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nautica/지형


SUB NAUTICA
자원과 수집요소탈것제작
지형생물공략

1 개요

생존 게임 Subnautica에 등장하는 지형을 정리한 문서.

2 생물 군계(Biome)

깊이에 따라 단 3개의 군계만 있었던 파스카이와 달리 다양한 군계를 자랑한다.

이 지도는 동굴 등 해저지형은 제외되었으며, 그 외 자잘한 특수지형까지 알고 싶다면 이 지도를 참조.

무한정 나갈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정해진 구역 밖으로는 더이상 진전 할 수 없다. 전체 "지형"은 거의 모든 부분[1]이 수몰된 거대한 부유섬과 같은 구조로, 가로/세로가 각각 5km정도에 가장 아래에 위치한 밑면이 대략 수심 3km즈음에 위치하며, 일부는 8백여 미터에서도 발견된다. 이 지형과 맵의 경계선 사이의 좁은 구간을 '보이드'[2]라고 부르며, 심해저의 미개발된 직육면체 지형을 흔히 "모노리스 지대"라고 부른다.[3] 보이드너머로 나가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잠수는 무한히 할 수 있다. 때문에 수심이 100km가 넘는 곳 까지 내려가는게 가능하지만, 3km를 넘긴 이후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암흑만이 반겨줄 뿐이다.

  • 안전한 여울(Safe Shallows), 켈프 숲(Kelp Forest), 초원 평야(Grassy Plateaus), 버섯 숲(Mushroom Forest)지역은 서브노티카가 출시됐을 때부터 나와있었다.
  • 쿠쉬 존(Koosh Zone)과 대산호(Grand Reef)는 처음부터 있었지만 미완성된 상태였으며, 대산호는 이후 패치로 완성되었다.
  • 지도에 경계선인 Void - (outside the map) 지역에 가면 전진이 안되며 온도계를 보유하고 있을시 0.00도가 된다.
  • 지하 동굴로 내려가면 가끔 아무 것도 없는 구멍을 발견할 수 있는데, 무한정 내려갈 수 있다. 하지만 100,000m를 내려간다 하더라도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

H2.O Update로 밤에 상당히 어두워졌기 때문에 씨글라이드만으로는 야간에 안전한 여울, 켈프 숲, 초원 평야같이 깊지 않은 바다를 누비고다니기가 녹록치 않게 되었다. 비록 수심이 250m를 넘는 깊은 바다나 해저 동굴같은데는 볕이 들지 못하는 대신에 이끼나 버섯, 산호 등이 생체발광으로 밤낮이 없는 세계를 밝혀 준다만, 어차피 그런 깊은 곳은 맨몸으론 턱도 없고 씨모스도 강화가 없으면 버틸 수가 없기 때문에 결국 문풀같이 테크를 좀 타고 나서야 비로소 방문할 수 있게 되므로 논외로 치자.

2.1 안전한 여울(Safe Shallows)

안전한 여울
Safe Shallows
금속고철(=티타늄), 티타늄, 구리 광석, 은 광석(매우 희귀)
광물석영, 소금결정
기타 자원산성버섯, 크래시 분말, 일반산호 조각, 원반산호 조각
파편태양광 패널 파편, 씨글라이드 파편
생물블래더피시, 부메랑, 크래시피시, 크래시식물, 개리피시, 가소포드, 홀피시, 훕피시, 셔틀버그, 피퍼, 토끼가오리, 산성버섯, 원반산호, 산호대롱, 플로터,모래상어
수심1~80m

밝고 따뜻한 물로 다양한 어종과 산호가 서식하고 있다. 이름처럼 비교적 안전하나 가소포드가 있어서 플레이어가 지나가면 오염지대를 만들기도 하며, 이곳의 동굴 내부에는 이따금 크래피시가 살고 있어 주의를 요한다. 몇몇 동굴은 바위로 막혀 있는데 플로터를 붙이거나 아래 모래를 파거나 안에서 밀어 열 수 있다.

탈출 포드에서 남쪽으로 탐사해서 밑으로 내려가다보면 온천수가 용출하는 곳이 하나 있다. 용암 분출하는 소리가 시끄러워서 쉽게 갈 수 있다.

이름 그대로 비교적 안전한 곳이지만, 씨모스 타고 지나갈 땐 산성버섯을 주의하자. 워낙에 수심이 얕아서 바닥에 붙어다니기 쉬운데, 티타늄 등 자원을 찾느라 바닥에 붙어서 다니다 조금이라도 가속해서 부딪히면 그대로 풀피 상태에서 박살나고 기껏 장착해둔 비싼 모듈까지 싸그리 날려먹을 수 있다. 이외에 혹시라도 동굴 앞을 지나다가 튀어나올 수 있는 크래시피시를 주의하자.

또한 몇몇 지역에서 모래상어가 서식한다.(...) 단순히 초원평야와 인접해서 먹이를 쫓느라 잠시 있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눌러앉아 산다. 극초반에 특유의 포효소리가 들리면 닥치고 도망가자.

중반을 넘어가다 보면 아무래도 시작지점 주변이라 온갖 자원을 싹 털기 때문에 이빨 파밍으로 남겨둔 스토커 정도가 아니면 산호 외에는 남는 자원이 없게 될 확률이 높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필드에 존재하던 이동식 탈것 제작기 파편을 찾을 수 없어 초반난이도가 상승하였다. 켈프 숲 잔해를 뒤져보자.

2.2 켈프 숲(Kelp Forest)

켈프 숲
Kelp Forest
금속고철(=티타늄), 티타늄, 구리 광석, 은 광석, 금
광물소금결정
기타 자원크립덩굴 줄기, 크립덩굴 씨앗, 스토커 이빨
파편씨글라이드 파편, 이동식 탈것 제작기 파편, 태양광 패널 파편
생물블래더피시, 아이아이, 호버피시, 피퍼, 메스머, 토끼가오리, 바다바늘, 스토커, 블리더, 산호대롱, 원반산호, 크립덩굴, 나무거머리, 피그미부채, 자색뇌산호, 셔틀버그, 크래시피시, 크래시피시식물
수심25~150m
이 행성의 생명체는 매우 뚜렷하고 다양한 생태학적 생물군계 속에서 생장하고 있습니다. 더 깊은 연구를 추천합니다.

Life on this planet grows in unusually distinct and diverse ecological biomes. Further study recommended.

파스카이에서도 등장한 해초 정글. 안전한 여울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갈 수 있고 크립덩굴들이 굉장히 많이 자생하고 있으며, 스토커들이 돌아다닌다. 이곳의 동굴 내부에는 비교적 더 위험한 생물들이 있으며, 자원이 풍부한 편이나 비교적 덜 귀한 자원만 나온다.

자원이나 물고기 등을 수집 할 때에는 스토커를 조심해야 한다. 사암이 가끔 발견되므로 초반 빌더와 탈것 제작기[4] 제작을 위해 스토커를 무릅쓰고 필히 방문하게 될 지역. 어차피 깊이도 산소 탱크 달면 부담되지도 않는다. 영 껄끄럽다면 씨글라이드를 빠르게 만들고 돌아다니자. 스토커가 워낙에 빠르고 공격적이라 순식간에 네 번 물리고 죽을 것이다. 대신 건전지를 말 그대로 퍼먹는 수준이기 때문에 예비건전지를 두 세개 정도는 챙기는 게 좋다.

초반에 켈프 숲을 안전하게 돌아다닐 수 있는 팁으로, 피퍼를 여러마리 잡아서 퀵슬롯에 저장한 후 피퍼를 들고 돌아다니면서 파밍을 하면 스토커가 공격을 하듯 다가오더라도 피퍼만 잡아먹고 가기 때문에 [5] 공격당하지 않고 안전하게 파밍할 수 있다. 뒤에서 공격당해도 상관없이 피퍼만 잡아먹고 간다.근데 가끔 재수없게 피퍼도 뺏기면서 동시에 공격까지 당할때도 있다. 다만 초반에 피퍼를 잡는 것 자체가 쉽지 않으므로 그냥 씨글라이드와 배터리 충전기를 활용하는것이 더 빠르고 편하긴 하다.

또다른 팁을 주자면, 대산호와 맞닿아 있는, 남쪽의 켈프 숲에선 메스머와 스토커가 출현하지 않는다. 그래도 블리더는 출현하니 조심. 탈출 포드 위에 서서 보면, 물 위로 증기가 솟구치는게 보일텐데, 그 분화구 바로 앞의 켈프 숲이다. 단, 여기는 석회암이 잘 안보이는 지역이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사암을 비교적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젤리버섯 동굴 입구까지 바이옴 경계가 조정됐다.

2.3 초원 평야(Grassy Plateaus)

초원 평야
Grassy Plateaus
금속고철(=티타늄), 은 광석, 금(희귀), 리튬(희귀)
광물소금결정
기타 자원보석 원반산호 조각
파편씨모스 파편, 배터리 충전기 파편, 이동식 탈것 제작기 파편, 생체반응로 파편, 프런수트 드릴 팔 파편, 프런수트 집게 팔 파편
생물메스머, 리프백, 레지널드, 모래상어, 스페이드피시, 원반 산호, 바다바늘, 호랑이식물, 젤리버섯, 빨간따개비, 포자낭, 바이터
수심40~460m
단거리 스캔은 이 풀로 덮인 생물군계가 해저면의 위와 아래의 대규모 생물다양성을 떠받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Short range scans suggest this grassy biome supports extensive biodiversity both above and below the surface.

심해의 홈(?)비슷한 지역으로 상당한 지역에서 부터 연결이 된다. 비교적 판판한 모래 지형에 시뻘건 조류가 잔뜩 자생한다. 얕은 물과 켈프 숲을 접하고 있기에 쉽게 찾을 수 있다. 켈프 숲으로는 금은 파밍이 슬슬 한계가 올텐데 자연스럽게 여기로 오게 될 것이다. 이 지역에는 사암이 널려있기 때문.

일단 이 지역은 못해도 50m 밑으로 켈프 숲보다 비교적 깊고, 특히 평원지대는 대부분 90m를 넘기 때문에 씨글라이드만으로는 장시간 파밍이 까다롭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돌아다니고 싶다면 어떻게든 탈것 제작기와 씨모스 파편을 입수해서 씨모스를 만들어 타고 다니는 게 좋다. 이 외에 수직 동굴 중에는 젤리버섯 동굴인 경우가 많다. 젤리버섯 동굴에는 더욱 다양한 생물들이 살고있으며, 호랑이식물 동굴이라는 장소도 있는데 입구에는 보통 바다바늘들이 지키고 있다. 내부에는 희귀한 자원들이 많지만 이곳도 안전한 곳은 아니기 때문에 씨모스를 타고 들어가는것이 좋다.

