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역사/목록/게임

< 흑역사‎ | 목록

게임에 관하여 흑역사/목록을 정리한 페이지.

1 게임 자체

  • 12RIVEN -the Ψcliminal of integral- : 인피니티 시리즈를 박살낸 주범. 결국 2011년에 code_18이 발표되면서 공식적으로 인피니티 시리즈에서 퇴출되었다.근데 code_18이 12Riven보다 더한 핵폐기물이란게 함정
  • 갓 오브 워 컬렉션 PS VITA버전 : 최소한의 블러효과를 안넣어서 미친듯이 자글자글 거리는 비정규 해상도, 거지같은 조작감, 들쑥날쑥한 프레임이 삼위 일체가 되어서 국내 외 할 것 없이 가루가 되도록 까이고 있다. 리뷰어들의 평가도 위 세가지가 안 빠진 리뷰가 거의 없으며 유저들 역시 소니 퍼스트 이식작 중 최악이라고 칭한다.
  • 갤러그 온라인판
  • 2013 프로야구(게임) : 게임빌 프로야구 시리즈 최악의 게임. 2013 프로야구(게임)/문제점 문서 참조.
  • 그라비티의 W 베이스볼
  • 그란디아 3  : 그란디아 시리즈의 좋은 이미지를 단 한번에 날려버린 괴작.
  • 기기괴계 2 : 정확히 말하면 PS2와 Wii로 나오려고 했던 게임.
  • 길티기어 시리즈
    • 길티기어 젝스 1.5
    • 길티기어 이스카
    • 길티기어 2 오버츄어
    • 길티기어 이그젝스 액센트 코어 PS2판 : 버그 문제로 인해 흑역사화. 결국 확장판의 액센트 코어 플러스를 발매하게 되었다.
  • 네오지오 배틀 컬리시엄 :사람들에게 SNK VS CAPCOM SVC CHAOS의 후속작으로 알려져있는 게임. 사실 시스템쪽으로 따져보아도 몇몇은 SVC를 기반으로 따르는 것들도 있긴 하다. 다만 문제는… NBC라는 이름의 가면을 쓴 SVC 괴이함의 업그레이드 판
  • 놈3, 놈4 : 3은 그야말로 기존의 게임 방식을 이상하게 뒤틀어 버렸기 때문에 욕 먹어도 반박의 여지가 없다. 4는 기존의 게임 방식을 그대로 답습하지만, 개그가 졸렬해지고 기믹 달리기가 없어지는 등 전작의 재미가 아주 맥이 빠지는 바람에 흑역사 취급.
  • 니드 포 스피드 : 무한질주(핫퍼슈트) 2 PC판
  • 니드 포 스피드 : 하이스테이크 Pokect PC판 - 원작의 느낌을 잘살렸지만 조작감때문에...
  • 닌자 가이덴3 : 발매 전부터 흑역사 취급을 받았다. 해당 문서 참조.
  • 다라이어스 모바일판 : 원작의 느낌을 살리지 못해서 평이 매우 좋지 않다.
  • 다이카타나
  • 대원에서 발매한, 포켓몬스터 금·은을 제외한 4세대 이전 소프트 : 그냥 수입한 것도 아니고 명색이 정식 발매인데 매우 성의가 없었다. 한국닌텐도 출범 전까지 한국의 닌텐도 유저층을 떠나게 만든 원흉.
  • 대전략 시리즈의 대전략 마스터 컴뱃  : 이걸로 처음 시리즈를 접한 사람들에게는 평이 좋았으나 시리즈 골수팬들에게는 철저한 냉대를 받았다. 특히 특정 기술들을 모아서 유닛에 적용시키는 것이 지나치게 RPG스럽고 밸런스를 파괴 (특히 전차류에 건물 점령이 가능해지게 만드는 기술 등이 대박. 다만 이 기술이 없으면 진행하기가 불지옥급인 미션이 가끔 나와서 미묘하기도 하다.)했다는 평가가 많다. 거기다 정발 PC판은 총 6장에서 3장까지만 플레이 가능하다. 아무래도 시리즈 특유의 극우 시나리오 드립으로 인해 대다수가 짤려나간 듯. 결론적으로 초보자에겐 절대로 나쁜 게임은 아니다. 초보자에게는…
  • 더 다크니스의 일본용 XBOX360판 : 프리즈 버그가 PS3판보다 심하다. 그러나 일본판의 유통을 담당한 스파이크가 버그를 방치했기 때문 유저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현재도 버그 수정 패치는 배포되지 않고 있다.
  • 더지 오브 켈베로스 파이널 판타지 7 : 파이널 판타지 7 이라는 이름만 안붙었어도 쿠소게 수준이었으려나… 파이널 판타지 7 그 자체를 먹칠해버렸다. 제작진이 이름값만 내면 다 되겠지 라는 생각으로 망한 케이스.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
  • 데빌 메이 크라이 2 :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반면교사와 같은 작품으로, 전작의 흥행 요소를 없애고 이상하게 바꾸는 바람에 시리즈를 끝낼뻔한 작품이란 오명까지 듣고 있다.
  • 데이트 온라인: GPM이 만들었던 온라인 미연시인데 인터넷에서 기사로 나오거나 홈페이지와 플레이 영상이 있었지만 어느 날 갑자기 사라졌다.[1]
  • 도돈파치 대왕생 블랙레이블 EXTRA : 다만 패치가 배포되었으므로 벗어날…지도?
  • 도키메키 메모리얼 시리즈
    • 도키메키 메모리얼 대전 교환 구슬
    • 도키메키 메모리얼 selection 후지사키 시오리
    • 도키메키 메모리얼 2 서브스토리즈  : 스핀오프 성격이 있었음에도 높은 완성도 덕분에 상충되지 않는 설정 대부분이 본편 세계관에 거의 그대로 흡수되었던 드라마 시리즈와 비교하면 중심 스토리의 밀도나 미니게임의 완성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바람에 팬덤뿐만 아니라 코나미 계열사에서도 비판이 제기되었을 정도였다. 또 게스트로 등장한 도키메키 메모리얼의 히로인들 행적이 원작과 일치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산재했고, 결국 도키메키 메모리얼 4가 배경 시간대를 1편의 15년, 2편의 10년 뒤로 못박으면서 사실상 평행우주로 전락했다.
    • 도키메키 메모리얼 2 뮤직 비디오 클립 - 서커스에서 놀아요
    • 도키메키 메모리얼 3
    • 도키메키 메모리얼 온라인
    • 게임 펀드 도키메키 메모리얼(도키메키 펀드) : 한화로 70억이나 되는 투자자들의 투자자금이 완전히 공중분해되어 버렸다. 이후 코나미는 이와 같은 짓을 두번 다시 하지 않았다.
  • 동물의 숲 아미보 페스티벌 : 닌텐도의 흑역사. 이전의 요소들은 아예 없고 무슨 인생게임이나 마리오파티같은 비슷한 주사위 게임으로 만들어놨다. 거기다 한 영상에서 한 외국인이 상품에 들어있는 제품들도 파괴하는 영상까지 보여줬을때 더이상 말이 필요 없다. 즉 동물의 숲에서의 최악의 작품이다.
  • 동방물망초환상소녀주의보 발매 버전
  • 듀얼게이트
  • 드래곤볼 온라인 : 재배맨 온라인, 이 한마디로 모든 게 설명된다.
  • 디아블로 2 일본어판 : 물론 일본에 디이블로2가 안 팔린건 아니다. 게임언어 영어판 + 메뉴얼 일본어 패키지가 7만 5천장이나 팔렸다는 신문기사도 존재하니까.신문기사 링크 # 문제는 일본어판이 나오기 전에 살 사람들은 다 샀기 때문에 정작 일본어판의 판매량은 500장에 불과했다는 것. 이것으로 인해 캡콤은 블리자드와 관계를 끝내고 블리자드도 일본에 관심을 끊었다. 그런데 블리자드가 디아블로 3의 일어판을 발매한다는 소식이 떴다.
  • 디아블로 헬파이어
  • 라그나로크 온라인 2 : 일본에서는 서비스 종료되었고, 한국에서는 표면적으로는 클로즈베타지만 실질적으로는 무료화상태였다. 결국 대대적으로 갈아엎어 일신한다는 소리도 있었으나, 어디까지나 말뿐이었고 도리어 이전보다도 더 게임이 괴악해져서 결국 서비스 종료로 이어지고 만다. 현재는 전작 보다 못한 후속작 내지는 쿠소게 취급.
  • 라스트 리벨리온 : 닛폰이치 소프트웨어 최악인 흑역사. 해외에서는 미국지사의 사장이 공개적으로 발매한 것을 사죄하는 사태까지 발전했다.
  • 라이프포스 텐카 - 퀄리티 면에서는 다이카타나보다는 덜하다. 하지만 게임을 어떻게 클리어해야 하는지에 대한 단서가 거의 주어지지 않는다.
  • 랑그릿사 밀레니엄
  • 랜드매스
  • 레이프레이  : 매우 뜬금없이(...) 게임 내용을 소재로 국제 사회로부터 집중 포화를 받았다. 이 이후 일본 내에 발매되는 에로게의 상당수가 지역락이 걸리거나물론 대륙에서 뻥뻥 뚫지만 아예 제작사의 홈페이지의 접속이 일본 아이피로만 되게 해외접속을 틀어막고, 게임 시작시 'JAPAN SALES ONLY'라는 문구가 뜨게 되었다. 물론 이런 '일본 내수용'이라는 명분과 어필과는 별개로, 이 바닥이 워낙 사양세라 그런지 겟츄 등지에선 멀쩡히 해외구매를 지원하며 전연령으로 내려서 스팀 등으로 해외판매를 노리고는 있다.(...)
  • 로그 워리어 :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쓰레기 게임 겸 흑역사. IGN 리뷰 1.5점 등의 저평가가 속출했다.
  • 로스트 플래닛 3 : 3기종 전세계 판매량이 고작 16만장이라는 경악할 판매량.# 말 그대로 캡콤의 쉔무가 되었다.
  • 록맨 시리즈
  • 롤러코스터 타이쿤 시리즈의 일부 후속작들
    • 엑스박스로 이식된 롤러코스터 타이쿤
    • 롤러코스터 타이쿤 2의 확장팩들
    • 롤러코스터 타이쿤 3D
    • 롤러코스터 타이쿤 4 - 모바일 이식인데 못봐줄 수준이라 팬들이 아예 언급조차 안해서 입문자들은 있는지도 모르는 수준.3이 최종 시리즈라 아는 경우도 많다.
    • 롤러코스터 타이쿤 월드 : 2016년 발매 예정작이나 알파든,얼리 억세스 상태든 심각한 발적화와 그래픽 등으로 정신적 후속작플래닛 코스터와 매번 비교돼서 까이는 중. 둘을 비교해보는 유튜브 영상들을 보자면 플래닛 코스터가 비교되는게 오히려 모욕일 지경이다.어쨌든 망겜의 냄새가 사라지질 않는다아직 정식발매 자체는 안했으므로 취소선 처리.
