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갈돌(카운터 스트라이크)

(De cbble에서 넘어옴)
50px CS:GO 현역
기차신기루핵시설자갈돌고가도로무기창고인페르노

1 개요

자갈돌
파일:Cbble500.png
현역 여부현역
맵 이름de_cbble
시나리오폭파 시나리오 임무
대테러부대GIGN
테러리스트피닉스 커넥션
이 문서는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자갈돌은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의 폭파 시나리오 맵으로, 1.5부터 있던맵이다.

본래 핵시설과 같이 CT 맵 투 탑으로 악명이 높았지만 1.34.1.1버전 부터 맵을 조금씩 수정 하기 시작해서 현재의 자갈돌이 됐다.[1]

1.6과 소스때도 대회용으로 오래 쓰였지만 CT가 많이 유리했던 것이 사실이라, 후에 대회 전용으로 제작되어 큰 호응을 얻은 de_tuscan으로 대체되었다. 하지만 인기는 원래 많았기 때문에 de_forge로 개조되어 1.6 말기에 돌아온 de_mirage와 함께 잠깐 쓰였다.[2] 우선 맵 크기가 줄었으며, CS:GO의 코블보다는 1.6시절의 코블에 더 가까운 형태를 갖고 있다.

실내나 코너 등 샷건을 이용하기 좋은 곳이 많아서 샷건 선택률이 꽤 높은 맵이기도 하다. 프로 경기에서도 이 맵에서 샷건을 사용하는 모습을 꽤 자주 볼 수 있다. 심지어 다른 맵에서는 아예 안 쓰이는 소드오프가 이용되기도 한다.

2 맵 구조

?.jpg
폭탄 설치 구역은 A와 B가 있으며 미드를 통하지 않고 A로 가는 길은 없다 굳이 있다면 스카이폴(사진에는 drop)에서 커넥터로 나간 다음에 A로 가는 길이 있다.
B로 가는 길은 미드를 통하지 않고 Bhalls로 가거나 미드를 통해서 dragon으로 가는 길이 있다.

맵이 수정된 이후로 T와 CT의 실력이 비슷하다면 T가 B러시만 주구장창 가도 계속 뚫리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보통 T가 B플랫폼에 먼저 도달하는데 CT입장에선 SKYFALL도 신경써야 하고 B플랫폼의 테러는 가슴~머리만 보이는데다가 B에 CT가 숨을 장소가 많이 사라졌기 때문.

일반적인 맵 구조는 A는 넓은데에 있고 B는 벽으로 둘러싸인 좁은 공간 이지만 이 맵은 A와 B 둘 다 비슷비슷하다. 패치 전에는 B가 오히려 A보다 컸었다!

2.1 테러리스트 시작 지점

latest?cb=20140728210035.jpg
일반적으로 Tspawn, TB(terrorist base) 라고불린다, 테러리스트가 시작하는곳이다.
사다리를 타고 저격수 둥지로 올라가서 미드를 보거나 계단을 타고 바로 B로 갈 수 있다.

2.1.1 저격수 둥지(sniper nest)

latest?cb=20140728210033.jpg
(사진은 패치전 사진이다 수정 바람.)
T 스폰 옆에 있는 사다리를 타거나 미드 가는 길 옆에 나있는 사다리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주로 CT가 러시를 자주 온다 할 때 여기서 차단한다 하지만 역으로 저격당할 수도 있으니 주의.

2.2 A, 대 테러리스트 시작 지점

일반적으로 CTspawn, CTB라고 안 불리고 A라고 불린다. 그 이유는 둘이 붙어있기 때문에.. [3]
따라서 여기에선 A로 설명한다. 가는 길은 두 개가 있으며 둘 다 미드를 거칠 수밖에 없다. 커넥터 를 통해서 갈 수 있지만 그렇기엔 오래 걸리는 데다가 CT 시작 지점을 겸하기에 CT가 바로 위치를 잡을 수 있다. 그래서 B보다는 선호도가 떨어지는 편. 하지만 한번 제대로 털리는 순간 겉잡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2.2.1 A long

미드에 있는 CAT부터 LONG A까지를 통 들어서 Along이라고 부른다. CT의 저격수 둥지의 삭제로 예전보다 가기는 쉬운 편하지만 언더패스는 여전히 존재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2.2.1.1 HAY

A 가는 길 중 교전이 자주 일어나는 곳 중 하나이다. 여기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CT가 더 빨라서 가끔씩 CT가 이쪽을 통해서 cat으로 러시를 오기도 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건초더미 위에 올라갈 수 있는데 여기에 CT가 숨어있을 수도 있다.

2.2.1.2 LONG A

역시나 주교전지 중 하나. 언더패스에 있다가 스테어로 백업을 오는 CT를 포함해서 cubby 등 CT가 숨을 곳이 많기에 주의가 매우 필요하다. 가끔씩 옆에 두 명이 부스팅 해서 올라갈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조심하자.