붉은 조류 사이에 사암이 곳곳에 숨어있는데, 잠수함을 탄 상태에선 굉장히 찾기 어렵다. 직접 헤엄쳐 다니며 밑을 보면서 수집하다가 재수없으면 호랑이 식물이나 바이터, 모래 상어의 공격을 당하기도 한다. 한 가지 팁을 주자면 그래픽 옵션을 최저옵으로 맞추면 붉은 조류가 나풀거리지 않고 그냥 떡진 형태로 바뀌어 사암을 찾기 훨씬 쉬워진다. 사암에서 유일하게 은 파밍이 가능하고, 사암을 구하기 가장 쉬운 지역이라 후반까지 꾸준히 방문하게 될 지역.

처음에 심해의 홈이라고 한 이유는 상당한 지역 - 안전한 여울, 켈프 숲, 버섯 숲, 대산호, 심해 암초, 수중 제도, 블러드 켈프 숲 - 으로 연결이 돼서이다.

오로라 호 엔진쪽,그러니까 뒤쪽에 인접한 초원 평야와 켈프 숲 경계를 따라 헤메다 보면 길게 찢어진 입구가 보이는데 바로 젤리버섯 동굴의 버려진 기지 바로 위와 연결된 지역이다. 팁을 주자면 포드에서 내리자마자 오로라 엔진 쪽으로 가면 바로 만날 수 있다. 이쪽은 켈프 숲, 얕은 물, 초원 평야 세 지형이 만나는 지역이라 자원 파밍하느라 멀리 갈 필요도 없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필드에 존재하던 일부 파편을 수집할 수 없다. 켈프 숲 동굴을 탐색해보자. 용접된 문으로 막힌 잔해 속에 프런수트 팔 파편이 있으니 탐험해보자. 특히 유용할 드릴 팔은 17번 구명포드 바로 옆에 있는 거대 잔해에 여러개 굴러다니니 반드시 찾아서 회수하자.

2.4 버섯 숲(Mushroom Forest)

버섯 숲
Mushroom Forest
금속금, 리튬, 티타늄(매우 희귀)
광물소금결정, 다이아몬드(희귀)
기타 자원원반산호 조각, 균류 조각
파편사이클롭스 함교 파편, 싸이클롭스 선체 파편, 파워셀 충전기 파편, 전력송신기 파편, 프로펄전 캐논 파편
생물블래더피시, 뼈상어, 젤리가오리, 메스머, 나무버섯, 산성버섯, 나무거머리, 피그미부채, 리퍼 레비아탄(희귀),크랩스퀴드(남쪽 외곽 한정)
수심125~200m
이 구역의 생물자원 대부분은 식물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드물게 분포해 있는 알테라 기술 신호를 얻으십시오.

The biomass in this area is dominated by plantlife. Picking up faint Alterra technology signatures.

거대한 나무버섯이 우거진 곳으로 사이클롭스를 몰고 들어오기엔 굉장히 어렵다. 시작 지점에서 북동쪽에 하나, 북서쪽에 하나 있다. 보통 나무버섯 밑둥 근처에 채광할 광물이 많다. 이곳의 동굴은 푸른 발광 식물이 은은한 푸른 빛을 내뿜어 신비로운 분위기가 난다. 리튬을 가장 안정적으로 모을 수 있는 곳이다. 젤리가오리는 버섯 숲과 젤리 버섯 동굴, 대산호에서만 산다. 15년 8월 업데이트 이후 메스머가 아주 희귀하게 보이고, 균류 조각은 생체 반응로 연료로 쓰인다.

나무버섯의 줄기부분이 지형으로 인식되어 씨모스의 소나와 씨글라이드 맵에 표시가 된다. 이를 이용해 쉽게 버섯 숲을 찾을 수 있다.

동북쪽 버섯 숲의 외곽을 지날 땐 조심하자. 여긴 오로라호 근처인지라 리퍼 레비아탄이 종종 쫓아온다. 리튬 파밍한다고 느긋하게 돌아다니다 뜬금포로 "쿠오오오오오" 하는 특유의 울음소리와 함께 리젠돼서 얼굴 앞에 튀어나오는 리퍼 레비아탄은 상당한 공포. 저 멀리 웬 해룡 한 마리가 보인다면 재빨리 도망가자. 수심이 낮다면, 낮짝에 스테이시스 라이플을 갈겨준 후, 다이아몬드 나이프로 회를 떠주자. 다이아몬드 강화 나이프가 마르고 닳도록 찢어야하니, 수시로 역장을 다시 생성시켜주어야 한다.

북서쪽에 있는 버섯 숲에는 초대형 나무버섯이 있는데, 이 나무버섯은 내부에 복잡한 동굴 연결망이 있다. 탐사하면 나름 괜찮은 자원을 찾을 수 있으니 산소통은 넉넉히 가져가는게 좋다. 특히 초대형 나무버섯은 경치가 매우 좋아서 사진을 찍은 다음 바탕화면으로 이용하는 유저도 있다. 이곳은 켈프 숲과 매우 비슷한 환경을 가졌다. 또 대산호 쪽 숲은 둘러보다 보면 나무버섯에 걸려있는 오로라 호 잔해를 발견할 수 있고 플러드 켈프와 경계가 있는데 여기에는 크랩스퀴드가 순찰하는 대신 비교적 얕은 수심에서 우라니나이트 파밍이 가능하다.

Machinery 업데이트로 스캐너 룸의 스캐닝이 가능해졌다. 이 스캐너 룸은 모래언덕 지대에서도 발견된다. 스캐너 룸 건설지역 주변의 자원탐색이 가능하며,부속된 카메라 드론으로 돌아다닐 수 있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필드에 존재하던 일부 파편을 수집할 수 없다. 사이클롭스 파편 두 종류는 각각 북쪽 버섯 숲, 남쪽 버섯 숲에 따로 존재한다.

2.5 쿠시 존(Koosh Zone)

쿠시 존
Koosh Zone
금속
광물다이아몬드, 소금 결정
기타 자원원반산호 조각, 쿠시 덩어리
파편외계생물 격납고 파편, 발광봉 파편
생물뼈상어, 아이아이, 원반산호, 쿠시덤불, 앰프일, 매스머, 바이터
수심225~405m
화산활동과 이 지역에 몇몇 특이한 전자기적 신호가 감지되었습니다.

Detecting volcanic activity, and several unusual electromagnetic signatures in the region.

마리모같이 생긴 쿠시덤불이 자생하는 곳으로 단 한 곳, 오로라 호 뱃머리 북쪽쯤에서 버섯 숲을 따라 내려가면 갈 수 있다. 푸르스름한 쿠시덤불과 분홍색 식물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밤이면 쿠시덤불이 발광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화산지대와 밀접해있기도 하고 쿠시 존을 돌아다니다 보면 분화구도 볼 수 있어 열 발전기를 설치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쉽게 현무암을 얻을 수 있는 구역이기 때문에, 추후 다이아몬드의 용도가 다양해진다면 중요한 역할을 할 지역. 근처에 오로라 호 잔해가 있는데 그 속에서 LED 전등 막대기(LED Light stick)이라는 광선검처럼 생긴 휴대용 조명기구의 청사진을 얻을 수 있고 다른 버전의 화분 청사진도 얻을 수 있다.

분화구 주변에 잘 보면 널린 게 자철석이니 많이 챙겨두자. 다만 수심 200m를 넘겨야 나오는 지역이라 잠수함 없이 가는 건 매우 힘들고 앰프일와 뼈상어, 바이터 등등이 많이 나온다.

이 쿠시덤불은 나이프로 채취해서 먹거나 심을 수 있다. 종종 초거대 쿠시덤불도 볼 수 있지만 나이프로 채취가 불가능하다.

2.6 대산호(Grand Reef)

대산호
Grand Reef
금속고철(=티타늄), 티타늄, 구리 광석, 리튬, 산화알루미늄 결정체, 수은 광석, 우라늄
광물다이아몬드, 소금결정, 석영,우라나이트 결정
기타 자원없음
파편외계생물 격납고 파편, 열발전기 파편, 사이클롭스 수압 내성 파편, 문 풀 파편, 스캐너룸 파편
생물스페이드피시, 뼈상어, 부메랑, 아이아이, 훕피시, 레지널드, 부유바위, 세포막나무, 젤리가오리, 블래더피시, 씨 트리더, 크랩스퀴드(깊은 수심)
수심200~1500m
이 지역 어딘가에 있는 대량의 티타늄 덩어리가 감지되었습니다. 이것이 오로라 호에서 유래되었는지는 확신할 수 없습니다.[6]

Detecting a titanium mass somewhere in this area. Unable to confirm whether it originated on the Aurora.

그물에 걸린 공 처럼 생긴 부유바위, 검은 흑요석 등이 있는 곳이며 초보 플레이어들에게 2위로 강한 무서움을 보여주는 곳이다. 8월 업데이트 후로는 부유바위가 말 할 수 없을 만큼 늘어났지만 음산한 분위기는 조금 약해졌다. 개발자는 추후 부유바위가 기뢰처럼 건드리면 터지는 오브젝트로 업데이트할 생각이라고 한다. 15년 8월 업데이트로 다양한 생물과 자원이 추가되었다. Machinery 업데이트로 약 400m 이상의 심해지역에 크랩스퀴드가 돌아다니므로 조심하자.

자원광물로는 먼저 얕은 곳(200~300m 사이)에서는 석영과 리튬, 파편을 굉장히 쉽게 구할 수 있다. 장소에 따라서 정말 널려있다고 표현할만큼 자원이 풍부하다. 고철은 없지만 흩뿌려진 잔해들을 스캔한다면 급한대로 필요한 티타늄은 금방 구할 수 있을만치 잔해들이 많다.

가끔씩 아틀란티스 비슷한 고대 유적을 발견했다면 꼭 들어가 보길 바란다. 이 안에 있으면 생물이 공격하지 않는다(!).