  • 루나틱 돈 템페스트 : PS2라곤 믿을 수 없을 정도의 저퀄리티 그래픽, 깝깝한 조작감, 열불나게 만드는 시스템, 노예 수준의 자유도. 총체적 난국이란 말도 부족할 지경이다. 참고로 같은 시기에 나온 작품이 파이널 판타지 10이다! 무슨 배짱으로 이런 게임을 출시했어요?
  • 루넨시아
  • 루미네스 온라인 : 한게임 테트리스가 서비스 시작하기 전만 해도 사람이 많았으나, 한게임 테트리스가 서비스 시작하기 무섭게 사람이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결국 2010년 12월 27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마그나카르타 눈사태의 망령 : 일명 버그나 깔았다 또는 만들다 말았다. 대한민국 PC 패키지 시장 붕괴의 본격적인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말하자면 한국판 E.T.라고 볼 수 있다.
  • 매킨토시헤일로 : 원래는 매킨토시에게 게임 시장을 끌어들일 목적으로 시작된 프로젝트였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번지를 먹으며 비록 매킨토시용으로 나왔지만 애플계에선 흑역사 취급한다.
  • 매트릭스 온라인
  •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 : 이건 아예 메달 오브 아너 시리즈 자체에 종지부를 찍게 만들었다.
  • 메탈레이지  : 그나마 남아있던 대만서버도 현재는 서비스 종료되어 완전한 흑역사가 되었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 메탈슬러그 4 :게임 자체로만 평가하면 나름 준수한 평작이지만, 구작의 명성이 너무 강했고 기존의 도트를 그대로 재활용하여 우려먹기의 진수를 보여주며 팬들에게 버림받은 케이스. 게다가 설정연대가 다른 메탈슬러그 시리즈는 20XX년인데 메탈슬러그 4는200X년(참고로 주인공 일행이 저 당시에 태어났다! 서비스격 스토리를 짜려다 생긴 병크.)이라 완벽하게 흑역사화.
    • 메탈슬러그 5 : 원래 스케일을 메탈슬러그 3만큼으로 거대하게 하려고 했으나 SVC랑 KOF 2003의 실패로 인한 자금조달로 급하게 만들어졌을 뿐더러 기존의 계획된 스토리마저도 메탈슬러그 4처럼 어쩡쩡해져서 완전히 미완성게임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그래도 OST 하나 때문에 SNK의 2003년 게임 중에서는 평가가 그나마 나은 편.
    • 메탈슬러그 3D : 서비스격 스토리인 4와는 달리 3D의 경우, 메탈슬러그 시리즈 스토리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게임성으로는 흑역사지만 스토리상으로는 아니다.사실 혹평이 많은 4,5도 그다지 신경만 안쓴다면 재밌게 할수있고 플레이 유저도 많다.헌데 이건 그 유저도 별로...
    • 메탈슬러그 온라인 : 기존 메탈슬러그 시리즈와는 꽤 이질적인 플레이, 계속되는 오픈베타 상태로 인해 인기가 별로 없었고 급기야 3년만인 2013년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메르세데스 벤츠 트럭 레이싱 : 그래픽, 물리모델이 좋았으나 시대를 잘못 탄 비운의 게임. 트럭레이싱이라는 생소한 소재를 게임으로 나타낸 것이었는데 발매된 2000년 이 때는 트럭레이싱이 사람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결국 2001년 12월에 제작사인 Synetic에서는 윈도 xp패치를 끝으로 트럭운전하는 게임은 출시를 안 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2K 시리즈 : 독점계약은 반격 측면이 강해서 문제되지 않았으나, 그 후 낸 게임이 워낙 버그가 심해서 게임하지 말라 할 정도였고, 야구팬들도 이 독점 게임에 등을 돌렸다. 결국 2K13으로 시리즈 종료.
  • 메트로이드 프라임 페더레이션 포스 : 사실 게임 자체는 괜찮다. 단지 이게 메트로이드 시리즈였기 때문에 문제였을 뿐. 특히 게임 장르가 문제다. 메트로이드라는 이름을 달지 않고 오리지널 작품으로 나왔더라면 좋은 게임이지만 메트로이드 시리즈로서는 이질적인 작품이었기 때문에 혹평을 받은 비운의 작품.
  • 모나토 에스프리 : 하필이면 정확히 같은 날 오픈한 게임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불타는 성전이어서 순식간에 묻혔다.
  • 모던 컴뱃 5 : 그래픽이 전작에 비해 하향되고 밸런스가 영 좋지 않다는 등 욕을 계속 듣고있는, 모던 컴뱃 시리즈의 흑역사 그 자체.
  • 모탈 컴뱃 시리즈
    • 모탈 컴뱃 1~4 GB판 : 캐릭터 많기로 유명한 게임인데 GB 용량의 한계 때문에 신작이 나올때마다 이전작 캐릭터를 삭제하는 만행을 저질렀으며, 게다가 그래픽이 나쁘고 느릿느릿해서 게임 자체도 별로 재미없다.
    • 모탈 컴뱃 1 SFC/SNES판 : 당시 미국 닌텐도의 자체규제로 인해 게임의 주요 특징인 페이탈리티가 엄청나게 순화, 검열되어서 팬들로부터 욕을 바가지로 먹었다. 결국 닌텐도도 반성했는지 2편부터는 무삭제 발매.[2]
  • 미션 크래프트
  • 미스터 드릴러 온라인판
  • 바다이야기(1번 문단)
  • 바이오하자드 엄브렐러 코어 : 캡콤의 유명한 프랜차이즈 바이오 하자드의 2번째 외전작이지만 현실은 발매 되기전부터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고 발매후 7월 현재 동접자가 두자리수도 안된다. .
  • 버닝 파이트  : 대놓고 캡콤의 걸작 액션 게임 중 하나인 파이널 파이트를 표절한 걸로 모자라서 캐릭터나 스테이지나 완전히 판박이로 똑같다. 결국 캡콤에게 고소당하고 법정까지 갔다. 단 문제는 이렇게 베낀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재미가 없다는 것이다. 그나마 나은게 있다면 BGM이 원작보다 좋다는 것밖에 언급이 안되는 SNK 작품의 대표적인 흑역사.
  • 버추어 캅 3 : 발매가 매우 늦게 되어서 흑역사가 되었다. 다만 게임 자체는 E.S모드, 교체가능한 총기등 나름 참신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 배트맨: 아캄 나이트 PC판 : 넘쳐나는 버그와 최적화 문제로 발매중단 크리를 맞았다. 2015년 6월 23나온게 발매중단 크리맞고 2015년 10월 28일 재판매. 물론 그렇다고 모든 이슈가 해결된것도 아었다(...)
  • 배틀필드 하드라인 : 배틀필드 시리즈의 문제점을 한번에 보여준 게임
  • 배틀필드 3 iOS판  : 전작인 배틀필드 배드컴퍼니 2 iOS판과 비교해서 싱글 캠페인이 삭제되었고 멀티플레이만 있는데, 그나마 멀티플레이도 서버상태가 좋지 않아서 비난이 속출했다. 가뜩이나 배틀필드 3에 커다란 기대를 걸은 이들의 불똥이 이 모바일판으로 튀어서인지 EA사가 직접 앱스토어에서 삭제 결정을 내렸다고 한다. 이게 게임이 나온지 2주일만. 배틀필드 시리즈의 진정한 흑역사 등극. 그리고 어째서인지 같이 내려간 배틀필드 배드컴퍼니 2 모바일판에 묵념을
  • 베르카닉스 : 이현세가 제작에 참여하고 수백억의 자금이 투입된 대작이었으나 오픈 베타조차 하지 못하고 개발 중지. 사실상 프로젝트 자체가 허공으로 날아갔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 바람에 수백억이 날아가고 개발에 참여했던 120명의 사원들이 하루아침에 실업자가 되어버렸으며, 이후 제작사의 운명이 어떻게 됐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 별이 내리는 시간 : 오토메이트 초기의 흑역사 작품.
  • 붉은 Canvas 시리즈 나데시코 ~선홍색의 나선~  : CANVAS 시리즈 답지 않게 그림에 관한 소재가 없고 오히려 능욕물+막장 드라마 같은 전개로 흘러버린 바람에 그 뒤에 나온 CANVAS3하고 아크로움 에튀드 Canvas4까지 망작으로 누명을 씌우게 된 원흉.
  • 뷰티풀 괴혼
  • 브로큰 선더
  • 블러드레이드 : 북유럽 신화를 기반으로 한 판타지 액션 RPG인데 2015년 9월에 CBT를 진행한 이후 이듬해 2월에 소프트 런칭 방식으로 공개, 정식으로 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심각한 시스템 오류가 발견되었고, 수 개월 간 개발사의 디버깅 및 개선 노력을 진행했음에도 근본적인 해결의 어려움으로 서비스를 종료하였다.
  • 빅3(2번 문단, 2005년 한국 온라인 게임 대작 3작품) : 이 중 제라는 완전히 서비스 종료되었고, 썬 또한 웹젠의 걸림돌이 되어버렸다. 나머지 하나인 그라나도 에스파다만이 간신히 버티고 있는 중이긴 한데...한국 온라인 게임 역사상 최악의 병크를 찍어버렸다.
  • 사무라이 스피리츠 검객이문록 소생하는 창홍의 칼날
  • 사무라이 스피리츠 섬(閃) : OME스러운 그래픽과 안드로메다로 가 버린 시스템 덕분에 쿠소게가 되어버린 작품. 하이퍼 네오지오 64로 발매한 아수라참마전이 저 두개보단 그래픽, 시스템 등으로 평가가 좋은 편.
  • 샤이닝 로어
