럭 싸워볼만 했다고 한다.

독립 이전의 미국은 영국의 식민지였고, 영국 본토에서와 같이 많은 자원을 먹는 전열함급을 만들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프리깃을 최대한 강력하게 만든 것이 이런 결과를 가져온 것. 최소 2층 포갑판의 전열함과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싸울 수 있는 함선을 건조하려고 만들어진 함선이다. 실제 영국등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2층 포갑판의 전열함들을 1층으로 다운그레이드한 대형 프리깃을 실험적으로 건조하고 그 가치는 충분히 인정했으나 어차피 주력함인 전열함의 보유도 많고 프리깃들 역시 많았기 때문에 예산등의 문제로 소수만 건조되었다. 사실 영국은 해양국가라서 식민지를 포함한 지켜야할 해역은 많은데 배가 늘 부족하다보니 충분한 물량의 군함을 요구한데다가 처음으로 대형 프리깃을 제작한 프랑스 해군의 혁명으로 인한 전력약화로 38문급 프리깃으로 만족하는데 그친거였다.

여담으로 프리깃이 실질적인 주력함을 차지하면서 영향을 받은 라제(Razee)와 개량형인 갤리 프리깃(galley frigate)이라는 것도 등장하였다. 라제는 기존의 전열함의 상갑판을 뜯어내 경량화시킨 것으로[1], 기본 선체가 전열함의 그것인지라 튼튼하지만 기동성은 낮았다.

미국의 라제선 USS Independence.@

갤리 프리깃은 바르바리 해적들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배로, 17세기 초 이후에도 해적들이 범선들의 주무장이 측면에 집중되어 있고, 바람의 방향과 강도가 제대로 맞춰주지 않으면 자유로운 이동/선회가 힘들다는 점을 노려 호위함들이 지키는 상선들을 호위함들의 사각에서 공격하거나 심지어 호위함을 직접 공격하자, 노선이 없던 영국 해군이 '더 이상 눈 뜨고 코 베일 수 없다고!'를 외치면서 브릭이나 호위함을 개조해 보조 동력으로 노를 저어 움직이는 종류의 범선을 만드는데, 이것이 갤리 프리깃이다. 참고로 다른 유럽 국가들은 기존에 쓰던 갤리선을 투입해 해결했다.
intro.png
갤리 프리깃 챨스 겔리(Charles Galley)를 그린 유럽의 삽화.@
다만 이런 형태의 배를 영국 해군이 최초로 개발한 것은 아니며, 그 이전부터 상선들이나 해적선들 중에는 범선의 단점 보완을 위해 유사한 형태의 배를 만들어 써 왔다.

갤리 프리깃과 유사한 형태의 배인 어드밴처 갤리(Adventure Galley). 유명한 해적선장 윌리엄 키드의 해적선이었다.# 자매함으로 위에 챨스 겔리가 있었다.

갤리 프리깃은 노를 젓는다는 점에서는 갤리와 유사하고, 또 실제로 갤리라는 단어가 이름에 들어가지만 갤리하고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그것은 주 동력의 차이인데, 갤리는 돛이 있지만 엄연히 주 동력은 노를 젓는 노선이기에 노의 수가 많도 할당인원도 많지만 갤리 프리깃은 돛을 주 동력으로 하는 돛단배이기에 노의 갯수나 할당인원이 갤리보다 적고 선체의 형태도 다르다.

2 2차대전

Lochmorlich.jpg
(1944년)HMCS Loch Morlich, 영국의 로크급 호위함(Loch-class frigate) 기준 1,435톤/만재 2,260톤
2차대전 중에 미국에서 임시적으로 상선의 호위를 맡기기 위해 제작한 호위항공모함이라는 것도 있긴 하지만, '호위함'이라는 것 외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

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 현대

현대의 전투 수상함 체계
고속정/고속함초계함호위함구축함순양함
어뢰정미사일 고속정원양초계함(OPV)

320px-USS_Independence_LCS-2_at_pierce_%28cropped%29.jpg
미해군인디펜던스급 연안전투함 (2,784 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함이 몰락하고, 각국 함대의 주력이 순양함으로, 다시 구축함으로 축소되면서 그 보다 작은 크기의 함선에 프리깃이라는 명칭을 부여해서, 상대적으로 구축함보다는 작지만 초계함이나 고속정보다는 큰 함종의 이름으로 재정립되었다. 구축함이 과거 전함이나 중순양함이 맡던 포지션을 차지한 상황에서 호위함은 과거 범선시대 프리깃, 혹은 2차 대전시대 구축함이 차지하던 위치를 되찾았다고 볼 수 있다. 과거 냉전 당시 방공구축함이 작전을 주도하고 이를 보다 저가의 호위함이 보조하였고(대표적으로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대잠 호위함) 현대에는 우수한 방공,대잠성능의 위상배열레이더탑재 방공구축함이 작전을 주도하고 자함방공과 균형잡힌 대잠성능을 지닌 호위함이 이를 호위하고 있다. 이로써 구축함은 범선시대 전열함, 호위함은 범선시대 프리깃의 위치를 다시 찾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나아가 함급 관계없이 평등한 타격력을 갖게 해주는 미사일의 발달에 힘입어, 호위함은 구축함의 대타역할이 가능할수 있을정도로 발전하게 된다. 구축함보다 배수량에서 밀릴뿐이지 레이더, 대공 미사일, 대함 미사일, CIWS, 헬기 등의 주요 전투장비만 충실히 갖춘다면 호위함도 이론적으로는 구축함에 충분히 필적하는 전투력을 갖출수 있을것이라 기대되었으며, 비싼 방공구축함을 다수 마련하지 못하는 중소국가들에게 있어 호위함은 구축함을 대신할수 있는 전력이자 확고한 주력함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4 관련 항목

  1. 이런 경량화를 라제잉(razeeing)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