약 600m 지점, 대산호 용암 지대의 시작 부분과 가까운 곳에 아주 깔끔하게 잘린 절단면 같은 부분이 있는데 대략 3군데 정도 입구가 있다. 들어서면 거대한 크기의 사각형 지형, 모노리스 같은 지형이 나타난다. 이곳을 헤매면 점점 더 깊게 내려갈 수 있는데 내려가면서 보이는 모든 지형은 완전한 사각형 평지와 벽으로 이루어져있다. 아직 개발이 덜 된 곳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지형은 뱀버섯 동굴 깊은 곳의 절벽지대 아래쪽에서도 나타난다. 현재 Subnautica의 전체 맵은 무한한 바다위에 떠있는 거대한 부유섬과 같은 형태로, 자원이나 생명체가 존재하도록 짜여진 곳은 수심 1,200m[7]보다 윗쪽 뿐이다. 각주에 언급된 두 지역은 특이한 경우이며, 대부분의 경우, 500m보다 아래로 내려가려면 맵 외곽으로 가야한다. 맵 외곽은[8] 수직절벽으로 되어있으며, 약 1,500m까지는 벽면에 모래가 드문드문 보이고 또한 벽면이 울퉁불퉁하다. 여기에 도달하면 높이 수십m정도 솟아오른 석순들이 조금 보이다가 얼마안가서 다시 수직절벽이 나타난다. 이 아래는 모든게 화산암질로 되어있으며, 흔히 말하는 모놀리스 지역이 바로 여기다. 그렇게 3,000m정도까지 내려가면 드디어 맵의 밑바닥에 온 것이다. 그 아래엔 아무것도 없는 깜깜한 바다만이 존재한다.[9] 이 모놀리스는 맵 밑바닥 전역을 덮고있으며[10] 맵 안쪽의 밑바닥은 수심이 1,000m정도밖에 안되는 곳도 있다. 여길 헤메다 보면, 운좋게 뱀버섯 동굴로 통하는 수직절벽[11]이나 대산호지역 남서쪽의 종유동굴[12]을 통해 얕은 곳으로 올라올 수 있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필드에 존재하던 일부 파편을 수집할 수 없으며, 더 이상 필드에 널려있지 않고 테크를 올리기 위한 필수구조물인 문 풀 파편이 이 지역 잔해에 있어서 탐험이 필수적이다.

2.7 심해 암초 지역(Sparse Reef)

심해 암초 지역
Sparse Reef
금속티타늄, 구리 광석, 리튬, 수은 광석
광물석영, 소금결정,우라나이트 결정
기타 자원없음
파편파워셀 충전기 파편, 담수기 파편
생물블리더, 셔틀버그, 레지널드, 록그러브, 스페이드피시, 앰프일
수심40~480m
이 지역의 생물다양성은 매우 낮습니다.원인은 알 수 없습니다.

“Biodiversity in this region is unusually low. Cause unknown.

8월 업데이트로 추가된 지역으로 시작지점에서 남서쪽으로, 대산호에서 북쪽으로 가면 나온다. 이 지역도 역시 음침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별로 위험한 생물은 없지만 블리더와 다음 업데이트 후 추가될지도 모르는 록 펀처가 걱정된다. 이 심해 암초 지역에는 연기를 뿜어내는 심해 화산이 좀 있는데 16년 9월 업데이트로 약 3~40도 이상의 고온이면 약 2초당 4 정도의 피해를 입으므로 마음껏 돌아다니고 싶으면 강화잠수복을 만들어 입어야 한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필드에 존재하던 일부 파편을 수집할 수 없다.

2.8 수중 제도(Underwater Islands)

수중 제도
Underwater Islands
금속티타늄, 구리 광석, 금, 우라늄
광물석영, 다이아몬드, 소금 결정
기타 자원없음
파편스테이시스 라이플 파편, 프로펄전 캐논 파편, 사이클롭스 엔진 파편, 프런수트 집개 팔 파편, 프런수트 그래플링 팔 파편
생물부메랑, 뼈상어, 케이브 크롤러, 개리피시, 훕피시,리퍼 레비아탄
수심10~600m
이곳에 매달린 땅덩어리들의 침식 패턴은 이들이 한때 수면 위로 떠 있었음을 암시합니다.

Erosion patterns on the landmasses suspended here suggest they once floated on the surface.

15년 8월 업데이트로 추가된 지역으로 시작지점에서 북쪽으로 가면 나타나며, 뼈상어가 많이 돌아다니기에 이 지역을 방문할 시 씨글라이더와 여분 건전지를 챙기도록 하자.

중간 크기 플로터의 부력으로 물 속에서 부유하고 있는 크고 작은 땅덩어리들이 있는 곳이다. 기존 플로터 섬에서 영감을 얻은 듯하다.

총 18개 섬이 있으며 몇 거대 섬은 동굴이 있다. 동굴 내부에는 다양한 광맥이 존재 하지만 케이브 크롤러들이 폴짝폴짝 뛰며 공격하니 주의하자. 이 지역은 정말 경치가 좋고 초원평야에 서식하는 시뻘건 조류들과 비슷한 색상의 식물이 있으며 몇몇 처음 온 유저들은 이곳에다 기지를 짓고 살고 싶어하기도 한다. 하지만 뼈상어가 내는 소음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수중 제도를 지나 계속 심해로 내려가면 500m 정도의 수심의 바닥에 이른다.굉장히 깊고 어두워서 무서워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바닥에는 블래더피시나 스페이드피시, 뼈상어 등이 서식하며 다수의 용암 분출구가 존재한다. 낮에 온다면 매우 밝지만 밤에 온다면 여기 처럼 무서운 곳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렇지 않은 유저도 있겠지만

수중 제도 중앙의 수심 240m 지점엔 열수구가 있는 섬이 있는데 자세히 보면 용암 분출구가 있는 밑바닥에서 이어진, 일종의 해저 화산임을 알 수 있다. (자원과 시간만 충분하다면) 열수구에서 해수면까지 수직 통로로 이어버린 다음 열 발전기+태양광 패널로 전력을 공급하는 플레이도 가능한 지역.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필드에 존재하던 일부 파편을 수집할 수 없으며, 지역 잔해에서 프런수트 팔 파편을 얻을 수 있다.

2.9 블러드 켈프 구역(Blood Kelp Zone)

블러드 켈프 숲
Blood Kelp Forest
금속금, 우라늄
광물석영, 다이아몬드,우라니나이트 결정
기타 자원혈유(Blood Oil)
파편스캐너룸 파편, 원자로 파편, 사이클롭스 수압 내성 모듈 파편, 외계생물 격납고 파편, 작업대 파편, 문 풀 파편
생물블러드덩쿨, 심해버섯, 스파인피시, 앰프일, 블러드 크롤러, 블러드 바이터, 크랩스퀴드, 워퍼
수심150~1,250m
이 생태학적 생물군계는 객관적으로 으스스한 생명체의 9개 전제 조건 중 7개와 일치합니다.

This ecological biome matches 7 of the 9 preconditions of being objectively creepy.

Shocking Update로 추가된 블러드 켈프 구역은 플로터 섬 북서쪽 근처에 존재하며, 근처의 수직으로 뚫린 동굴 또는 150미터 깊이에서 시작되는 거대한 균열을 통해 진입할 수 있다. Machinery 업데이트로 서쪽 버섯숲의 북쪽 지역에도 하나 추가되었다.

이곳에서는 블러드덩쿨이나 바닥에 떨어져있는 혈유(Blood Oil)와 석영을 주로 채집할 수 있으며, 특히 혈유는 11월 5일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된 "강화 다이빙 슈트(Reinforced dive suit)" 의 제작에 필요한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를 만드는데 필요해졌다. 또한 석영과 우라니나이트 결정을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지역으로, 락커를 설치한 사이클롭스를 끌고 와서 단시간에 대량의 석영을 채취할 수도 있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파편이 아예 없었던 지역에 원자로 같은 여러 가지 중요한 파편들이 많이 생겼다.

2.10 모래 언덕(Dunes)

모래 언덕
Dunes
금속티타늄(파편), 금, 은, 구리
광물석영, 리튬, 소금
기타 자원없음
파편잠수함 업그레이드 콘솔 파편, 열발전기 파편, 스틸슈트 파편, 격문 파편
생물케이브 크롤러, 아이아이, 개리피시, 록그러브, 리퍼 레비아탄, 스페이드피시, 모래상어, 셔틀버그
수심20m~ 250m
복수의 레비아탄급 생물이 이 지역에서 감지되었습니다. 당신은 자신이 하는 것이 무엇이든 간에 가치가 있다고 확신합니까?

Detecting multiple leviathan class lifeforms in the region. Are you certain whatever you're doing is worth it?

대놓고 리퍼 레비아탄 나온다고 광고한다

탈출 포드에서 서쪽으로 가면 나오는 지역. 허나 미니맵이 없고 중후반에 가야 나침반을 맞춰 방향을 알게 되는 본작 특성상 대부분은 초원 평야나 대산호를 찾아 헤매다가 갈 확률이 높다. 또는 그 반대이거나

모래 지역답게 모래상어가 출몰하며, 대부분 매끄러운 모래바닥이므로 자원파밍도 수월한 편이지만 대부분 들어가기 무섭게 리퍼 레비아탄의 울부짖는 소리가 들려온다. 뜬금없이 나타나서 달려드는 리퍼 레비아탄은 공포 그 자체. 또한 이 지역은 블러드 켈프 구역과도 연결되어 있다. 이 모래지역을 해매다가 거대한 동굴/균열을 통해 들어갈 수 있다. 초원 평야로도 연결이 된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파편이 아예 없던 지역에 스틸슈트를 담고 있는 보물단지 잔해와 일부 파편이 필드에 생성됐다. 여담으로 이 업데이트 전에는 거대한 쿠쉬 한개가 뒹굴고 있었다.

2.11 플로터 섬(Floater Islands)

플로터 섬
Floater Islands
금속리튬
광물소금 결정
기타 자원없음
파편다목적 방 파편, 담수기 파편, 관측실 파편, 벽걸이 파종기 파편, 격문 파편, 실외재배기 파편, 실내재배기 파편, 조명등 파편
생물바이터, 하늘가오리, 스페이드피시, 육상 식물들, 발광식물, 케이브 크롤러
섬 지면의 복수의 희미한 에너지 신호를 회수하십시오.

Picking up multiple faint energy signatures on the surface of the island.