  • 서든어택2 : 출시되자마자 다양한 문제점, 사건사고가 한꺼번에 나왔으며 넥슨 게이트의 주 원인이 된 게임이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결국 정식 서비스 23일도 안 되어서 서비스 종료가 발표되었고, 2016년 9월 29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서기 2030년 어니스와 프리키 : 초기에는 크게 호평을 받았으나, 대규모 하향패치 하나 때문에 거의 모든 유저가 떠나고 말았다. 그리고 패치 후 고작 1년만에 서비스 종료. 일부 골수팬들이 일으키려고도 했었지만 이마저도 먹히지 않고, 포기했다.
  • 선더포스Ⅵ : 정식으로 만들었음에도 브로큰 선더 2라는 오명까지 얻었다.
  • 소닉 더 헤지혹(2006) : 이 게임 하나가 잘 나가던 소닉 시리즈의 명성을 단번에 추락시킨 만악의 근원이 되었다. 다르게 보면 소닉 팀이 하이스피드 액션을 되살려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 게임(…).
  • 소닉 붐 시리즈 : 소닉 2006이 커피라면 소닉 붐은 T.O.P.
  • 쉔무 1 & 2 : 세가를 말아먹게 한 일등공신. 게임 자체는 상당한 수작이나 개발비가 문제였다. GTA4가 나오기 전까지 제작비 700억(1과 2을 동시 제작했기 때문에 편당 350억)으로 가장 돈이 많이 들어간 게임 (GTA4의 제작비는 1000억(1억달러))이었고 소닉팀과 스즈키 유가 만든 꿈의 합작이자 드림캐스트의 희망이었으나 판매량이 30만장...들인 돈을 생각하면 상업성 면에서는 완전히 흑역사다. 이 여파는 드림캐스트에까지 영향을 미쳐 그렇지 않아도 사양세를 타던 해당 하드에 결정타를 날렸다.
  • 스퀘어 수정의 룡 : 스퀘어가 PC-8801로 발매했고 나름 인기를 끌었었던 어드벤처 게임 '알파'의 후속작인 것처럼 홍보하였으나 실상은 완전 딴판인 게임이었다. 이 때문에 이 게임을 위해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을 지른 수많은 게이머들을 낚아버린 데다가 광고지에다가 아주 대놓고 엔딩장면을 스포일러해버렸다. 다만 게임 자체는 꽤 재미있어서 완전히 흑역사라 하기에는 좀 애매한 작품.
  • 스타스톤
  • 스타워즈: 포스 언리쉬드, 스타워즈: 포스 언리쉬드 2 : 판매량만 보면 성공적인 작품이지만, 지나친 설정파괴와 유치한 억지밈 스토리로 발매초기부터 올드팬들에게 상종못할 게임들로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게다가 스타워즈가 디즈니에게 인수됨과 동시에 이 시리즈 자체가 폐기처분이 확정됨으로써 빼도박도 못할 흑역사가 되었다.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스톤에이지2
  • 스톰핑 랜드 - 스팀 얼리 억세스로 개발중버전이 공개되었으며, 의외로 작품성이 고생물덕후에 의해 주목받았으나 개발도중에 개발자가 먹튀하는 바람에 게임 개발 자체가 공중분해되고 말년에는 스팀상점에서 아예 내려갔다. 돈내고 게임을 산 이들과 킥스타터 후원자들 안습.
  • 스트롱홀드3
  •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스트리트 파이터 더 무비
    • 스트리트 파이터 X 철권 PS3/XBOX360버전 : DLC 불법 언락 패치, 각종 무한 버그, 사운드 소리+음향 버그, 각종 버그들이 지나치게 많아서 흑역사가 되었지만, 2013 패치가 되어 그제서야 게임다운 게임의 구색이 갖춰졌다. 전체적으로 안좋은 소식들이 지나치게 많아서 스파팬도 철권팬도 잊고 싶을 정도로 각인되어버렸다.
  • 스파이크걸즈
  • 시간과 영원 : 토키토와 : 일본에서는 발매 2주 만에 중고 매각불가 및 초고속 덤핑. 이는 국내도 마찬가지로 발매 후 2일 만에 정가에서 5000원으로 초고속 덤핑 되었다.
  • 신나는 Wi-Fi 게임 전집 : 한국, 원본 DS용 한정. DSiWare용은 정식 발매되어 흑역사는 아니다.
  • 심즈의 온라인 버전 : 사람들이 자신만의 공간을 침범받기 싫어해서 별로 흥하지는 못한데다가 나중에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으로 인해 매춘이 성행하게 되면서 망했다.
  • 아랑전설 3 ; 본래 3편이 최후의 작품으로 기획됐으나 복잡한 조작감에 캐릭터의 무리한 교체와 김갑환 삭제로 인해 일본 쪽 팬들한테도 외면을 받았다.
  • 아마게돈(게임)
  • 아르슬란 전기 게임 : 사기캐인 주인공 세력 파르스랑 지루한 스토리랑 전개로 인해 완벽한 망작이 되었다. 정말 재미가 없다. 제작회사인 세가에서도 흑역사가 되어 언급이 되지 않는 최악의 쓰레기 게임이다.
  • 아룬드 온라인
  • 아스트로레인저 온라인판과 아케이드판
  • 아이돌 마스터 2 XBOX360판 : 하지만 PS3로 넘어오면서 엑박판의 단점을 개선, 완전판이 되었다. 이 때문에 XBOX 계열 아이돌 마스터는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소셜 게임/한국 서비스
  • 아타리 2600판으로 출시된 팩맨E.T. : 아타리 쇼크 당시의 게임을 대표하는 게임들이다. 게다가 E.T는 소문 그대로 땅속에서 발굴되었으니 턴A건담의 흑역사라는 용어에 어울린다.
  • 아트록스
  • 악마성 시리즈악마성 드라큘라 칠흑의 전주곡, 악마성 드라큘라 저지먼트
  • 얍카 : 2005년도 까지는 그래도 괜찮았는데, 2006년도부터 각종 병크급 아이템들이 생겨나더니, 이후 유저들이 핵과 버그와 해킹을 남발하면서 결국 멸망하게 되었다. 그리고 훗날에 부활얍카로 다시 부활하게 되는데...
  • 애자매 윈도우판 : 2000년에 나왔는데 새로 작화를 그리고 성우를 기용하는 등 리메이크를 해서 1994년에 나온 도스판을 뛰어넘으려 했지만 도스판이 작화면에서 워낙 진리라서 뛰어넘지 못했다.
  • 액션 52 : NES판 한정으로 그야말로 쓰레기 게임계의 최종보스라 불릴정도로 52개의 게임 모두가 하나같이 쓰레기급이며 더욱 엽기적인것은 이딴걸 무려 199달러에 파는 위엄까지 선보였다.
  • 어쌔신 크리드 3: 리버레이션 : 자글자글한 비정규 프레임에 심장 박동을 하듯이 들쑥 날쑥거리는 프레임, 존재 자체가 의문인 쓸데없는 터치 조작, 뭐하는 짓거리인지 도통 이해 안가는 스토리, 각종 기상천외한 버그, 왜 넣은지 의문인 페르소나 시스템 등 어크 팬이라면 무조건 까는 어크시리즈의 흑역사. 뒤에 나온 HD판도 그래픽에 비해 터무니 없는 사양을 요구해서 여러 유저들을 어이를 상실하게 만들었다.
  • 어쌔신 크리드 : 유니티 : 이 작품이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를 끝장낼 뻔했다.
  • 역전재판 4 : 역전재판 시리즈의 메인 디렉터였던 타쿠미 슈가 슬럼프에 빠져 역전재판 팀에서 스스로 하차하게 만든 시리즈 최악의 작품. 가장 대차게 까인 말도 안 되는 게임 시스템과 실패한 세대교체, 개연성 없는 막장 스토리, 주인공억지스러운 능력과 공기 비중, 스토리와 전혀 관계없는 뜬금없는 출생의 비밀(...)사실 넌 내 아들이다! 등 까일 요소는 넘친다. 이후 역전재판123이 계속해서 재발매되고(나루호도 셀렉션, 트릴로지 등) 다양한 장르(영화, 뮤지컬) 등에서 재조명받는 동안 4편은 그야말로 찬밥 신세였다. 심지어 제작진의 경력에도 역전재판4만 빠져있기도... 거기에 다음 작이 역전재판 5가 아닌 역전검사로 결정되면서 이 작품의 존재 자체를 지워버리려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었다. 이후 정상적으로 5편이 발매되면서 그러한 우려는 줄어들기는 했지만. 5편 이후 보이는 설정회귀 요소들[3]과 나루호도의 비중 상승을 고려하면 제작진들도 확실히 이 작품을 빼도박도 못할 흑역사로 여기는 듯하다.
  • 에닉스 로리타 신드롬 : 유명 게임회사의 에로게 No.1.
  • 에르엘워즈2
  • 에어라이더
  • 와치독 : 그래픽 하향으로 훅 가버린 비운의 게임이다.
  • 요구르팅
  • 용기전승3
  • 용호의 권 외전 : SNK 3편 징크스의 가장 대표적인 게임. 이 작품을 끝으로 용호의 권 시리즈는 명맥이 끊겨버리고 KOF 시리즈에서도 별로 취급이 좋지 못하게 되며, 또한 SNK가 도산한 원인 중의 하나로 뽑힌다.
  • 우당탕탕 대청소 : 로두마니 스튜디오가 제작한 온라인 게임. 그러나 한달만에 서비스 종료.
  • 워크래프트 어드벤쳐 : 어드벤쳐는 개발취소되었으나 이 당시의 설정과 주인공 스랄은 이후 워크래프트 3의 기반이 된다.
  • 원작의 인기에 편승한 각종 짝퉁 캐릭터 게임들 : 링크된 '이미테이션 게임'의 3번 문단으로, 이런 게임들은 보통 당시 유명한 인기 캐릭터(ex.xx몬 등)를 등에 업고 아이들의 '코 묻은 돈'을 긁어모으려는 게임이 많다. 타겟 특성상 대부분이 단순한 횡스크롤 액션 게임이 많다. 물론 아무것도 모르는 순진한 아이들은 이런 게임도 산다.](ex.핸리포트마법사)
    • 아오오니의 소재를 베껴 만든 짝퉁 아오오니 게임들 : 말 그대로 아오오니의 그래픽과 사운드 등을 무단으로 추출해서 RPG 쯔꾸르로 만든 짝퉁 게임들이다. (애초에 아오오니 원본이 RPG 쯔꾸르 XP로 만들어졌기에 가능한 일) 이들 게임이 한국 RPG 쯔꾸르 사이트에 범람하면서 큰 문제가 된 적이 있다.
  • 웜즈 온라인판