2.2.2 underpass

CT 쪽 저격수 둥지의 삭제로 그 자리를 여기가 대신한다.[4] 가끔씩 여기를 통해서 러시를 갈 수 있지만 대부분 T 쪽 저격수 둥지에 숨어있는 저격수에게 당한다... 러시를 갈 거라면 연막을 뿌리고 Z로 가는 걸 추천한다.

2.2.2.1 계단

사진의 stairs 롱 A와 언더를 연결해주는 구간. T는 여기를 꼭 살피자.

2.3 B

맵 수정 이후로 CT가 숨을 곳이 많이 사라지고 skyfall, Blong 이 한 곳으로 모이지 않게 되어서[5] 매우 자주 간다.
패지 전에는 CT 맵이었던 자갈돌이 패치 이후에는 T맵으로 불리는 이유 중 하나.

2.3.1 B halls

T가 B로 갈 때 쓰이는 구간이다 spiral 가면 skyfall로 갈 수 있고 Bmain으로 가면 Blong으로 갈 수 있다. 아니면 dragon을 통해 미드로 빠질 수 있다.

2.3.1.1 B long

여기를 통해 Bplat으로 갈 수 있다. 과거에는 옆에 벽이 없었고. skyfall로 가든 여기로 가든 한 곳으로 몰리기 때문에 학살(...) 당하기 일쑤였다 하지만 벽의 추가로 CT 입장에선 신경 쓸 곳이 한 곳 늘어난 데다 플랫폼 위로 올라가지 않는 이상 소리 외에는 알 길이 없기 때문에... skyfall 보다 많이 간다.

2.3.1.2 B plat

Blong 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 돌난간 때문에 CT는 T가 가슴부터 머리밖에 보이지 않는다. 플랫폼에 숨을 수 있는 공간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2016년 6월 9일 패치로 B플랫에 계단이 생겼다. 이 계단으로 T 치중이였던 B사이트에서 CT가 좀 더 힘을 얻었다는 의견이 나온다.

2.3.1.3 Skyfall

Blong 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kyfall이라고 불리는데 사진처럼 drop으로 불리기도 한다. 일단 내려오면 창문을 통해 커넥터로 나갈 수 있고. B로 갈 수도 있다. 주로 T가 B 러시를 갈 때 한두 명이 일로 가서 커넥터를 통해 백업 오는 CT를 차단하기 위해 간다. 이름과는 달리 역으로 올라올 수도(...) 있는데 비스듬하게 세워진 나무판자 위에 CT 두 명이 부스팅 해서 역으로 올라오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2.4 연결부

Connector라고 불린다 예전에는 따로 있는 육교를 통해서만 skyfall로 들어갈 수 있었는데 맵 수정 이후로 육교가 삭제되어서 창문을 통해 갈 수 있다.
B가 뚫리면 A에 있던 CT가 백업을 오기 위해 거쳐가는 곳.

2.4.1 HUT

가끔씩 A에 폭탄을 설치하고 T 쪽 저격수가 여기를 통해서 balcony에서 해체하러 오는 CT를 저격한다 주의...이지만 대부분 커넥터를 통해 백업 오는 데다가 vent 와는 달리 커넥터에서 올 때 걸으면 소리가 나지 않기 때문에 그러기 힘들다.

2.5 미드

일반적인 맵에 비해 가운데에 있지 않기 때문에 야드라고도 불린다. A로 가기 위해선 T가 꼭 거쳐야 하는 부분. 예전에는 저격수 둥지에서 CT 쪽 저격수를 처리하고 갔지만 CT 쪽 저격수 둥지가 삭제되어서 T 쪽 저격수가 더 유리하다. 그렇기에 CT는 미드 러시 갈 때 조심하자..

2.5.1 드래곤

벽에 용 그림이 있기 때문에 Dragon[6][7]이라고 불린다 미드와 Bhalls를 연결해주는 곳인데. 미드에서 간을 보던 T 쪽 저격수가 B로 갈 때 자주 이용한다.

그 외로 CT가 연막을 뿌리고 언더에서 나와 Z[8]를 통해 Bhalls로 갈 수 있다.
  1. CT 쪽의 저격수 둥지의 삭제, 커넥터 축소, B 뒤쪽이 사라지는 등 엄청난 수정이 가해졌다 처음 나왔을때를 보고 싶다면 여기서 맵을 받아서 해보자 현재의 자갈돌을 해본 적이 있다면 엄청난 괴리감이 느껴질 것이다.
  2. ESWC 2011 모스크바5 vs. SK 게이밍의 경기.#
  3. 자갈돌만 이러는게 아니라 고가도로 맵도 이렇다.
  4. 있었을 적엔 여기에 있는 사다리를 통해서 올라갈 수 있었다.
  5. 패지 전에는 한 곳으로 모이기 때문에 CT 입장에서는 숨을 곳도 많고 신경 쓸 곳도 하나여서 B 막기는 거저먹기였다.
  6. 여기있는 드래곤 그림은 스킨 AWP | 용의 전설 의 모티브이다.
  7. 이 용은 고가 도로 내의 벽에서도 볼 수 있다.
  8. Snake라고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