플로터 섬은 마운틴 섬 외에도 해수면에 떠있는 지형 중 하나로써, 얼핏 보면 그냥 녹림이 우거진 열대섬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 섬은 바다 위에 둥둥 떠 있다. 잠수해 보면 거대한 플로터들이 섬 바닥에 들러붙어 섬을 띄우고 있기 때문. 대산호 지역 위쪽에 떠있으므로 남쪽 방향으로 가다가 웬 큰 섬이 보인다면 대산호 지역에 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문풀, 테라포머, 열발전기 등등의 파편을 구하는 거점지 역할로 쓸 수도 있겠다.

섬 내부에는 다른 곳에서 볼 수 없는 다양한 생태계가 구축되어있으나, 현 빌드에선 구경과 일부 루팅 외엔 할 게 없는 곳이다. 물 속으로 들어가 섬의 바닥을 보아도 몇 개의 산호 덩어리 외에는 루팅할 다른 광물이나 금속도 없다. 현재 탈출포드 위에서 주위를 둘러보면 "조금 이상하리만치" 둥둥 바다 위를 떠다니는 구름덩어리들이 보인다. 이는 멀리 있는 이 플로터 섬을 비롯한 들을 가리기 위함이고, 현재 두 섬은 탈출포드에서 오로라 호를 정각기준으로 바라보고 5시, 10시방향에 해당 구름이 뜬것을 발견할 수 있다.[13] 5시 방향의 구름으로 직진하다보면 어느새 구름사이로 이 플로터 섬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다.

종종 땅에서 자라난 리튬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상하게도 외계행성인데도 아무리 봐도 인위적인 갈색 흙길이 있는데 짐작할 수 있듯 길을 따라 가다보면 부서진 해저 기지가 산정상과 섬뒤쪽에 있는데, 뒤쪽 부서진기지에는 생존자의 일지와 보급품, 그리고 식용식물을 재배하던 작은 밭때기가 있고 섬정상에 있는 두개의 기지엔 식물표본과 책상과 의자가 있다. 또한 섬곳곳에 식물들이 늘어나고 심심치않게 인위적인 식물 재배지가 보인다.

안정적으로 생산 가능한 식용식물을 재배함으로서 기지에서 식량걱정할 일을 없앨 수 있으므로 중반에 들러볼 가치가 있는 곳이다.

단, 아주 스트레스 받을 만큼 지형을 무성의하게 만들었는지 중력 자체를 개무시해서 점프가 원하는 방향의 정반대로 뛰기 때문에 기지 탐사 하기 전에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길을 따라가도 오브젝트에 걸려 제대로 올라가지 못하거나 해당 지점에서 저장하고 게임을 다시 켰을 때 땅에 파묻힌 상태로 시작해서 복구 불능 상태로 만들거나 하는 등 버그 아닌 버그가 판치는 곳이라 정착지로 삼기는 불능에 가깝다. 이 부분은 마운틴 섬도 마찬가지. 그냥 실내 식물 재배기와 현수과를 이용한 식량난 해결을 하기 위한 좋은 장소로 후딱 넘기고 다른 곳을 탐사하는 것이 이득.

플로터 섬으로 입장할 수 있는 해변가 가까이에 씨모스를 세우다가 바로 밑의 지면에 걸려 씨모스가 움직이지 않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 밀고 나가는 방식으로는 시간이 엄청 오래 걸리기 때문에[14] 되도록이면 씨모스를 섬으로부터 멀찌감치 세워놓자. 아니면 빌더의 사다리 건설을 이용해서 다시 바다로 밀어버릴 수도 있다.

원래는 섬 자체에 자원이 생성되지 않았으나 Power Nap 업데이트 이후 랜덤하게 리튬이나 소금 덩어리, 사이클롭스 함교 파편 등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다목적 방이 스캔을 필요로 하게 되면서 이전보다 일찍 방문하게 되는 지역이다.

2.12 마운틴 섬(Mountain Island)

마운틴 섬
Mountain Island
금속리튬, 금, 우라늄
광물소금 결정, 자철석, 산화 우라늄 결정
기타 자원
파편잠수함 업그레이드 콘솔 파편, 프런수트 어뢰 팔 파편, 프런수트 집개 팔 파편, 사이클롭스 엔진 파편, 작업대 파편, 강화 잠수복 파편
생물바이터, 하늘가오리, 스페이드피시, 육상 식물들, 발광 식물, 케이브 크롤러, 리퍼 레비아탄
지대해저 475m ~ 해발 110m
대규모의 에너지 신호가 이 지역에서 감지되었습니다.확인할 수 없습니다.

Detecting massive energy signature in the region. Cannot identify.

수중 제도 지역에서 북부로 올라가면 발견할 수 있는 마운틴 섬은 플로터 섬 외에도 해수면 위에 있는 지형 중 하나로써, 부유하는 플로터 섬과는 다르게 땅에서 솟아올라온 형태로 되어있는 진정한 의미의 땅이다.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110m, 가장 깊은 곳은 지하동굴을 포함해 약 475m 까지 내려간다. 섬에는 상당수의 케이브 크롤러가 돌아다니고 있으며 하늘가오리들이 근처에서 날고 있다가 내려와서 쉬기도 하며, 다양한 식물들이 섬 전체에 분포되어있다.

그 외에는 특별한 것이 없는 섬. 플로터 섬과 헷갈리지 않도록 조심하자. 내려가봐도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도 리퍼 레비아탄이 살고 있으며, 심지어 때에 따라 두마리가 사이좋게 노는 모습을 목격할 수도 있다. 갈 일이 있다면 꼭 씨모스에 근접방어모듈을 달거나 사이클롭스를 몰고가자.

이 섬에는 약간의 버그가 존재하는데, 플레이어가 섬 위에 있을 때 리퍼 레비아탄이 땅 속에서 튀어나와 즉사시키는 버그가 존재한다. 섬 근처에서 리퍼 레비아탄의 울음소리가 들린다면 재빠르게 산 위로 올라가거나 도망치는 것을 추천. 잠깐 방심했다간 맨 몸으로 리퍼 레비아탄의 얼굴을 마주보게 될 수 있다.

여담으로 섬 안쪽에 존재하는 지하동굴에 들어가면 굉장한 경치를 구경할 수 있는데[15], 본적도 없는 수많은 오브젝트들이 잘 꾸며져있다. 단, 섬 안쪽에서 지하동굴을 통해 진입하게 될 경우엔 물 속에 들어가고 난 후부터 출구로 나올때까진 숨쉴 곳이 없으므로 주의할 것.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파편이 없던 지역에 잔해가 생기고 프런 슈트 어뢰 팔 파편을 수집할 수 있다.

37754 패치에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는 대공포와 같은 레이저포대가 하나 생겨났다.

2.13 추락 구역(Crash Zone)

추락 구역
Crash Zone
금속티타늄(파편), 구리
광물석영, 소금
기타 자원보급상자
파편없음
생물개리피시, 블래더피시, 리퍼 레비아탄, 아이아이, 모래상어, 스토커, 피퍼
수심?
상승중인 방사능 수치가 감지되었습니다.

Increased radiation levels detected.

오로라 호가 추락하면서 생긴 인공적 지형. 오로라 호 밑바닥이 긁어 버려서 별다른 해저 지형 없이 모래와 바위투성이이며, 따라서 필연적으로 모래상어가 걸핏하면 바닥에서 튀어나온다. 또 당연하겠지만 오로라 호 수리 이전에는 방사능 천지이므로 보호의 없이는 방문이 불가능하다. 오로라 호 폭발의 여파로 중소형 잔해도 흔히 흩어져 있고, 보급상자 파밍이 가장 쉬운 곳이지만 역시나 그놈의 리퍼 레비아탄이... 이놈이 출몰할 것을 대비해서 보호의를 입었더라도 반드시 씨모스를 타고 방문하자.일단 리젠하면 맨몸이라면 씨글라이드가 있더라도 결국 따라잡히기에 그냥 죽어야 한다.

운만 좋다면 보급상자 10~20개씩 까면서 건전지,파워셀 등을 수북하게 확보할 수 있다. 파워 냅 업데이트로 충전기까지 있으니 더욱 버릴 구석이 없다.

2.14 씨 트리더의 길(Sea Treader's Path)

씨 트리더의 길
Sea Treader's Path
금속티타늄(파편), 구리
광물리튬,구리,산화알루미늄 결정,금,수은,석영, 소금
기타 자원씨 트리더의 똥(..)
파편
생물씨 트리더, 세포막나무, 심해버섯, 부유바위
수심170~360미터
(이 지역의) 해저면에 있는 식물들의 손상은 이곳이 거대하고 바닥을 걷는 생물의 회유경로(回遊經路)임을 암시합니다.

Damage to plantlife on the seafloor suggests this may be the migration path of a huge, bottom-dwelling lifeform.

씨 트리더와 함께 추가된 지형.대산호와 맞닿은 곳이라 대산호를 헤메다 보면 닿을 수 있고, 그 외에도 심해암초지대와도 맞닿아 있다. 조금 더 가면 모래 언덕이므로 리퍼 레비아탄의 메아리가 들리면 긴장하자.

이 지역은 대산호보다도 안전하다. 선공형 생물은 애초에 없는데다 기껏 반격하는 씨 트리더는 기다란 주둥이 겸 다리에 맞으면 즉사하지만 애초에 씨 트리더의 발치에서 깝치지 않는 이상은 죽을 일이 없고, 씨 트리더들을 따라가서 자원채취만 해도 본전은 건진다.

이 지역에도 잔해가 존재하며, 여기에서만 프런 슈트 프로펄전 캐논 입수가 가능하니 샅샅이 뒤져보자. 다만 PRAWN 업데이트 전에는 씨 트리더와 심해 버섯 밖에 없기때문에 잔해가 전혀 없다.

3 특수 지형

3.1 오로라 호(Aurora)

오로라 호
Aurora

소개영상

기존에 플레이어가 타고 왔던 우주선. 항해 중에 알 수 없는 에너지 파동으로 추락하여 불타고 있다. 다가가면 방사능 경고음이 울리는 것을 통해서 원자력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DA에 적힌 툴팁에 따르면, 8기통 암흑물질 반응로를 탑재했으며, 0.25km3[16] 크기의 광물저장고와 온갖 A급 이상의 장비, 시설을 갖췄다고 한다. 왜인지 리조트 시설만은 C+등급이다..? 덤으로 승무원은 총 101명이었으나. 주인공을 뺀 나머지 100명은 전부 사망한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이후 추가된 탈출포트 PDA를 보면 주인공처럼 탈출에 성공한 사람도 있는 듯 하다.