  • 이스 2 스페셜 : 각종 답이 안나오는 버그와 원작 설정 왜곡 등으로 엄청나게 까였다.
  • 이스 온라인 : 국내에서는 이름만 이스인 짝퉁 급으로 인식되어(실제로도 거의 그렇지만) 현재 업데이트도 거의 안할 정도로 망했고, 일본에서도 팔콤이 밀어주면서 서비스하였지만 처참하게 망하며 팔콤 주가를 반토막내어 한동안 팔콤 부도 위기설이 돌아다니게 만든 장본인. 다행히도 그 이후 여러 게임의 판매 호조로 다시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 인의 스톰
  • 성룡 - 쿵푸 마스터
  • 전국 캐논 : 사이쿄가 X-nauts에게 인수당하면서 슈팅 제작진들이 몽땅 해고되었고, 그 다음에 나온 물건이다. 게임성은 한마디로 동인게임 이하.
  • 죠죠의 기묘한 모험 게임 시리즈
  • 중국에서 표절한 온라인 게임 중 일부 : 분명히 표절했다는 증거가 명백히 있음에도 몇은 마치 철권 마냥 차별화를 꾀하는 둥 멀쩡하게 계속 운영하고 있다. 흑역사가 된 것들은 그런 치사한 수법을 사용하지 않은 것들이다. 대표적 사례는 동유기 5번 문단 참조.
  • 진삼국무쌍5 PS3버전 : 게임 판매량이 적게 팔리자 PS2와 PSP로 스페셜판이라는 초월이식 확장팩을 역이식해서 발매하면서 PS3버전 게임을 구입한 유저에게 비난을 받게 되었다. 또는 게임 시스템이 새롭게 변경되는 바람에 유저들의 칭찬과 비난을 동시에 받고 있다.
  • 창세기전 시리즈
  • 천년의 신화 ; 바뀐 것 하나 없이 연개소문 인기에 힘입어 재고품 처리하려고 "천년의 신화 - 연개소문"으로 꺼풀만 바꿔서 판매... 낚인 사람이 간혹 존재하는 듯. 다만 게임 자체는 재미있다.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 게임성을 제외하고, 철권 시리즈 (철권 1~6과 철권 태그 토너먼트) 평균 판매량이 450만장이지만 아직 태그 토너먼트 2는 겨우 100만장 조금 넘은 수준에 그쳤다.#
  • 총기사 Cutie☆Bullet : 그림 보고 사는 게임인데 cg 내용이 마흔 개도 안되는 등 심각하게 부실하고, 시나리오도 OME이며, 내부고발 문제까지 겹친 끝에 서브 브랜드의 운영에는 직접 간섭을 안하던 아카베소프트 대표이사 미마스 케이가 사죄방송까지 하고 브랜드를 해산시키에 이르렀다. 상세사항은 해당 문서 참조.
  • 칠러 - 현재까지 나온 전 세계 게임 중에서 가장 잔인한 게임. 얼마나 잔인한 지 영국에서는 게임 자체가 제명까지 당했다. 해당 문서 참고.
  • 카드 파이터즈 시리즈 :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해당 문서를 열람하도록 하자.
  • 카바티나 스토리
  •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 커맨드 앤 컨커 솔 서바이버
    • 커맨드 앤 컨커4 타이베리안 트와일라잇 : RTS 장르에선 혁명적인 시도를 했지만 싱글플레이의 완성도가 떨어져서 별 장점이 보이지 않고 단점만 부각되는중. C&C시리즈의 핵심스토리인 '케인'의 마지막 스토리가 불과 17개의 미션(튜토리얼 빼면 14개. 양쪽 진영 7개씩이다) 으로 이루어져 있다. 거기에다 멀티플레이 레벨 언락 시스템이 싱글 미션 플레이시에도 연동되어서 멀티를 안뛰고 오면 싱글에서도 해금되지 않는 유닛들이 많다는 병크가 생겨 싱글 난이도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싱글플레이를 해도 레벨이 오르긴 하지만, 많이는 안오른다). 사실 최악의 평가를 받는것이 게임 웹진들이 싱글플레이 점수를 높게 치는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시리즈 마지막 편 스토리를 이상하게 만든 것이 더 크다는 점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 커맨드 앤 컨커 온라인 : 개발 도중에 취소되면서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의 종말을 고했다.
  • 컴투스의 하청발매 게임들
  • 코에이 단지처의 유혹 : 유명 게임 회사의 에로게 No.2.
  •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디클래시파이드 : 개발기간 고작 6개월, 나사빠진 조작감, 엉망인 게임구성으로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중 최악이다. 또한 북미, 유럽에서 비타 패망의 원인 중 하나. 따지고 보면 비타독점으로 단기간에 만들어 달라고 액티비전에 돈뿌린 소니의 잘못이다.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 전작에 비해 거의 모든면에서 퇴보한 모습을 보였다. 다른 제작사인 트레이아크에서 만든 블옵2의 경우 싱글플레이 캠페인 시작 전 플레이어의 무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로드아웃 시스템,분기점 채택을 통한 멀티엔딩 시스템으로 호평을 받은데 비해 고스트는 그런걸 모조리 없애버려서 제대로 퇴보한 모습을 보였다. 멀티플레이는 난잡하기 짝이 없는 리스폰 시스템(리스폰되자마자 적이 바로 내 뒤에서 리스폰되어서 날 죽이면 무슨 생각이 들까?)과 너무나도 넓어지고 복층구조로 이루어져서 다양한 플레이방식을 죽이고 스텔스를 강요하게 하는 맵 디자인 레알 유령 , 라운드 종료시 줄어든 경험치 획득량 때문에 줄어든 성취감 등 문제점들이 너무나도 많다.특히 PC판의 경우에는 개적화 문제로 멀티 플레이가 하기 어려울 정도로 사람이 없다. 덕분에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사상 최악의 평가를 받았다. 결국 출시 한 지 한 달도 안돼서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최초로 할인판매를 실시했다. 보통 콜옵 시리즈는 가격방어로 유명해서 어지간해서는 할인을 잘 하지 않는데 이번 작은 나온지 한 달도 채 안 돼서 할인판매를 하였다...
  • 퀘이크 3 - 팀 아레나
  • 클럽데이 온라인
  • 클로버나라의 앨리스 PC판 : 버그가 대단히 많았기 때문 "버그나라의 앨리스" 라고 하는 이명까지 얻었다. 다행히도 PS2/PSP판은 버그가 개선되었다.
  • 타임 크라이시스 5 : 개발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했던 4까지와는 달리 스토리가 이상하게 꼬여버리고[4], 바뀐 시스템 역시 부정적 평가를 받으며 일본에서는 평가가 바닥을 기고 있다.
  • 테일즈 시리즈
  • 테트리스 온라인 게임들 : 테트리스 컴퍼니와 법무법인 대유의 소송드립으로 망했어요. 다만, 한게임에서 서비스되었던 테트리스는 테트리스 컴퍼니와 정식 계약을 맺고 서비스하는 게임이기에 흑역사는 아니다.
  • 텐비
  • 트윈비 RPG : 트윈비 PARADISE 청취자들이면서 슈팅에 약한 사람들을 주 타겟으로 만든 게임이었지만 처참하게 말아먹고, 기나긴 역사를 자랑하던 트윈비 시리즈는 이 작품을 끝으로 명줄이 끊겨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지못미, 그러나 게임 자체는 꽤 재밌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 트윈헥사
  • 파이널 택틱스2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판타시 스타 ZERO
  • 팔콤 여대생 프라이빗 : 유명 게임 회사의 에로게 No.3.
  • 페르시아의 왕자 3D
  • 풀애니 : 리프의 명성을 제대로 먹칠한 마작게임.
  • 프로젝트 혼 : 엔시소프트의 기대작이었으나 개발팀 팀장이 개발비를 횡령하면서 개발이 중단됐다.
  • 프린세스 메이커 4 구작(다이도우지 카렌) 버전[5]
  • 프린세스 메이커 5 PSP버전 : 게임 밸런스밸런스 붕괴막장으로 수정하는 바람에 음성삭제된 버그 밸런스 수정판 디자인을 2번이나 다시 그려서 유통해서 팔아야 했다. 그 결과 버그 밸런스 수정판 디자인 확인 문제 때문에 중고 구입이 어려워진 게임이 되었다.
  • 피아캐롯에 어서오세요! 시리즈 : G.O는 아까운 점이 많았기 때문 흑역사라고 판단하는 것은 미묘한 작품이었지만, G.P는 시리즈의 분위기를 전혀 느낄 수가 없는 완성도로 시리즈를 멸망으로 이끈 원흉이 되었다. 4도 낮은 완성도로 비난을 받고 XBOX360판은 쓰레기 게임 취급을 받을 만큼 평가가 나쁘다.
  • 합팩
  • 화이트데이: 학교라는 이름의 미궁  : 게임 자체는 호평이었지만 판매량은 3만여 장인데, 패치 다운로드 수가 10만이 넘어버렸다. 손노리가 불법이용자의 패치를 막는 수단을 이용하자, 불법 이용자들이 불매운동을 벌이는 해프닝도 있었다. 이 사례는 이후 게임관련 기사에서 불법복제를 언급할 때 자주 언급되곤 한다. # 작품성은 문제없었는데 불법복제 탓에 흑역사가 된 불행한 사례. 이후로, 손노리는 신작 패키지게임을 접게 되었다. 게다가 잡지의 번들로 많이 나와 더 흑역사. 그나마 불행 중 다행으로 적자가 되지는 않아서 아직 살아있다. 그리고 2015년에 리메이크되어 부활했다.
