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축함/국가별 보유 수량

각국의 등급별 전투수상함 보유 수량
고속정, 초계정/국가별 보유 수량초계함/국가별 보유 수량호위함/국가별 보유 수량구축함/국가별 보유 수량순양함/국가별 보유 수량
파일:CCEQchX.jpg
미해군: 6척의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1 개요


World's best destroyers, Top 10

미국은 최대규모의 구축함 보유국가이다. 이것은 모두 알레이버크급 이지스함으로 총 62척을 미국이 보유하고 있으며 약 8,000 ~ 9,000톤의 배수량을 가진다. 그 다음은 만재 4,000톤 ~ 10,000톤의 구축함을 보유한 일본이다. 이것들을 일본은 총 36척 보유하고 있다. 해군에 상당한 비중을 두는 일본을 생각할 때 이것들이 자위대의 실질적인 전력이라 할 수 있다. 이 중 10여척은 준이지스함(아키즈키급) 또는 이지스함(공고급, 아타고급)이며 일본은 비슷한 급을 추가로 6척을 보유할 예정이다. 다음은 중국으로 약 3,600톤 ~ 7,500톤 배수량을 가진 구축함들을 보유중이다. 중국은 이것들은 총 29척 보유 중이며 앞으로 추가할 구축함들도 상단한 규모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이 보유한 구축함들 중 12척(루저우급, 란저우급, Type 052D)은 준이지스급 전투함이다. 중국은 총 20여척의 준이지스급 구축함들을 보유할 예정이고 약 11,000톤 ~ 13,000톤 규모의 구축함(Type 055)도 건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2 2008년 이후 생산

3 요약(지역별 구축함 보유 수량)

동아시아동남아시아서아시아남아시아
중국대한민국일본인도네시아인도
29 척12 척37 척11 척
서유럽남유럽북유럽동유럽
영국프랑스이탈리아노르웨이러시아
6 척4 척13 척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
미국브라질
62 척

4 국가별 구축함 보유 수량

국가구축함 수량종류종류별 수량만재 배수량기타
미국62 척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 I ~ IIA62 척8,315 ~ 9,200 톤이지스함/AN/SPY-1D
일본37 척하츠유키급3 척4,000 톤야마구모급의 후속함.
아사기리급8 척4,900 톤하츠유키급의 계량형/후기형: OPS-24 회전식 AESA 레이더
하타카제급2 척5,900 톤타치카제급의 계량형/2세대 방공유도구축함 .
무라사메급9 척6,200 톤아사기리급의 후속함/OPS-24B 회전식 AESA 레이더
다카나미급5 척6,401 톤무라사메급의 계량형/OPS-24B 회전식 AESA 레이더
아키즈키급4 척6,800 톤다카나미급의 후속함/일본 최초의 자국산 준이지스급함/FCS-3A
공고급4 척9,500 톤이지스함/AN/SPY-1D
아타고급2 척10,000 톤공고급의 후속함/이지스함/AN/SPY-1D(V)
중국29 척루다급 구축함(Type 051)[1]8 척3,670 톤네우스트라시미급코틀린급 구축함[2]의 영향을 받음.
루후급(Type 052)2 척5,300 톤루다급의 후속함.
선전급(Type 051B)1 척6,100 톤루후급의 후속함.
항저우급4 척7,940 톤소브레멘니급/2척은 개량형
광저우급(Type 052B)2 척6,500 톤선전급의 후속함/소브레멘니급 기술 도입.
루저우급(Type 051C)2 척7,100 톤선전급의 후속함/중국 최초의 준이지스함/3R41 Volna
란저우급(Type 052C)6 척7,000 톤광저우급의 후속함/중국 최초의 자국산 준이지스함/Type 348
Type 052D4 척7,500 톤란저우급의 후속함/자국산 준이지스
러시아13 척카신급1 척4,390톤카닌급 구축함[3]의 후속함.
소브레멘니급4 척7,940톤카신급의 후속함/4척 비축
우달로이급 I7 척7,570톤1척 비축
우달로이급 II1 척7,570톤
대한민국12 척광개토대왕급3 척3,900 톤KDX-1 프로젝트
충무공 이순신급6 척5,520 톤KDX-2 프로젝트
세종대왕급3 척11,000 톤KDX-3 프로젝트/이지스함/AN/SPY-1D(V)
인도11 척라지푸트급5 척4,974 톤러시아카신급 구축함/방공구축함
델리급3 척6,200 톤러시아카신급을 베이스로 기술도입/라지푸트급의 후속함
콜카타급3 척7,500 톤준이지스함/이스라엘IAI EL/M-2248 MF-STAR[4]/델리급 후속함
영국6 척45형 구축함6 척8,500 톤영국산 준이지스함/SAMPSON(Type 1045)
이탈리아4 척듀란 드 라 펜급[5]2 척5,400 톤오다스급 구축함[6]의 후속함.
안드레아 도리아급2 척7,050 톤듀란 드 라 펜급의 후속함/- 합작 준이지스함/EMPAR
일본의 호위함(護衛艦)은 영문으로 구축함 등으로 표기하고 자체적인 분류법 등이 있어 호위함(frigate)에서 제외한다. 또한 일본의 호위함은 독자규격인 호위함(護衛艦)으로 일반적으로 호위함(frigate)으로 구분하는 함종과 다르다. 통칭 자위함(自衛艦)의 하위개념인 경비함(警備艦)과 그 경비함의 하위개념인 것이 호위함(護衛艦)인 것이다. 그러므로 일본의 수상함은 영문으로 분류하는 구축함이나 호위구축함의 분류법에 따라 구분한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 해상자위대 호위함 명칭에 대한 논란 항목 참조.

5 관련 문서

(영어 위키피디아)Category:Destroyers by country
(영어 위키피디아)Category:Destroyers by navy
(영어 위키피디아)List of destroyer classes

6 관련 항목

  1. http://en.wikipedia.org/wiki/Type_051_destroyer
  2. http://en.wikipedia.org/wiki/Kotlin_class_destr
  3. http://en.wikipedia.org/wiki/Kanin_class_destroyer
  4. http://en.wikipedia.org/wiki/EL/M-2248_MF-STAR
  5. http://en.wikipedia.org/wiki/De_la_Penne_class_destroyer
  6. http://en.wikipedia.org/wiki/Audace-class_destro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