게임 시작 후 게임 내 시간으로 첫째날 해질녘이 되면 오로라 호가 폭발하며, 이후 방사능 보호의가 있으면 오로라 호 내부를 탐색할 수 있다.[17] 오로라 호의 앞으로 진입할 수 있는데 가는 길에 높은 확률로 리퍼 레비아탄이 나타나니 반드시 씨모스, 구급상자, 용접기는 필수로 가져가야 한다. 오로라 호 주변에는 고철이 많이 떨어져 있으며, 큼직한 잔해들도 있는데 이 잔해들 내부에는 주로 보급 상자가 있다. 열어보면 소중한 건전지, 파워셀, 청정수 등이 나오니 보인다면 빠짐없이 챙기자.

오로라 호의 파괴된 앞부분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면 보급 상자가 상당히 많다. 케이브 크롤러가 공격하니 주의.

잔해를 타고 내부로 들어가면 방사능이 뿜어져 나오는 근원인 전력공급실이 나온다. 전력공급실 중앙 원자로를 잘 보면 11개의 파손된 부위가 있다. 용접기로 전부 수리하면 방사능 누출이 멈춰서 3일 이후 방사능 보호의가 없어도 오로라 호를 방문할 수 있게 된다. 전력공급실 중앙에는 사이클롭스용 전력 효율성 33% 모듈[18]이 있으니 반드시 챙기자.

후방에 가까운 곳에는 모래 언덕이 있어서 올라갈 수 있는데, 얉은 곳에 멍하니 있다가는 재수없으면 리퍼 레비아탄이 한입에 꿀꺽 삼켜줄 것이니 주의. 최대한 높이 올라가면 주위 바다를 돌지언정 직접 공격하지는 않는다. 어떻게 탈출할지는 알아서

오로라 호가 폭발한 뒤 원자로를 수리하지 않고 그냥 방치해 두면 방사능이 점점 퍼져나가 방사능 보호의가 없으면 결국 탈출포드나 기지를 버리고 도망가야 한다. 따라서 방사능 보호의를 만들어 오로라 호 원자로를 수리하는 게 게임의 최초 목표가 된다.

오로라 호 주변의 보급상자를 루팅하다 보면 '신호'라는 미완성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데 이걸 사용하면 랜덤하게 맵의 특정 지점의 거리를 알려준다만 직접 가보면 실망할지도 모른다. 자세한 건 아이템 설명 중 신호 항목을 참조.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로 오로라 호 측면의 구멍이 사라지고, 오로라호 내부가 더욱 위협적이게 바뀌었다. 길이 조금씩 수정됐고, 천장에서는 수시로 불똥이 떨어지며, 물이 있는곳에는 거의 블리더가 몰려다니고, 소화기로 불을 진압하며 탐색해야 한다. 다음 장비를 챙길 것을 권장한다.

  • 용접기 : 반응로 및 중간중간 있는 자동문 제어 콘솔을 수리해야 한다.
  • 레이저 커터 : 프런 슈트 청사진을 얻을 수 있는 루트 진행에 필요. 제작에 필요한 다이아몬드는 대산호 입구지대의 50~100미터 지대의 현무암을 부숴서 얻을 수 있다.
  • 메디킷 다수 : 대량의 떨어지는 불똥과 화염지대, 크롤러와 블리더가 성가시므로 최소 2개는 들고 가야 한다.루트상 무조건 체력이 빠지는 구간이 존재한다!
  • 스캐너 : 다수의 가구 스캐닝에 필요
  • 예비건전지 한두개 : 내부에 대량의 건전지가 있으므로 충분히 수급 가능하다.출발 전 모든 장비가 100% 충전되있다면 농담 안하고 안 가져가도 좋다.오로라에서 차고 넘치게 스폰되므로 이것도 굳이 안 가져가도 된다.
  • 프로펄전 캐논 : 오브젝트로 막힌 곳을 뚫고 지나가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입수 난이도가 높고[19] 다른 루트가 존재하므로 반드시 필요하진 않다. 갖고가기만 하면 오로라호 입구에서 공격하려고 가까이오는 크롤러들 죄다 바다로 던져버릴 수 있다
  • 나이프 : 블리더 처리에 필요.침수구역 곳곳에 최소 한두마리가 배회한다.
  • 소화기 : 곳곳을 막는 화염지대를 진행하려면 필수장비. [20] 한두개 정도 제작해서 가져가도 되고 시작시 있는 소화기를 지참해도 좋다.

물과 식량은 필요없다. 대량의 여과수가 부담스러울 정도로 스폰되며,영양바도 충분히 나오기 때문에 가져가 봤자 인벤토리만 아까울 뿐이다.

오로라 호 잔해로 들어가는 입구 근처에 소화기 하나가 떨어져있으며 챙기고 입장하면 T자 복도가 나온다. 오른쪽은 관리자사무실(Administration office)로 가구 청사진, 프런 슈트 포스터, 비밀번호 1454를 알려주는 PDA를 획득할 수 있다. 왼쪽은 3번화물칸(Cargo bay 3)으로 통하는 복도이며 입구를 막고있는 잔해를 프로펄전캐논으로 치우거나, 오른쪽의 높은 난간을 타고 뛰어넘어갈 수 있다.다만 소화기로 안 꺼지는 더 붉은 불이 타는 지대가 있으므로 체력감소를 감수하자. 잠긴 문의 비밀번호는 1454다.

화물칸에서 계속 전진하면 ㅗ자 복도가 나온다. 오른쪽은 씨모스 구획(Seamoth bay)으로 통하는 입구이며 망가진 패널을 용접기로 수리하면 들어갈 수 있고 시모스파편과 시모스모듈 하나를 얻을 수 있다. 직진하면 전력공급실(Drive room)로 통하며 입구의 화재를 진압하면 슬슬 소화기의 연료가 떨어질탠데 문 옆에 새 소화기가 있다. 거대한 발전기에 난 구멍들을 용접기로 수리하면 방사능누출이 멈추고 3일 후에 완전히 사라진다. 중앙콘솔에 사이클롭스 효율모듈을 획득할 수 있고 바로 밑 침수된 난간을 조사하면 PDA데이터를 다운받을 수 있다.나와서 왼쪽은 락커룸(Locker room)과 프런 슈트 구획(PRAWN bay)으로 통하며 레이저절단기로 뚫어야 들어갈 수 있다.

레이저절단기를 사용하고 문 콘솔을 수리하면 락커룸이 먼저 나오고 비밀번호 1869를 알려주는 버려진 PDA가 있다. 전진하면 프런베이가 나오며, 벽에 걸린 3개와 천장에 달린 1개의 프런수트 잔해를 스캔하면 모든 청사진을 얻을 수 있다. 왼쪽 계단 위로 올라가면 거주구역(Living quarters)이, 침수된 지역 아래로 잠수하면 오로라 호 바깥으로 통하는 구멍이 있다.

프런 슈트 구획 계단을 막고있는 장애물은 그냥 뛰어서(...) 넘어가거나 왼쪽 계단의 경우 프로펄전캐논으로 치울 수 있다. 거주구역엔 복도와 여러 개의 방이 있으며 침대와 선반, 자동판매기를 비롯한 가구청사진과 매우 많은 양의 영양바와 소독수, 2개의 포스터를 얻을 수 있다. 2개의 잠긴 방 중 오른쪽 방의 비밀번호는 1869이고 PDA와 가구청사진, 장난감인형을 얻을 수 있다. 왼쪽 방의 비밀번호는 현재 알려지지 않았다.

오로라 호 내부로 진입하는 길이 하나 더 생겼다. 이때까지 오로라 호 내부로 들어가는 길은 하나였으나 상륙하기 전 오른쪽, 수면 위로 작게 올라온 잔해에 보급상자와 프로펄전 캐논으로 없앨 수 있는 장애물로 막힌 입구가 있다. 장애물을 치우고 복도에 걸린 소화기로 불을 진압하면 비밀번호로 잠긴 연구실과 데이터 코일(Data coil), 그 옆에 버려진 PDA가 있다. 연구실 비밀번호 6483을 입력하면 PDA와 수집품인 연구설비1호, 컨테이너3호 등을 얻을 수 있다. 전진하면 레이저절단기를 사용할 수 있는 막힌 문이 있고, 통과하면 거대한 캡슐이 빼곡한 넓은 방에서 PDA를 획득할 수 있다. 수면 위로 올라가서 길을 따라가면 좁은 복도 바닥에 구멍이 나있고 이는 프런베이의 침수된 지역과 이어진다.

파일:Sn prawn bay.jpg
프런 슈트 구획에서 상단을 보면 이러한 방이 있는데 프로펄전 캐논을 사용해 컨테이너를 쌓고 올라가보는게 가능하나 문이 열리지 않으며 단순한 장식에 불과하다.

만약에 Essential Life Things 문서가 처음부터 저장되어있지 않다면 PDA 수집을 열심히 해볼것을 권장한다. 이번 업데이트로 인해 연락기에서 다른 탈출포드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탈출포드의 신호를 수신하면 자동으로 인벤토리에 해당 탈출포드의 신호가 입수되며, 그 신호를 따라가면 파손된 탈출포드와 함께 PDA가 나온다.

3.2 잔해 (Wrecks)

잔해
Wrecks
파편의자, 책상, 화분, LED 전등, 스포트라이트, 이외 기지 내 가구들

추락 구역에 흔히 보이는 자그마한 파편들이 아닌,윗짤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큼지막한 잔해들이다. 현재는 2가지의 형태가 존재하며, 각각 U자형, L자형[21]의 길목을 가지고 있다. 내부에는 화물, 락커가 있으며, 종종 LED 전등 막대기나 스포트 라이트, 의자, 벤치, 화분 등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모두 스캔하여 기지에서 제작이 가능하다.


여담으로 문짝 옆에는 포스터가 있는데 바로 동 제작사의 전작 Natural Selection 2의 포스터이다.

머시너리 업데이트로 잔해만이 아니라 잔해 안의 각종 오브젝트들(스캔가능 및 불가능 포함)이 따로 굴러다니기도 하고 잔해 주변에 널부러져 있게 되어 좀 더 현실적으로 변했다.이전에는 얌전하게 잔해 주변에 쌓여 있어서 누가 정리하다 말았나 싶었을 정도.(..)