  • 히어로(게임)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3 - HD edtion  : 현재도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 원작과 달리, hd버전은 소스코드 분실을 이유로 확장팩을 완전히 제거한 채 발매하고, 후속 지원조차 좋지 않아 팬덤에서의 엄청난 비난 끝에 결국 몇 달도 못 가 잊혀졌다.
  •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4
  • Air Control : 말이 필요없는 스팀계의 최악의 쓰레기 게임.
  • BEATCRAFT CYCLON : 없데이트의 폐해가 어떤 것인지 보여준 대표적인 작품. 공식 트위터에서도 사과문을 작성하여 누리조이에서도 공식적으로 실패를 인정... 현재 네트워크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BEMANI 시리즈
    • 랩 프릭스
    • 비튼 그루비 (Beat'n Groovy) : 팝픈뮤직을 베이스로 한 XBLA용 리듬 게임이지만 캐릭터의 양키센스화 등의 악평 끝에 사실상 흑역사화.
    • 팝픈뮤직 Wii 버전
    • ee'MALL : e-AMUSEMENT 카드와 연동해서 포인트를 모아서 BEMANI 시리즈의 추가곡과 추가 캐릭터를 구입하는 형태의 미니게임. 결국 e-AMUSEMENT PASS로 시스템이 바뀌면서 서비스를 종료했다.
    • 기타프릭스 & 드럼매니아 V2
    • 기타프릭스 XG3 & 드럼매니아 XG3 : 기타도라 시리즈를 나락으로 빠뜨린 원흉. 안 그래도 초대작부터 가격 문제때문에 기기를 구입하는 업소도 많지 않았고 난이도 문제 때문에 뉴비 유입이 힘들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XG 시리즈를 결국 완전히 침몰시켰고, 그 결과 GITADORA라는 새 시리즈로 개편되면서 시리즈 자체가 운명했다. 이딴 막장 시리즈 만들자고 죽인 V시리즈만 불쌍하게 됐다 역시 KONMAI!
  • Big Rigs: Over the Road Racing(빅 릭스) :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챔피언. 제작사에서 미완성판(!!!)을 그냥 유료로(!!) 시장에 출시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당연히 퀄리티가 끔찍해서 여기다 다 적는 게 부족할 정도. 단, 그러고 나서 일단 패치를 내놓기도 했지만 기본적인 것은 전혀 고쳐놓지 않아서... 패치 이전엔 CPU 트럭이 움직이지 않아서 무조건 이겼지만 패치 후엔 CPU 트럭도 움직인다. 하지만 CPU가 한참 가게 내버려둬도 무조건 플레이어가 이긴다(...). 이건 뭐... 게다가 완성판이라는 것 마저도 처참하기 그지없다... 그런데 몇년 뒤에 크레이지버스가 세상에 알려져서 재평가를 받았다.
  • BN1944 : 2013년에 나온 FPS게임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형편없는 수준의 괴작이며, 유저는 안중에도 없는 게임사의 막장 운영으로 몇 안 되는 유저들마저 하나둘씩 등을 돌려 매우 저조한 동시접속자수를 자랑했다(...). 2013년 7월 28일부터 오픈베타 서비스가 시작됐음에도 약 9개월간 정식 오픈조차 못한 채 2014년 4월 25일 게임 서비스가 종료됐다. 전작 투워를 즐기던 유저들의 향수만 자극한 시체팔이 게임이기도 하다. 9개월간 게임 서비스가 이뤄졌기 때문에 유저들이 그럭저럭 있었다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OBT 개시 후 2달이 지난 2013년 10월부터 일평균 동시접속자수가 30명을 넘기지 못했으며, 그나마 이것마저도 세월을 거듭하면서 점점 줄어들었고, 결국 2014년 4월 25일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여러모로 2013/2014년 최악의 국산 FPS게임이라 할 수 있다.
  • CD-i로 발매된 젤다의 전설 : 닌빠에 젤다빠인 AVGN 마저 사정없이 까버린 괴작. 다만 유튜브 에서는 거의 필수요소 급 인기를 자랑한다.
  • code_18 : 인피니티 시리즈로부터 퇴출당한 12RIVEN보다 나쁜 평가가 속출해서 시리즈 정통후속 작인데도 망해버렸다. 시리즈 숨통을 끊어버린 작품. 동시기에 발매된 같은 시리즈 작품인 Dunamis15는 시리즈 독립을 선언하고 인피니티 시리즈에서 나가버렸다.
  • CrazyBus(크레이지버스) : 태생부터가 테스트용으로 그 어떤 쓰레기 게임조차도 범접할수 없는 쓰레기 게임계의 끝판왕.
  • DJMAX FEVER : 개발사가 패치를 제대로 해주지 않아서 흑역사가 되었다. 후속격인 DJMAX Portable Hot Tunes에서는 문제점이 일부 개선되기도 했다.
  • EZ2AC : EVOLVE (Ver 1.0) : 출시되자마자 심각한 버그가 창궐하였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크레딧 증발 버그로, 당시에는 정상적인 게임 플레이가 불가능한 수준이었다. 결국 출시 4일만에 1.2a 버전으로 패치가 진행되었다.
  • EZ2DJ 4th iPhone Edition : 게임의 내용뿐만 아니라 제작사 자체의 문제도 있어 흑역사가 된 희대의 병작. 터치믹스 2의 건반 모드로 EZ2DJ 시리즈/EZ2ON의 곡을 플레이하는 것이 훨씬 좋다.[6]
  • EZ2DJ 7thTRAX BONUS EDITION : 개발기간이 3주밖에 안됐었기 때문에 퀄리티는 처참할 수밖에 없었다.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로 리뉴얼판이 나오기는 했지만...
  • EZ2ON : 한 번 망하고 2013년에 다시 서비스를 하였으나 망한 시절의 UI를 그대로 갖고 왔을 뿐만 아니라 악랄한 곡 가격과 키 인식에 사람들이 다 떨어져 나갔다. 그것과 비슷한 게 지금 EA 게임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 F.E.A.R. 시리즈
  • FIFA 10 XBOX 360 정발판 : FIFA 시리즈 비한글화의 원흉. 유독 이 버전만 감독 모드에서 버그가 터지는 문제가 있었다. 허나 EA 코리아는 한글화 과정에서 발생한 버그를 이유로 패치를 거부하였고, 아예 다음 버전부터 한글화가 안 되고 있다. 도와줘요 CFK
  • FIST
  • Hatred : 게임의 폭력성으로 인한 수많은 어그로와 트롤링으로 인해 결국 망했어요.
  • NBA 라이브 : 예전부터 지속적으로 NBA 2K에게 밀렸고, NBA 엘리트로 새출발하려는 11버전부터 데모 영상에서조차 쿠소게 평을 받으며 쓰레기 게임화가 진행. 개발 중단 및 발매 취소가 줄줄이 이어졌고, 새 엔진을 쓰며 오랜만에 내놓은 14조차 만점의 반도 못 받는 평가를 받았다.
  • NEW 러브 플러스 : 몇차례 발매 연기가 있었던 게임인데, 막상 출시되고 나니 엄청날 정도로 버그 투성이였다. 코나미는 이와 관련된 불만을 계속 회피하다가 결국 출시 1달도 안되어 덤핑 판매하는 굴욕을 감수해야 했고, 2012년 3월 13일에 결국 공식 사과문을 올리며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뉴 버그플러스
  • RPG 쯔꾸르 2003(일본 한정) : 발매 당시 게임 진행이 불가능할 정도로 심각한 버그로 인해(예를 들어 적이 하나밖에 없는데 전체공격기를 쓰면 튕긴다든가...) 엄청나게 욕을 먹었고, 이후 패치가 배포되었지만 인식을 바꾸지 못하고 전작인 2000이 현재도 판매가 되고 있는 것에 비해 일찍 판매가 중단되어 버렸으며 공식 홈페이지 소개란에도 '기타'란에 가야 관련 소개가 존재한다. 다만 정발이 되지 않았으며 이미 패치가 된 버전이 인터넷으로 널리 배포되고 있는(...) 한국에서는 별로 상관없는 얘기. 오히려 쯔꾸르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SNK VS CAPCOM SVC CHAOS : 시스템을 괴상하게 만들어서 스트리트 파이터도 KOF도 아닌 게임이 되어버려 SNK와 CAPCOM팬들 사이엔 쿠소게 취급을 받았다.
  • Warhammer 40,000 : Dawn of War - Soulstorm  : 쓸데 없는 공중유닛, 밥 말아먹은 밸런스, 속출하는 버그의 삼신기와 결정적으로 곧이어 나온 DOW2로 인해 흑역사화. 물론 DOW2가 구리다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소울스톰을 기반으로 가히 확장팩 급 모드들이 줄지어 나오면서 아직도 게임 수명이 이어지는 기이한 현상을 보인다. 한마디로 모드가 게임을 살렸다. 자세한건 해당 문서 참고 본격 본편보다 더 좋은 모드
  • 그 밖의 쓰레기 게임 : 하지만 쓰레기 게임이라고 해서 모두가 흑역사인 것은 아니다. 데스크림존홍콩 97이 대표적인 경우인데, 데스크림존은 워낙 쓰레기라 그 입지를 널리 알려 흥행에 성공했고(…), 오히려 그 후속작이 더 멀쩡해서 흑역사. 홍콩 97은 게임 자체의 괴악함으로 이루어진 오컬트한 인기와 9진법이라는 특이한 점수 표기법으로 유명해진 사례가 되었다.
  • 서비스가 종료된 온라인 게임 : 그 중엔 외국에선 성공했으나 유독 우리나라에서만 망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 다음 폰게임

