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und-Based Interceptor

(Ground Based Interceptor에서 넘어옴)
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미국러시아중국독일
패트리어트 / THAAD
GBI / Aegis Ashore
Buk / S-200 / S-300
S-400 / S-500
A-135 / A-235
HQ-9
HQ-16
MEADS
일본대한민국이스라엘프랑스/이탈리아
03식 中SAM
N-SAM
천궁
L-SAM
아이언돔 / David's Sling
애로우
SAMP/T
대만이란인도북한
천궁天弓1/천궁天弓2/천궁天弓3Talas 대공방어시스템아카시 / 바락 8KN-06


GBI: Ground-Based Interceptor (지상 기반 요격체)

1 제원

GBI
전장16.8 m
직경1.27 m
중량12,700 kg
비행속도24,000km/h
비행고도약 2,000km
사거리약 5,300km
추진체계오비탈 사이언스 사의 3단계 고체연료 로켓[1]
탄두Exo-Atmospheric Kill Vehicle[2]
발사 플랫폼지상배치 사일로
가격[3]7천5백만 달러

2 개요

GBI는 미국이 개발 중인 Missile Defense 체계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적국의 탄도 미사일을 대기권 밖에서 요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SM-3와 함께 미사일 방어의 중간 단계를 담당하고 있으며, 여기서 놓친 탄도탄의 재돌입 단계 요격은 THAADPAC-3가 맡게 된다.

3 요격 방식

GBI는 이전 세대의 나이키 스파르탄[4]과는 달리 핵탄두를 탑재하고 있지 않으며, 탑재한 요격체로 적 미사일을 직격하여 운동에너지만으로 파괴한다는 특징이 있다.

사일로에서 발사된 GBI는 지상으로부터 적 탄도탄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탑재된 센서를 작동, 적을 식별한다. 이후 최적의 시점에서 요격체(EKV)를 사출하고, 사출된 요격체는 장착된 적외선 센서로 적 탄두를 관측해가며 추격, 격파한다. GBI의 핵심인 EKV는 THAAD의 그것과 거의 같은 물건으로 요격 방식, 능력과 한계 역시 동일하다고 봐도 될 수준이다.[5]

4 한계

THAAD와 마찬가지로 EKV에 탑재된 적외선 센서가 디코이와 탄두를 제대로 구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 외에도 러시아신형 탄도탄들은 궤도 변경이나 탄두 냉각 등 GBI의 추격을 뿌리칠 수 있는 수단들을 갖추고 있다.

5 구성

GBI는 크게 오비탈 사이언스의 3단계 고체연료 로켓[6]과 레이시온의 외기권 요격체(EKV)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 통합은 보잉이 맡았다.

사격통제체계는 콜로라도 스프링스의 미사일방어통합작전국(MDIOC)에서 주로 이뤄지며, 포트 그릴리를 통해 전달된다.

6 운용

이동 배치가 가능한 다른 미사일 방어체계들과는 달리 GBI는 고정된 사일로에서만 운용된다.

2013년에 알래스카의 포트 그릴리에 26기, 캘리포니아의 반덴버그에 4기가 배치되었으며, 2017년까지 14기가 추가 배치되어 총 44기가 운용될 계획이다. 먼저 배치된 30기 중 10기는 업그레이드된 EKV가 탑재될 예정이다. 폴란드체코에 배치될 계획도 있었으나 취소되었다.

다중 요격체 등의 탄두 업그레이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성과는 감감무소식이다.

7 여담

세계에서 가장 비싼 미사일로, (핵탄두 제외 시) 같은 부류의 우주발사체인 ICBM이나 SLBM보다도 비쌀 지경이다. 물론 탄두를 온전히 포함하면 순위가 다시 뒤바뀌지만.

  1. 탄두는 자세제어를 위해 액체연료 추진체 사용
  2. 요격체 직접 충돌 방식
  3. Unit Cost
  4. 미사일로 미사일을 쏴 맞춘다는 건 당시 기술로는 불가능했으므로, 핵폭발방사선이라는 광역기로 미사일을 요격한다는 개념이었다. ABM조약 체결 후 미국은 이 방식의 미사일 요격을 단념했지만, 같은 개념으로 만들어진 소련A-135는 아직도 가동 중이다.
  5. 미 해군의 SM-3는 자세제어에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등의 큰 차이가 있다.
  6. 회사의 상업용 발사체인 타우러스 기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