Crash Sequence 업데이트 이후로 한 지형마다 하나씩은 있다고 해도 될 정도로 잔해들이 아주 많아졌다. 공략을 간단히 서술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 얕은 물

극초반 갈 지역. 다만 극초반이므로 용접기가 없으니 들어가서 잠긴 문이 있나 보고 있으면 용접기를 만들고나서 들어가보자.무난하게 의자,책상,가구,화분 등을 입수하고 철수하면 되는 곳이다.

  • 켈프 숲

켈프 사이에 처박혀 있다. 그놈의 스토커를 특히 조심. 탈것 제작기 청사진 회수를 위해 반드시 헤메서 찾아들어가야 한다.

  • 블러드 켈프 숲

앰프일이 나타나지만 여기의 잔해주변은 앰프일 순찰지대가 아니다. 작업대나 기타 필수파편때문에 비교적 빨리 올 지대이므로 오기 전 재호흡기를 갖춰주자. 용접기로 뚫는 문이 2개나 되는 게 단점. 밑바닥 혹은 중간즘 높이에서 철근이나 엠비언트급 잔해를 발견했다면 그 위치에서 수직으로 올라가다보면 350m 부근에서 찾을 수 있다.

  • 쿠시 존

마찬가지로 앰프일이 가장 많이 나타나지만, 쿠시 존의 잔해는 가장 외곽에 있으므로 재빨리 들어가서 찾다가 나오면 앰프일을 마주칠 일이 적다. 정지 소총으로 가두거나 쿠시덤불을 집어서 던지는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뼈상어도 요주의 대상.보통 성가신 놈들이 아니다.

  • 초원 평야, 수중 제도 등

모래 상어 혹은 뼈상어가 출현한다. 납작한 모양의 모래상어는 내부에서보다는 외부에서 들어갈때가 가장 문제인데, 대부분 상부에서 내려가며 공격하듯 찌르거나, 혹은 정지 소총으로 가둬버리면 큰 문제없이 들어갈 수 있으나, 간혹 모래를 파고들어가 내부에서 갑툭튀 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물론 수직 선회능력이 매우 떨어지는녀석이므로, 간단하게 등에 올라타서 제압해주자. 그냥 넌 거기 있어라 한 채로 나가면 더이상 수색하기도 힘들다.

또, 뼈상어는 모래상어와 다르게 선회능력도 뛰어나고, 씨모스와 견줄만큼 빠르기때문에 굉장히 골치아프다. 무엇보다 몸이 날씬하고 길기 때문에 플레이어를 따라서 잔해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외부에 있을경우엔 씨모스에 방어모듈을 설치한 후, 전속력으로 부딪히면 한동안 모습을 나타내지 않는다. [22] 내부에 있을경우엔 몸집이 커서 선회능력을 따지기 이전문제로 부들부들거리며 회전조차 힘들어한다. 그러므로 재빨리 꼬리쪽으로 헤엄쳐가서 난도질해주자.

  • 버섯 숲

남쪽 버섯숲의 나무버섯에 걸쳐져 있다.찾기가 힘들지 위험생물은 뼈상어와 블러드 켈프 경계지대의 크랩스퀴드뿐이니 그나마 다행인 지역.프로펄전을 확정 입수할 수 있다.

  • 대산호

대단히 평화로운 지역.약 200미터대로 여기는 크랩스퀴드도 없다. 산소수치나 주의하면 된다. 재호흡기 착용을 권장.

  • 모래언덕

스틸슈트를 입수 가능한 지역.잔해가 있는 버섯숲 경계를 헤메다 보면 멀리 보이나 여긴 리퍼 레비아탄 출몰구역이므로 주의.저멀리 포효가 메아리친다면 스테이시스 라이플로 무장하고 둘러보자.당연하다만 모래지대답게 모래상어가 우글거리므로 어떻게든 좀 쫓아내고 작업하는 것이 좋다. 사실 여기는 필수방문 지대는 아닌데, 버섯숲같은 다른 바이옴의 경계지대만 헤메도 원하는 파편은 대부분 나오기 때문.

  • 씨 트리더의 길

블러드 켈프 잔해 주변 약 2~300미터 수심에 위치.거대한 뒤집힌 U자형 잔해이다.대산호와 반쯤 공유하는 지대이므로 괜히 씨 트리더 밑에서 깝치다가(..) 즉사만 안 하면 된다.

  • 마운틴 섬

프로운 수트 어뢰팔 입수구역.약 3~400미터 깊이.당연하다만 여기도 리퍼 레비아탄 순찰지대이므로 포효가 안 들리나 확인하고 방문하자.

작정하고 찾으려면 의외로 찾기 힘들다. 레이저 커터 조합 이전에 찾았다면 비콘으로 표시해놓고 가야 나중에 괜한 생고생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찾아버린경우엔 비콘을 비축하지 않았을경우엔 그 다음번에도 또 갑작스럽게 찾아내기를 바라야 한다.

16년 8월 PRAWN 업데이트 이후 필드에 존재하던 일부 파편들이 잔해 안으로 들어가면서 잔해를 찾지 못하면 테크를 올릴 수 없게 돼 난이도가 상승하였다. 용접된 문 안에만 있는 파편도 확정 존재해 애써서 문땄는데 안에 아무것도 없어 허탈한 상황은 없어졌다.

16년 10월 Bones 업데이트로 조명 부분이 하얗게 빛나게 되어 가시성이 대폭 향상되었다. 이전 빌드까지는 몇십미터까지 접근해야 겨우 보였지만 이제 왠만한 잔해들은 조명이 밝게 빛나기 때문에 훨씬 찾기가 쉬워졌다. 이걸로 특히 찾기 쉬워진 바이옴이 블러드 켈프와 대산호, 켈프 숲. 켈프 숲은 켈프들이 시야를 가리기 때문에 말 그대로 코앞까지 가지 않으면 거의 보이질 않았으나 이제는 저 멀리서도 잘 보인다.어지간히 찾기 힘들다고 피드백으로 불만 많이 들어온듯

3.3 젤리버섯 동굴(Jellyshroom Caves)

젤리버섯 동굴
Jellyshroom Caves
금속금, 리튬
광물자철석
생물오큘러스, 아이아이, 뼈상어, 바이터, 젤리버섯, 크랩스네이크
이 동굴의 환경은 독특하고, 아마도 포식성인 생물들의 소우주를 지탱할 지도 모릅니다. 그 생물들을 예측함으로써 예상칲 못한 위협에 대응하십시오.

The conditions in this cave may support a microcosm of unique, possibly predatory lifeforms. Try to counter unanticipated threats by anticipating them.

초원 평야를 통해서 진입할 수 있는 장소. 초원 평야에서 해저로 통하는 입구를 찾았다면 이 장소일 가능성이 높다.

분홍색 젤리버섯이 서식하는 어두운 동굴로 희귀 자원을 많이 얻을 수 있다. 다소 깊어 씨모스를 타고 들어가야 한다. 오큘러스는 여기에서만 서식한다. 추후 더 다양한 생물이 살도록 준비 중인 곳. 참고로 젤리버섯의 기둥 내 텅 빈 공간의 바닥에서 확률적으로 리튬과 자철석을 획득할 수 있다.

분홍색 젤리버섯이 마치 거대한 눈처럼 생겼기 때문에 처음 플레이하는 유저들이 겁먹기 십상인 곳. 주변도 무척 어두워서 넓은 동굴에선 잘못하면 길을 잃고 갇히기 십상이라 심해공포증을 일으키기 딱이니 조심하자. 씨모스는 올라가지 못할수도 있으니 주의.

전체적으로 굉장히 깊고, 좁아터진 입구 특성상 사이클롭스는 절대 못 들어오는 지역이므로 씨모스를 타고 올텐데 당연하겠지만 문 풀로 수압모듈을 달아줘서 강화해 주자. 여기는 보통 얕아도 150미터는 넘는데다 바닥은 흔히 200미터를 넘기 일쑤다. 또 돌아다니다 보면 용암분출구가 드문드문 보이기 때문에 만약 기지를 이 안에다 세운다면 귀찮게 재료들을 주기적으로 넣어야 하는 생체반응로나 원자로를 굳이 전력원으로 쓸 필요가 없다.

이 지역에서만 사는 크랩스네이크는 위협적인 생물이다. 젤리버섯에 정지 소총을 쏘더라도 가까이가면 튀어나와 플레이어를 물어버린다. 데미지는 40~50 정도. 공격당할 때는 레비아탄처럼 붙잡힌채로 데미지가 들어오지만, 약 3초 뒤 벗어날 수 있으므로 밍기적대지말고 얼른 도망가는게 좋다. 위에서 보면 젤리버섯 안에 숨어있는 크랩스네이크를 확인할 수 있다. 크랩스네이크는 주기적으로 스스로 젤리버섯에서 나와 돌아다니다가 다시 들어간다. 주의사항으로, 젤리버섯 안에 있을 때는 정지소총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방심했다간 물리기 십상이니 조심할 것.

참고로 크랩스네이크는 씨모스도 공격한다. 씨모스 기준으로 데미지는 5% 내외이므로 조심만 한다면 갑자기 죽어나갈 일은 없을 것이다.

이곳을 잘 찾아보면 한쪽 구석에 주인공이 지은 적 없는 해저 기지가 반파되어 있다. 운 좋게 찾은 입구의 바로 아래에 있을 수도 있으니 비컨으로 필히 표시해두자.기지에 가보면 1자형 모듈이 중간에 반쯤 뜯어져서 안쪽으로 들어갈 공간이 보이는데, 여기에 뜬금없는 바다바늘이 발(簾)처럼 늘어져서 막고 있으므로 당연하겠지만 들어가려면 프로펄전 캐논으로 잡아뜯어 버려야 한다. 기지는 총 2층인데,안에도 늘어져 있는 바다바늘들을 뜯어내며 수색하다 보면 PDA파일을 3개 입수할 수 있는데,[23] 이 로그에 의하면 플로터 섬의 생존자들이 이곳까지 찾아왔다라고 볼수가 있다. 하지만 다시 다른 곳으로 빠져나갔는지 여기서 전멸 했는지는 현재 단서가 없다.