1.1 하위 문서

2 게임기 & 게임 기판

2.1 게임기

  • 3DO
  • 각종 짝퉁 모방 게임기 : 게임기 디자인만 자체가 똑같거나 비슷한 디자인 게임기를 만든 사실을 인정하는 흑역사이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게임성의 경우 실행할 수 있는 게임들이 모두 에뮬레이터 게임이나 간단히 즐길 수 있는 오리지날 게임들이고, 또 2D 쿠소게 소프트웨어도 유통해서 팔기도 한다.
  • 기즈몬도
  • 네오지오 포켓 : SNK 부도 원인 가운데 하나. 하지만 조작감만큼은 매우 뛰어나다.
  • 닌텐도 게임기 및 주변기기
  • 대원미디어에서 발매한 모든 게임기 : 우리나라 공식 게임잡지인 게이머즈에서조차도 대놓고 흑역사라고 언급했다. 현재의 닌텐도에 있어 그야말로 흑역사. 자세한 것은 대원게임/2007년 이전 문서 참조.
  • 소니 게임기
    • PS3SIXAXIS
    • PSP GO  : 사실 휴대성을 극대화 하고, 게임 일시정지 기능의 추가 등 기기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게임을 PSN을 거치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판매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UMD와 크게 다름 없는 가격, UMD 발매속도에 한참 못미치는 더딘 PSN 업데이트 등, 소니의 병맛 운영에 의해 흑역사가 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얻은 별명이 쓰레기통 GO(...). 일부 유저들은 PMP용도로 쓰면 상당히 괜찮은 기기라고 하지만. 그럴바엔 PMP를 사지
    • PSX : 완전히 흑역사는 아닌 것이 이 기능에 있는 XMB가 여기서부터 시작되었다. 일본에만 출시되었으며 소프트웨어는 흑역사가 아니지만, 하드웨어는 완전히 흑역사인데 PS2에 추가된 것이라면 하드디스크의 기본용량이 250/500GB로, 듀얼쇼크는 따로 사야하지만, 크게 다른 특징도 없는데 핵심적으로 가격이 8만엔이 넘었다... 시대를 너무 앞서가다가 망한 사례.
  • 슈퍼 32X(AVGN이 언급) : 북미에서 높은 인기를 끌던 메가드라이브의 수명을 어떻게든 끌어모으려고 했던 애드온 기기. 결국 너무 복잡해진 구조가 되었고 망했다. 더더욱 안습한 것은 후속기기인 세가 새턴은 북미에선 더욱 처참하게 망했다는 것.(새턴이 흥한 나라는 일본뿐이다.)
  • 아타리 2600 이후의 아타리 게임기들 : 아타리 5200아타리 7800은 아타리 쇼크로 망하고, 아타리 링스아타리 재규어는 처참하게 망하고, 재규어의 후속기기로 아타리 재규어 2을 발매하려고 했지만 재규어의 실패로 무산되었다.
  • 애플 피핀 : 최초로 모뎀을 장착한 게임기라는 타이틀이 있지만 그럼 뭐해. 완전히 망했는데...
  • 원더스완 : 완전한 흑역사라고 볼 수는 없는 것이, 디지몬 시리즈에서만은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 Mi Wii와 후속작인 동현이의 퍼니박스
  • PC-FX
  • 엑스티바 : DVD플레이어다. 해당항목 챰조.

