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nautica/생물


SUB NAUTICA
자원과 수집요소탈것제작
지형생물공략

1 개요

Subnautica에 등장하는 생물의 종류는 굉장히 많지만 게임 플레이에 영향을 미치는 종류만 소개한다. 파란색은 무해하며 잡아서 섭취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종류, 주황색은 비선공이지만 위협을 당하면 반격하는 종류, 붉은색은 플레이어를 보면 선공하는 종류며, 검은색은 먹지 못하고 다가가서 무슨 뻘짓을 해도 반응을 안하는 그냥 장식용인 잉여종이다.

편의상 움직이는 유동형 생물과 제자리에 가만히 있는 부동형 생물로 구분한다. 또한 스캔 가능한 어종은 이름 옆에 ★ 표시를 한다.[1]

제작자의 블로그에는 게임에 출현 예정인 수많은 생물들이 컨셉아트로 그려져있다. 상당히 섬세하고 신기하게 그려진 생물들이 많음으로 한번쯤 가서 관람해보자. [2]

등장하는 생물 대부분은 몸에서 생물발광(Bioluminescence)을 한다. 때문에 밤이나 어두운 지역에서는 특정 부위가 빛나는 것을 볼 수 있다.[3]

Power Nap 업데이트 이후로 거의 모든 생물들을 스캔, PDA데이터 뱅크를 채울 수 있다. 스캔은 가능하지만 설명이 나오지않는 경우는 언어를 영어로 변경해서 시도하면 된다.

2 분류

2.1 동물군(Fauna)

Subnautica/생물/동물군 항목 참조.

2.2 식물군(Flora)

Subnautica/생물/식물군 항목 참조.

3 생명체 알(Eggs)

주워서 대형 수족관에 넣으면 부화시킬 수 있다. 대형 수족관에서 부화한 생물은 식용 생물을 제외하면 필드 상에서 볼 수 있는 생물보다 크기가 작은데,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 커지게 된다. 또한 공격성이 있는 생물들은 먼저 공격하지 않으면 플레이어나 다른 생물들을 공격하지 않으므로 안심해도 된다. 차후 DNA채취기능이 업데이트되면 기술발전의 주력이 될것으로 예상된다.

비교적 개체수가 많은 생물군(토끼가오리, 모래상어, 뼈상어 등)은 알을 발견하기 쉬운 것에 비해, 개체수가 적은 생물군(리프백, 메스머 등)은 알을 발견하기가 꽤 어려운 편이다.

모든 알의 크기는 정사각형이며, 아래 표기된 크기는 부피값이다. (예 : 9=3x3)

사진이름크기설명
토끼가오리 알(Rabbit Ray Egg)1안전한 여울에서 볼 수 있다.
모래상어 알(Sand Shark Egg)4초원 평야에서 볼 수 있다.
메스머 알(Mesmer Egg)1쿠시 존에서 볼 수 있다.
가소포드 알(Gasopod Egg)4안전한 여울에서 볼 수 있다.
뼈상어 알(Boneshark Egg)4버섯 숲, 쿠시 존, 수중제도에서 볼 수 있다.
크랩스네이크 알(Crabsnake Egg)4젤리버섯 동굴의 젤리버섯 안에서 볼 수 있다. 셔틀버그 알과 텍스쳐를 공유한다. 추후에 알의 모델이 변경되어 셔틀버그 알과 다른 텍스쳐를 사용할 예정이다.
리프백 알(Reefback Egg)9초원 평야에서 볼 수 있다.
스페이드피시 알과 텍스쳐를 공유한다.
스토커 알(Stalker Egg)4켈프 숲에서 볼 수 있다.
젤리가오리 알(Jellyray Egg)4버섯 숲, 대산호에서 볼 수 있다.
셔틀버그 알(Shuttlebug Egg)1어디에서 발견되는지는 추가바람.
크래시피시 알(Crashfish Egg)1안전한 여울 동굴, 켈프 숲 동굴에서 볼 수 있다.
앰프일 알(Ampeel Egg)4쿠시 존, 블러드 켈프 존에서 볼 수 있다.
스페이드피시 알(Spadefish Egg)1어디에서 발견되는지는 추가바람.

4 미등장 생물

  • 말 그대로 미등장이라 소분류를 하지 않습니다.

아직 게임에 공식적으로 등장하지 않고, 실험판에서 치트로 모델링을 볼 수 있는 생물들이다. 차후 업데이트로 공식적으로 등장한다면 수정바람.