3.4 용암 분출구

수직 동굴로 주기적으로 아래 용암이 분화한다. 탈출 포드 남쪽방향 근처와 쿠시 존에 있다. 이 주변은 온도가 높아 열 발전기를 설치하기 적합한 환경이다. 하지만 이 분화 흐름에 휩싸이면 순식간에 사망하니 시간 맞춰 회피해야 한다. 이 주변엔 다양한 광맥이 존재하며 그다지 멀리/깊게 가지 않고 다이아몬드 파밍을 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아직 다이아몬드 쓸 데가 적어서 위험을 부담하고 들어가기엔 조금 애매하지만.)

여담으로 이 용암 분출구 땅바닥을 건물로 덮어버리면 용암 분출구가 사라지는데, 다시 되돌릴 방법은 없고 이러면 열 발전기를 설치해도 열이 예전과 같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

수중 제도 중앙과 플로터 섬 밑의 대산호, 마운틴 섬 북동쪽의 해저 산맥 지역을 보면 검은 연기를 뿜어내는 열수구들이 보이는데 이곳은 수온만 높고 용암이 분출하지 않아 더 안전하고 조용해서 살기에는 더 적합(?)하다.

3.5 버려진 기지 (Abandoned Seabase)

버려진 기지
Abandoned Seabase
위치플로터 섬, 젤리버섯 동굴, 대산호
설계도스포트라이트, 벤치, 의자, 책상, 관측실, 그 외 옥내/옥외 각종 화분들

플레이어 이외의 생존자들[24]이 거처했던 듯한 기지들.이미 죽었는지 임시 은신처였는지는 모르나 플레이어가 가면 말 그대로 버려지고 방치되어 있다 티타늄이 산화됐다 . [25]

여러 군데에 있지만 특히 중요한 곳은 플로터 섬의 기지들로, 기지 옆의 야외 식물 재배기에 식물들이 있고 이 식물들의 씨앗들을 채취하면 말 그대로 파밍,농사를 지어서 안정적인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내부에 특히나 스캔할 것들[26]이 많기 때문에 샅샅이 뒤져서 스캐너를 들이대보자. 또한 생존자들의 PDA기록이 기지마다 반드시 있기 때문에 보이면 무조건 가보는 것이 좋다. 특히 플로터 섬은 3개의 기지가 있는데 그중 2개는 봉우리 꼭대기에 있어서 갈 수 있나 생각이 들테지만, 대놓고 사람이 이용한 흔적이 있는 갈색 흙길이 위로 이어져 있기 떄문에 길만 따라가면 쉽게 올라갈 수 있다. 복잡한 지형에서는 가끔 PDA가 좁은 틈에 끼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프로펄전 캐논을 이용하면 좋다.

파일:Sn gr Abase Key.jpg
Dangerous Creatures Update로 인해 대산호 지역에 버려진 기지가 하나 추가되었는데. 1층은 I자형 통로가 꺾인 부분으로 진입 가능하고 3층은 열린 해치로 진입 가능하다. 내부에는 장식용 연구 장비들과 PDA몇개, 그리고 위 사진에서 손에 들고있는 PrecursorKey라는 아이템이 보이는데. 형태나 있는 위치로 봐서 스토리 진행에 매우 크게 관련되는 아이템으로 보인다. 주변에는 워퍼와 크랩스퀴드가 드글거리니 조심해야한다.

젤리버섯 동굴의 반파기지에 1층 안쪽 다목저실에 침대가 세팅되어 있으며, Power Nap 업데이트로 스캐닝, 수면을 할 수 있게 되었다.

3.6 로스트 리버(Lost River)

로스트 리버
Lost River
금속없음
광물없음
기타 자원없음
파편없음
생물
수심700~1100미터
지형 스캔은 이 바이옴이 대단히 높은 농도의 유기적이고 화석화된 유해를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Terrain scans indicate this biome contains unusually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and fossilized remains.

거대한 지하공동이자 염수 호수[27]가 가득 차 있는 지역. 입구는 크게 네 곳이다.

  • 대산호를 약 600m까지 쭉 내려간다.
  • 블러드 켈프 구역의 잔해를 기준으로 삼아 역시 밑으로 쭉 내려가면 이번엔 미니 잔해(보통 문으로들 인식한다)가 보이는데,여기서 헤메다 보면 초록색 물이 보인다.
  • 수중제도처럼 플로터들이 물 중간쯤 띄우고 있는데 블러드바인들이 자라는 지역의 3~500m를 뒤지다가 아래 약 45도각도로 난 거대한 동굴에 입장한다.
  • 모래언덕 지대에서 내려간다.

추천하는 입구는 1과 3. 블러드 켈프는 일단 앰프일이 빡치는건 둘째치고 너무 좁고 복잡한데다 어두워서 입구를 찾아내기 부터 힘들고 사이클롭스를 타고가면 이리저리 마구 부딛치면서 감으로 조금씩 틀어줘가며 비집고 들어가야한다. 반면 대산호는 블러드 켈프 구역보다는 덜 복잡해서 잘만 하면 사이클롭스를 몰고 들어갈 수 있다. 이 두 입구 기준으로 입장하다가 수심 700여 미터 즈음에 보면 엄청나게 큰 바다괴물의 유해가 있다. 골격을 보면 레비아탄류의 생물처럼 기다란 유선형 몸체를 가졌는데, 갈비뼈 한대가 리퍼 레비아탄만 하다.[28] 머리 크기도 최소 50여 미터가 넘고, 거기에 촘촘이 박힌 수십 개의 이빨들 하나하나가 플레이어보다 크다. 일부가 결손된 유해임에도 불구하고 남아있는 부분만 최소 150m를 넘어간다! 엄청난 크기와 골격의 형태를 보아 아마도 씨드래곤 레비아탄의 근연종으로 생각된다. 다만 아직 밝혀진 사항이 없으므로 속단은 금물이다.

3번 루트는 의외로 가장 쉬운 곳. 입구가 장난 아니게 넓다. 위에서 쓴 대산호 루트도 사실 약간 비좁아서 간단한 컨트롤을 필요로 하지만 여긴 그럴 필요조차 없이 아무 생각없이 사이클롭스를 몰고 들어가면 된다. 들어가면 위 2개 루트처럼 동일하게 로스트 리버 플라워가 반겨주며,역시 입장한 방향 기준 플라워 뒤쪽으로 난 입구로 쭉 내려가면 된다.그대로 용암지대에 연결되며 계속 직진하면 위 1,2루트로 빠져나가는 플라워가 역시 보인다!

Dangerous Creatures 업데이트 이후 나무 주변에 유유히 헤엄치는 유령가오리 무리가 추가되었고, 로스트리버의 전반적인 디자인이 좀 더 자세해지고 전체적인 조명과 색감도 더 자연스럽게 바뀌었다. 또한 로스트리버에서 용암지대로 진입하는 통로의 구조가 꽤나 복잡하게 바뀌었는데, 나무 뒤편 통로의 경우엔 좁고 고저차가 큰 통로를 여러차례 꺾어 들어가며 진입해야해서 다소 성가셔졌다.

Bones Update 업데이트 이후 지역의 대부분이 완성되었다. 그리고 로스트 리버를 크게 네 구역으로 분류했다.

파일:Lostriver connection.jpg
우선 각 지역을 연결하는 통로부분은 로스트 리버 연결구역(Lost River Connection & Junction)으로 분류되는데, 지역이 이어지는 통로의 특색있는 생물체와 지형으로 구성되어있다. 예를 들면 로스트 리버 <-> 대산호를 잇는 통로는 크랩 스퀴드가 돌아다니는 식.

스크린샷은 로스트 리버 <-> 용암지대를 잇는 통로로서 용암지대에서 서식하는 생물과 로스트 리버에 서식하는 생물이 섞여서 있다.

파일:Lostriver bonefield.jpg
두번째로는 상단에 언급한 거대괴수의 유해가 있는 유골 지역(Bone Fields). 리버 프라울러가 서식하며, 다수의 심해버섯이 자생하고 있다. 사실상 로스트 리버의 중심이자 각 구역을 연결하는 광장같은 장소다.

파일:Lostriverg ghostforest.jpg
유골 지역에서 기존의 대형코브나무가 있는 통로로 향하면 중간에 세갈래로 길이 나뉘는데, 거기서 가운데 길로 들어가서 올라가면 나오는 유령 숲(Ghost Forest) 지역이다. 해당 지역에는 다수의 리버 프라울러가 서식하며, 약간의 유령가오리도 보인다. 또한 유령 숲을 가로질러 가면 화강암 통로가 나오는데, 거기서 위로 쭉 올라가면 모래 언덕 지역과 연결된다.

파일:Lostriver precursorbase.jpg
상단에서 언급한 세갈래의 통로 중 가장 우측의 길로 들어가면 나오는 장소. 선구자 기지(Precursor Base)라고 불리며, Subnautica의 배경이 되는 행성 4546B에 거주했던 종족인 선구자의 유적이다. 현재는 건축물만 구현되어있고 어떠한 상호작용은 되지 않는 상태며 내부진입도 불가능하다. 몇몇 해외 스트리머에 따르면 뜬금없이 씨 드래곤 레비아탄(!)이 기지 안에 리스폰되는 버그가 있다고 한다.

파일:Lostriver covetree.jpg
Dangerous Creatures Update로 이 나무의 이름이 공개됐으며 정식 명칭은 대형코브나무(Giant Cove Tree)이고 스캔이 가능하다. 나무 주위로 유령가오리들이 수십마리씩 헤엄쳐 다닌다. 마치 육상의 호수처럼 보이는 장소. 여기를 가로질러서 뒤로 가면 드디어 용암지대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가 나온다.