2.2 게임 기판

  • 코나미 버블 시스템 : 끔찍한 내구도에다가, 발매된 게임은 단 4개 뿐. 이후에 EPROM으로 갈아탔다. 해당 문서 참조. 다만, 저 네개 가운데 가 대히트를 친 덕에, 흑역사에 넣어도 될는지는 각자 판단하자.
  • 하이퍼 네오지오 64 : 원래 3D 그래픽 지원 예정이 없던 기판에 무리하게 3D 그래픽 기능을 넣어서 망한 케이스. SNK 부도 원인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더군다나 해당 기판으로 출시된 게임들은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CPS3의 게임들과는 다르게 하나같이 망했다.
  • CPS3 : 어찌꼭 3D가 대세였던데다가, 기판의 내구성이 나빠서 일찍이 외면 받아, 결국 출시된 게임은 캡콤에서 만든 거 밖에 몇개 없다. 그래도 게임성은 괞찮다.

3 스테이지나 던전, 혹은 필드

  • 동방비상천눈 덮인 백옥루 정원 스테이지 : 스테이지 전체에 눈이 덮인 관계로 모든 것이 하얀 세상(...)이 된 것까지는 좋은데 눈에 극심한 피로를 주고 탄막이 잘 안보이며 심지어는 캐릭터까지 안보이는 사태가 겹쳐(특히 날씨가 짙은 안개나 물안개일 경우 미친다.) 대개의 대회에서는 금지 스테이지 지정, 결국 동방비상천칙에서는 밤 배경으로 바뀌어 등장하였다.
  • 던전 앤 파이터의 60레벨 이상의 던전의 히어로즈 난이도  : 던파혁신 업데이트로 삭제되었으며, 히어로즈 난이도에 관련된 모든 퀘스트들도 덩달아 삭제. 그나마 대전이 업데이트로 추가된 스페셜 던전 중 일부에 히어로즈 모드의 일부 요소들이 사용되었다.
  • 블레이드 앤 소울강류시 : 2013년 백청산맥 업데이트에는 "이제껏 게임 역사상 보지 못한 대도시."라고 그렇게 광고해놓고는 랙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자 1년 지나서 존재 말소 후 리부트 단행으로 규모 대폭 축소.
  • 짝퉁 맵 파이트 오브 캐릭터즈 및 이를 또 해킹/모방한 8.2~8.5버전 맵과 블리치 맥스 : 해외 맵의 지형및 시스템 구조를 그대로 썼다.
  • 슬레이어드래곤이 만든 카운터 스트라이크: 소스의 좀비탈출 맵 ze_FFXII_Westersand의 초기버전 : 무수한 섭폭과 중국산, 토나오는 보스들의 피통, 파이프 구간의 악랄함 등 온갖 괴랄한 요소가 총 집합된 그의 흑역사이다.

4 게임 캐릭터[7]

