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곡역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개통하지 않은 구간이 있거나 미개통 노선입니다.}}}

*노선명 : @노선명@
*공사구간 : @공사구간@ 구간
*진행상황 : @공사진행상황@
*개통 : @노선개통예정일@   [br]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공사가 중단될 경우 틀:공사 중단함께 넣어주시고, 공사가 무산되거나 계획이 취소될 시 틀:계획취소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경원선
용산 방면
한탄강

2.5 km
전 곡
8.6 km
백마고지 방면
연 천
수도권 전철
1호선
연천 방면
연 천

8.6 km
전 곡
(098)

(미개통)

5.5 km
인천 방면
초성리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이 역과 초성리역 사이의 한탄강역은 동두천역과 연천역 간의 복선전철화 공사가 완료되면 폐역된다.
전곡역

다국어 표기
영어Jeongok
한자全谷
중국어全谷
일본어チョンゴク
역번
수도권 전철 1호선098
300px
전곡역사
주소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역로 75
(舊 전곡리 333-10)
수도권 전철
운영기관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파일이 없음
1호선 개업일2019년 예정
일반 철도
운영기관코레일 수도권동부본부
경원선 개업일1912년 7월 25일
통근열차 개업일2004년 4월 1일
관리역 등급배치간이역(연천역 관리)

全谷驛 / Jeongok Station

1 개요

경원선의 철도역.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전곡역로 75.

말 그대로 연천군 전곡읍 시내에 위치한 역이다.

참고로 구석기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지인 전곡리 선사유적지한탄강역이 이 역보다 더 가까우며, 북쪽 방향의 인접역인 연천역과는 8.6km 떨어져 있어 비교적 그 간격이 길다.

여담으로 6.25 전쟁이 일어나기 전 38선으로 남북이 나뉘었을땐 북한의 최남단역이었다.

주 이용 대상은 군인. 다만 버스편이 증편되고 통근열차 운행구간이 축소하면서 이용객이 꽤나 감소한 추세이다.

원래 고가화를 하려고 했던 곳이나 중간에 엎어져서 지상으로 가는 걸로 결정되었는데 이때 역 바로 근처에 있는 건널목을 없애고 50m 전방에 고가도로를 건설하겠다고 하는 데 이까지 가는 데 상당히 불편해서 지역 주민들은 원안대로 고가로 해서 건널목 구간을 도로로 해달라면서 주장하고 있다.

2 승강장

연천
21
한탄강
1·2경원선 통근열차동두천·신탄리·백마고지 방면

3 연계교통

4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통여객열차
경원선 통근열차
동두천 방면
한탄강

2.5 km
전 곡
8.6 km
백마고지 방면
연 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