  • 씨 엠퍼러(Sea Emperor)

트레일러 막바지에서 그 위엄을 드러낸 거대 생물. 리퍼 레비아탄보다 거대한 해양 생물로, 콘솔을 통해 만들어진 모델링을 불러오는게 가능하다...만, 현재로서는 사이클롭스와 같은 모습.[4] 과거에는 사이클롭스 보다 더 작게 소환됐다. 의외로 비선공/중립적일수도 있다고도 한다. 현재 모델링이 구현되었다.

치트키로 부르면 수영 모션없이 돌아다니는데 레비아탄처럼 플레이어보다 씨모스를 우선순위 잡아 집요하게 공격한다. 근데 아직 공격모션이 없고 그냥 들이박기만 한다.

이후 밝혀진 설정을 보면, 행성 4546B의 토착 종족인 선구자들이 행성에 퍼지고 있는 감염성 세균인 카라를 막기 위해, 카라를 치유할 수 있는 효소를 만들어낼 수 있는 이 씨 엠페러를 붙잡았다고 한다. 현재 이 붙잡혀 있는 암컷 씨 엠페러와 4개의 알이 행성에 남아있는 유일한 씨 엠페러 개체들이라고 한다. 여담으로 몇몇 개발자들은 녀석의 성별 때문에 "씨 엠프리스(Sea Empress)"로 부른다.

  • 록 펀처(Rock Puncher)

공작갯가재를 닮은 생물로, 록그러브가 성장한 형태이다. 이름처럼 단단한 앞다리를 이용하여 지형을 파괴하는 생물로 추가될 예정이다. 켈프 숲 또는 심해 암초지역에 서식할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게임에서 만날 수 있는 록그러브는 원래 록 펀처의 주요 먹이라는 설정이었지만 이후 설정 변경으로 록 펀처의 유생으로 취급된다.

여담으로 꽤 일찍이 공개된 생물임에도 불구하고 Power Nap 기준으로 아직까지 이 녀석을 치트로 소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큐트 피시(Cute Fish) 귀여운지 안귀여운지는 개인의 판단에 맡기겠다.

동글동글한 외모를 가진 조그마한 생물. 플레이어를 보면 마치 호기심을 가진 듯이 둘러보는 행동이 추가될 예정이며, 개발 노트에 따르면 애완용으로 길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PDA 설명을 보자면 플레이어에게 관심을 같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는데 다분히 애완용 큐트 피시를 염두에 두고 한 설명으로 보인다. 개발 영상을 보면 재주를 가르치는 것 또한 가능하게 개발할 것으로 보인다. 서식지는 얕은 지역이나 버섯 숲에나올 것이라고 추측된다.

초기 컨셉아트를 보면 크래시처럼 자폭하는 생물로 기획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큐트 피시는 크래시보다 먼저 디자인된 생물인데 원래는 컨셉아트처럼 자폭 생물로 구현할려다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너무 귀엽다."라는 이유로 따로 크래시를 만들었으며, 현재 큐트 피시의 자폭 설정은 갈아엎어진 상태이다. 다행이다.

여담으로 몸 뒤쪽으로 난 다섯 개의 촉수때문에 씨 드래곤 레비아탄과 씨 엠퍼러의 친척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만약 진짜라면 정말 무시무시한 친척을 둔 것이다.

  • 스파이크 트랩(Spike Trap)

호랑이식물처럼 플레이어에게 공격성을 보이는 부동형 생물로 추정된다. 관련 영상 여담으로 PRAWN 업데이트 이전에는 호랑이식물의 씨앗 아이콘에는 호랑이식물이 아니라 이 스파이크 트랩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었다.

  1. 대부분의 부동형 생물들 또한 스캔이 가능하지만 상당수의 자료에 생물 설명이 적혀있지 않다. 때문에 이 문서에서는 스캔시 정보가 뜨는 부동형 생물에게만 ★ 표시를 한다.
  2. 씨 엠페러, 라바 리저드 등이 모델링이 완료 되었고 곧 추가 예정이다.
  3. 예를 들어서 피퍼같은 경우에는 양쪽 눈, 가소포드는 눈과 꼬리쪽 포낭 기관이 빛난다.
  4. 사실 리퍼 레비아탄도 치트로만 소환시킬 수 있었던 당시에는 거의 스토커만한 크기였다. 그러니 씨 엠퍼러도 공식적으로 등장한다면 전보다 더 큰 모습으로 나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