3.7 용암 지대(Lava Zone)

용암 지대
(In)Active Lava Zone
금속티타늄(파편), 구리
광물황, 거대한 다이아몬드(채취 할 수 없다.)
기타 자원심해버섯
파편없음
생물라바 아이아이, 라바 부메랑, 라바 리저드, 라바 라바, 진홍가오리, 씨 드래곤 레비아탄
수심900미터 이상

미완성된 구역. 약 1300m까지가 용암이 비교적 덜 활동하는 비활성(Inactive) 지역이고, 그 밑의 더 초극한지대는 더욱 용암활동이 활발하여 활성(Active) 지역이라 불린다.최소깊이만 봐도 알 수 있겠지만 여긴 말그대로 극한 지대다. 여기까지 온다는 것 자체가 이미 후반 테크를 거의 다 탔다는 뜻이다. 또 MK3짜리 수압모듈 단 씨모스로는 불가능하니 PRAWN 업데이트로 추가된 프런 슈트와 이를 수납할 사이클롭스를 타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어차피 대놓고 고온을 활용하라고 프런 업그레이드 모듈 중 열반응로가 있으니 미리 달아주자. 진입로 초입 일부를 제외하면 용암지대 전역의 온도가 기본 50도를 찍기 때문에 열반응로를 활용하기 좋다. 다만 성가신 라바 라바가 많고, 씨 드래곤 레비아탄의 등장으로 마냥 프런 슈트를 입고 활동하기에도 위험한 장소라 예비용 파워셀 몇개와 파워셀 충전기는 반드시 들고 가는 걸 추천한다. 어차피 여기까지 오면 양분/수분관리도 해야 한다.

Dangerous Creatures 업데이트 이후에는 로스트리버에서 진입하는 통로의 구조가 좀 더 복잡해지고 내부지형도 바뀌었다. 그리고 강화잠수복 없이 진입시에 데미지를 입게끔 바뀌었다. 때문에 스틸슈트의 효과를 활용하기 어려워졌다. 또한 서식 생명체가 두 종 추가되었는데, 젤리가오리의 아종인 진홍가오리와 리퍼 레비아탄을 잇는 두번째 레비아탄급 생명체인 씨 드래곤 레비아탄이 추가되었다. 리퍼 레비아탄을 월등히 능가하는 덩치 덕분에 사이클롭스 조차도 붙잡고 흔들고 던져버리는 괴력의 생명체라(다행히 잠수함이 데미지를 입지 않는다.) 탐사시 위험도가 크게 올랐다. 또한 라바 라바의 개체수가 크게 늘어서 잠시 신경안쓰면 사이클롭스에 십수마리가 달라붙는 수준(...)이 되었다.

의외로 여기서 가장 성가신 생물은 라바 라바. 맷집도 다이아몬드 칼 4방이며, 탈것에 달라붙은 걸 쫓아내려면 2방 째야 한다. 그리고 거의 잡몹(..)취급이라 끊임없이 달라붙어서 신경 안 쓰다간 전기가 바닥나기 십상. 뭐 여기까지 올 정도면 파워셀 충전기 정도는 한두개 사이클롭스에 달겠지만. 칼질로 잡아줘도 되지만, 척력건으로 튕겨내면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정도로 멀리 날아가버리니 이 방법을 써도 좋을 것.

4 기타

떡밥이 숨겨져 있는 듯한, 아직은 관상 외에 의미없는 지형들.

  • 모노리스 : 플로터 섬을 지나 계속 남서쪽으로 진행[29]하면 등장하는 거대한 정육면체형 땅덩어리. 개발자가 차후 의도가 있어서 만든 것인지, 그냥 단순히 재미로 만든 것인지 미확실하다. 판판한 바위 지형이며 칼로 케이크를 자른듯 직각으로 꺾여있다. (ㄴ)

이 이상을 계속 진행하다 보면 갑자기 뚝 끊기는 곳이 있을 텐데 내려가면 플레이어가 왔던 지역이 아주 판판하고 선명하게 보이며 무시하고 내려가면 암흑천지 가 플레이어를 기다리고있다. 개발자 측에서는 무려 100km이상 들어 가봤지만 아무것도 없다고 할 정도 이다.

  • 선구자 기지 : 프라운 업데이트 이후 추가된 거대한 떡밥. 일단 맵 곳곳에 널려있으며 이 행성에서는 구할수 없는 자원으로 구성되어있다. 입구는 많으나 고도로 발달한 선구자들은 자취를 감췄는지 멸종했는지 의문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지역은 수중제도 250mm부근, 마운틴 섬 옆, 모래지역이다. 특히 건물들의 크기가 장난아니게 큰데 마운틴 섬만 하다. 사이클롭스는 둘째 치고 엄청난 크기이며 무슨 캐논같은 모형을 하고있어서 위압감이 넘친다. 개설목적은 알 수 없으며 '다른행성을 파괴 시키려고 한다.', '적의 공격으로 부터의 방어다.'[30] 같은 추측들만 무수히 존재한다.
해당 지역 전체를 뒤져봐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뭔가 특수한 조건이 갖춰져야 발견되는 듯 하다
  • 씨 앰페러 서식지[31]
  • 플레이어 모형 : 대산호, 로스트 리버 지역을 통해 들어갈 수 있는 용암지대에 뜬금없이 플레이어 모형이 있다. 그런데 1500mm이상이라 단순한 지형으로 착각할 수도있다. 시모스, 사이클롭스, 플레이어 등으로 지나가면 통과된다. 프로펄전 캐논으로 잡는것도 안되고 물건을 던져도 통과된다. 개발자측에서는 무슨 목적으로 만들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1. 마운틴 섬과 오로라호 뒷부분의 모래톱, 그리고 일부 산호 구조물을 뺀 나머지
  2. void 공허라는 뜻이다.
  3. 비공식 명칭이다.
  4. 다만 제작기는 숲의 잔해 안에서만 고정 스폰된다. 초반 빠른 테크트리의 제 1 난관.
  5. 스토커는 피퍼를 잡아먹고 살며, 플레이어가 피퍼를 들고 다가갈 경우 그것을 먹는 대신 고철을 주워다 주며, 그동안 플레이어를 공격하지 않는다.
  6. 다른 지형은 입장하고서 좀 들어가면 텍스트가 출력되지만 대산호는 약 400m, 즉 심해지대로 들어가야 출력된다. 여담으로 저 티타늄 덩어리들은 다름 아니라 플로터 섬/깊은 대산호 지대에 있는 버려진 기지들을 뜻한다. 플로터 섬은 대산호 지대 바로 위에 있다.
  7. 라바존의 중턱과 블러드 켈프 지역의 최심부 수심이 대략 1,200m정도다. 단, 라바존은 패치가 덜 된 곳이니 논외로 치자.
  8. 때에 따라서 300~400m깊이에서도 나온다.
  9. 맵 외곽도 일부만 이렇게 깊지, 어떤 곳은 1,000m도 안내려가서 아랫면이 보인다.
  10. 일부는 제작자가 대형 테라포머로 긁은 모양으로30m정도 크기의 퇴적암질 구형 바위가 다닥다닥 붙어서 거품형태를 이룬 지역도 있는데, 이러한 지역은 수심 800~1,500m정도에 분포한다. 맵 동쪽~동북쪽 외곽이 주로 이렇게 생겼다.
  11. 수심 350m~1,100m 사이에 깎여있다.
  12. 뱀발로 지역마다 광원차이로 인해 물 색깔이 다른데, 대부분 지역은 푸른색을 띄며 심해는 짙은남색 내지는 검은색을, 켈프숲은 녹색을, 뱀버섯 동굴은 보라색을, 휴화산 지대는 회색을 띄는데, 이 동굴은 탁한 자주색을 띈다.
  13. 1시부근에도 있지만 아직까진 한참을 이동해도 아무것도 발견할 수 없다.
  14. 이전 버전이었다면 지형 변환기로 땅을 파내어 손 쉽게 씨모스를 꺼낼 수 있는 방법이 있겠지만 지형 변환기는 현 빌드에서 이미 삭제된 상태다.
  15. 해저에서 부터 지상까지 연결되어있다.
  16. 대략 (500m)x(500m)x(1,000m)와 동일한 용적.
  17. 다만 크리에이티브 모드는 게임 스토리 진행을 막아버리기 때문에 오로라 호가 폭파되지 않는다.
  18. 기본 효율 300%에 33%가 추가로 증가해서 총 400%
  19. 대산호와 인접한 버섯숲 잔해나 수중제도 잔해에서 얻을 수 있긴 한데 워낙 멀고 귀찮은지라..간다면 간김에 스테이시스 라이플도 회수하자.
  20. 오로라호 내부에도 여기저기 존재하며 그것들만으로도 통과는 가능하지만 약간 빠듯할 수 있다.
  21. 외부에서 봤을땐 직사각형 모양. 내부는 L자형으로 꺾인다.
  22. 이때 대략 씨모스는 3%정도의 데미지를 입는다.
  23. 참고로 하나는 2층모듈,하나는 1층의 책상,나머지 하나는 앞에서 언급한 뜯어진 1자형 모듈에서 찾을 수 있다.
  24. 게임 데이터 내의 스토리에 의하면 오로라 호 추락 이전에 데가시 라는 우주선이 추락했는데, 이때 살아남은 사람들이라고 한다. 참고로 오로라 호의 여행객 중 데가시의 행방을 찾기 위해 파견된 특파원도 있었는데 이 특파원은 오로라 호 추락 때 탈출 포드에 탔으나 대기권을 돌파하면서 포드가 파열, 주기도문을 외우다가 사망했다고...
  25. 젤리버섯 동굴의 PDA기록 데이터와 연계해서 보면 맨 처음엔 이곳에 거주지를 지었다가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 이 기지를 덮쳤고 이후 젤리버섯 동굴로 거주지를 옮긴 것으로 보인다.
  26. 기지 옆의 야외 식물 재배기, 재배기에 심어져 있는 식물들, 기지 내부의 벽걸이 파종기, 화분, 관측실, 관측실 내부의 실내 식물 재배기, 조명등
  27. Brine pool. 고농도의 염분으로 가득 찬 염수가 일반적인 해수와의 극심한 농도 차이로 밑바닥으로 가라앉아 마치 호수가 된 것처럼 보이는 지형물이다. 일명 "바다 속의 호수"로, 현실에서도 볼 수 있다.
  28. 공식 설정 상으로, 리퍼 레비아탄의 몸길이가 55m이고, 씨 드래곤 레비아탄이 65m임을 생각하면 실로 이 생물의 크기가 짐작이 안 될 정도다.
  29. (-1300, 0, -1500)쯤에 위치
  30. 이때문에 플레이어의 우주선을 (오로라 호를) 요격했다는 추측도 나오고있다. 만약 그게 진짜라면 플레이어를 빡치게 만든 원흉이 아니겠어
  31. 아마도 이 내용을 아는 사람은 극히 소수일것이다. 용암지역 용암성옆에 지하로내려가는 구멍이있는데 그 구멍으로 쭉 직진해서 아래로 내려가면 1500m 지점에 씨앰페러 알을 놓을곳이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