5 그 외 게임 내외적 요소

  • 8~90년대 한국 아케이드 게임장 업주들의 게임 타이틀 엉터리 개명
  • 다크 에이지 오브 카멜롯 한국 서버. 자세한 것은 다옥 프리서버 사건 참조.
  • 던전 앤 파이터여성 마법사 2차 각성 일러스트: 前 일러스트레이터 Ake가 스스로 자청하여 일러스트 작업을 하였지만, 태만한 태도로 작업을 하였으며 퀄리티도 시간에 비해 좋다고 할 정도는 아닌 데다가 귀를 틀어막은 채 유저들의 비판을 듣지 않으려고 한 탓에 욕을 무더기로 얻어먹었다. 자세한 건 마법사(던전 앤 파이터)/여자/논란 문서 참조. 결투장 패치 이미지에서 2차 각성이 있는 캐릭터 중 유일하게 1차 각성 일러스트가 등장하면서 흑역사 확정. 이후 Ake는 퇴사하고 2015년 10월 29일에는 아예 일러스트 자체가 변경되었다.
  • 데드 스페이스ADS캐논 : 해외에는 ASTEROIDS라고 알려져 있다.
  • 데스 랠리 iOS용의 마라톤 : iOS용으로 이식된 데스 랠리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컨셉의 경주들이 선택 미션으로 나오게 했다. 그 중 하나인 마라톤의 경우 농담이 아니고 42바퀴(...)를 무기도 없이 쉬지 않고 돌아야 한다.(참고로 다른 경주의 경우는 3바퀴만 돌면 됨) 말 그대로 제니 톰슨의 마라톤 자동차 버전. 결국 그냥 아카이브 점수 딴 다음에는 안 하게 된다.
  • 동방 프로젝트
  • 둠/WAD와 모드중 하나인 UAC Labs : 콜럼바인 고교 총기난사 사건의 범인이 만든 WAD라 완성도에 관계없이 둠 모딩업계에 끼친 영향은 카우치 방송사고급에 가까웠으며, 지금도 둠 모딩업계 사상 최악의 흑역사로 회자되고 있다.
  • 디아블로 3의 막장운영 : 거지같은 운영으로 가능성이 있던 게임을 유료 베타 테스트로 내놓은 격이 되었고 유저들이 블리자드에게 등을 걸리고 집단으로 소송이 줄을 잇게 되었다. 블리자드 본인들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군단의 심장을 개발할 때는 이를 참고하여 더욱 완성도 있게 개발하겠다고 할 정도.
  • 로스트 인 블루2낚시 : 전작에서는 지렁이와 조작 실력만 있으면 모든 어류를 잡을 수 있는 것이 문제가 되어서 2에서는 자동 낚시로 바꾸었다. 그러나 이 기능으로 낚을 때의 확률은 엄청나게 낮아서 해당 지역의 해당 루어를 다 소모하기 전에 해당 지역의 해당 어류 낚을 시간이 다 지나가 버린다. 참고로 루어를 만들려면 뱀장어를 잡아야 하는데 낚시로는 이미 환상적이고 작살로는 그보다 나은 편이지만 엄청 힘들어서 이 게임의 낚시는 사람을 낚는 낚시가 되었다.
  •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기타프릭스 XG3 & 드럼매니아 XG3의 1차 로케테스트판의 시스템 : 유비트의 시스템을 대량도입해서 기존의 유저들로부터 심한 반발을 받았다. 결국 2차 로케테스트 이후의 버전에서는 원래의 시스템에 되돌아갔다. 그런데 매칭기능은 두 게임 다 정식발매 이후에도 자동 실행 되었다는게 문제였지만(...) 비마니 시리즈 만악의 근원 유비트
  • 무쌍 오로치 2의 테크닉 타입의 스텝 : 전국무쌍 처럼 구르기을 하는데. 조작법이 어렵고 공격하는 중에서 발동을 못한다.덤으로 스텝 직후의 대시 공격은 대시 공격이 좋은 애들만 제외하면 킹잉여이다. 원더 타입의 영기는 일단 쓸만한데...풍속성을 장착하면(풍속성은 가드을 꺨게 해주는 속성)그다지 쓰이지 않는다.
  • 블레이드 앤 소울백청산맥 스토리 리부트 : 잘 만들어 놓은 맵과 스토리를 중국 정부와 중국 유저들 입맛에 맞춘답시고 중국판으로 다 뜯어 고쳐 버렸다. 그 결과는 안드로메다로 날아가는 등장 인물들의 개연성과 몰개성하고 식상한 클리셰로 점철된 스토리.
  • 서든어택의 수많은 표절 흔적들 : 사실 서든어택에 대한 표절논란이 많이 있었지만 비디오게임 포탈표절의혹으로 네티즌들에게 대대적으로 까였다(...) 물론 해당 맵이 검토중인 상태고 밸브에서 넥슨에게 고소한다는 루머도 나돌았지만 그것은 어떤 스팀유저가 스팀에게 보낸 문의내용으로 밸브스팀입장과는 무관하다는게 밝혀졌다.
  • 스타크래프트 일본어 더빙  : 당시 녹음된 성우들은 꽤나 화려했지만 패치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배틀넷도 불가능하면서 결국 일본에서 블리자드의 이미지를 시궁창으로 만든 결정적인 원흉.
  • 심시티의 서버 운영
  • 유비트 소서/교체곡 정책 : 이전에 없던 새로운 정책이라고 들고 나왔지만... 해당 문서 참조. 결국 후속작인 유비트 소서 풀필에서는 폐지되었다.
  • 이코의 북미판 표지
  • 조커나라의 앨리스의 인터넷 인증 시스템
  • 철권 태그 토너먼트 2리리 로슈포르 더빙 : 프랑스 인이 더빙했는데 전세계인들에게 "목소리가 안어울린다."며 까이고 있으며 심지어 자국 사람들에게도 좋은 평을 못 받고 있다.
  • 케츠이의 공략 DVD : 당시 DVD의 담당 플레이어로 섭외된 수수께끼의 신인 タートナックTAC서스가 공략 DVD의 스코어를 아르카디아의 하이스코어 집계에다 신청하면서 뒷통수를 제대로 날리는 바람에 흑역사가 되었다. 공략 DVD 자체야 결국 INH에서 발매하긴 했지만 플레이어는 전부 교체된 것을 보면 TAC서스판 공략 DVD는 흑역사로 전락했다.
  • 코즈믹 브레이크의 윈디존 서비스 시절 시스템 : 사이버스텝에서 새로 서비스하며 그냥 잊혀졌다.
    • 백분율로 표시되는 로봇 내구도 시스템
    • 지금과는 다른 캐릭터들
    • 시스템의 번역명들과 NPC의 배치 및 이야기 내용
  • 포켓몬스터의 특성소음 : 3세대 베타 시절에 폭음룡의 전용 특성으로 등장했지만 정식 버전에서는 사장. 이후 버전에서는 아예 존재 자체가 흑역사가 되어버렸다.
  • 포트리스2
    • 궤도 예측 아이템
    • 레드 리뉴얼 : 말이 리뉴얼이지 그냥 주말 업데이트 수준. 일단 디자인에서부터 색상이 유저들 눈에 맞지 않아 불편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인 등 불만 투성이인데다가, 모바일망과 PC망이 제대로 호환이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PC-모바일 연동이라는걸 강행해 이전 블루 시절의 렉도 해결하지 못한 상태에서 없던 렉까지 만들어낸 희대의 졸작 패치.
  • 하프 라이프의 한국어 더빙 : 국어책 읽기식 더빙의 결정체. 대표적 사례로는 장비를 정지합니다가 있다. 게임 내용은 진지한데, 하는 내내 더빙으로 웃음을 버틸수가 없다!
  • 화이트 앨범 2의 그림체 : 나카무라 타케시가 흑심을 품었는지 작붕이 많다. 한때 잘나가던 원화가였건만... 스토리 등의 다른 부분에서는 좋은 평을 받았기에 게임 자체는 흑역사가 아니다.
  • beatmania IIDX 10th style의 단위인정 8단
  • DJMAX TECHNIKA 2Duo Mixing
  • EZ2DJ 시리즈
    • EZ2DJ 3rdTRAX ~Absolute Pitch~의 수록곡 Y-GateBGA : 이에 대해서는 Y-Gate 문서의 BGA 문단을 참조. EZ2DJ 7thTRAX BONUS EDITION revision A에서는 7키 라디오의 Sound Addict채널 한정으로 부활.
    • EZ2DJ 6thTRAX ~Self Evolution~의 버추얼 배틀 (Virtual Battle) 시스템 : 물론 아이디어는 신선했지만 기계 사양을 무시한 채로 수록이 되어버린 탓에 별의 별 병크가 발생, 대차게 까였다.
    • SELF EVOLUTION 해금 시스템 : 표절 문제도 있고 글자 중 U자의 해금 조건이 달성 불가능한 조건이었기 때문. 덕분에 기계를 만지거나[10] 버그로 스킵시키는[11] 편법이 성행했다.
    • EZ2DJ 7thTRAX ~Resistance~의 막장 BGA들 : 짧은 개발 기간이 원인으로 기존 곡의 BGA의 재사용[12]뿐만 아니라 같은 소재를 색만 바꾸어서 다수의 곡으로 사용할 것도 있었다. 중에는 그림을 1~2장 대충 집어넣은 성의없는 BGA도 존재한다. EZ2ON에서는 BGA가 변경된 곡들도 많고 7th 2.0이후의 버전에서는 범용 BGA로 변경된 곡들도 있다. 그리고 EZ2DJ : AZURE EXPRESSION에서는 7th 1.0곡이 판권문제로 모두 삭제되어서 사실상 흑역사화.
    • EZ2DJ 7thTRAX CLASS R ~CODENAME:VIOLET~의 네티라인 스튜디오가 제작한 신곡들 : Akasha, Dragon Hunter?, Step in the Dayz, For The Top의 4곡. 아케이드용 리듬 게임의 곡으로서는 저질인 퀄리티를 자랑하고 결국 EZ2DJ : AZURE EXPRESSION에서 모두 삭제되었다.[13] EZ2AC NT 1.45에서 CV2 모드 한정으로 부활.
    • 3.0x버전의 패스워드 시스템 : 패스워드 공식이 뚫려서[14] 누구나 포인트를 많이 모아야만 플레이할 수 있는 해금곡과 해금채널들을 플레이하게 되었고, 조작한 패스워드로는 버그까지 생겨서 게임이 오작동하는 바람에 결국 3.1 패치에서 패스워드 시스템이 폐지되었다.
    • 음파공격 버그 : 정식 요소가 아니라 버그이기 때문에 취소선 처리. EV 1.3c에서 운영체제를 Windows XP로 바꾸면서 해당 버그가 사라졌기 때문에 흑역사화.
    • MSCF : 위와 마찬가지.
  • NHL 16의 커버 아트 초판. 모델이었던 패트릭 케인이 성추문 혐의에 걸려 흑역사.
  • X2game 프리샤드 사건
  • Games for Windows

6 TCG 관련

  • 매직 더 개더링의 Homelands 판본 : 좋은 카드가 없는 것 뿐 아니라, 같은 카드를 일러스트를 다르게 해서 카드 숫자를 늘려서 실질적인 카드 숫자는 굉장히 적으며, 본래 이 판본이 Ice Age 블럭의 2번째 판본이었는데 이 판본은 나중에 Ice Age에서 밀려나고 한참 뒤 2006년에 Coldsnap이라는 Ice Age의 3번째 판본이 등장해서 이 판본은 매직 더 개더링에서 흑역사가 됨.
  • 유희왕/OCG
    • 야타 까마귀 : 유희왕 OCG 역사상 최초로 금지되어 여태껏 금지가 풀리지 않은 카드 중 하나로, 일본 유희왕 위키에서 조차 유희왕 OCG 사상 최흉의 카드들 중 하나라고 서술하고 있다. 특히 에라타 이전의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과의 조합은 지금까지도 두고두고 회자되는 흉악 콤보 중 하나이다.
    • 왕궁의 칙명 : 야타 까마귀와 함께 유희왕 역사상 최초로 금지카드가 된후에 현재까지 금지에서 풀린적이 없는 카드이다. 안습
    • 부스터팩 혼돈을 제어하는 자(306)의 발매 이후 3기 시절 : 유희왕 OCG역사중에서도 최악의 암흑기로 꼽히는 시기. 혼돈을 제어하는 자에서 카오스시리즈가 등장하고, 이들을 투입한 덱이나, 선턴킬을 할 수 있는 덱들(예:사이엔카타파)이 우승덱을 장악해버린 헬게이트였다 평가받는다. 참고로 이때는 금지카드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펙트 뵐러나 신의 경고 등 메타카드도 상당히 부족했던 시기였다는 걸 감안하면 더더욱.
    • 마도서의 신판 : 발매된지 197일만에 금지를 먹은 카드로, 유희왕 최단기간 금지기록 중 하나이다. 다크 다이브 봄버,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꼬마 정룡, 발조공모 태엽마이티 등 다른 최단기간 금지기록을 가진 카드들이 금지에서 모두 풀렸으나, 이 카드가 금지 풀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좋다.
    • 정룡 : 해당 문서 참고. 인간의 창의성의 끝을 보여준, 유희왕 뿐만 아니라 TCG 전체를 통틀어도 찾아보기 힘든 최흉의 전투 덱.
    • EMEm : 이 덱의 주력카드인 Em 히구루미EM 멍키보드가 둘다 발매된지 167일만에 금지, 현재 최단속 금지 타이 기록을 자랑하고 있다. 이미 이 시점에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그외의 각종 금지 카드들 : 이 중에는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에라타 이전)처럼 너무 강해서 흑역사가 된 카드도 있지만 활용도가 너무 사기이며 이걸로 인해 악용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원래는 무제한 또는 제한 카드가 금지로 된 경우가 있다. 암튼 이 카드들은 공식 듀얼에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존재 자체가 흑역사다.
  • 던전 앤 파이터 TCG : 하필이면 네오플이 넥슨에게 합병되면서 넥슨의 메이플스토리 TCG 띄워주기 정책 때문에 던전 앤 파이터 TCG는 회사 내에서는 이미 공중분해된 상태. 네오플이 공식적으로 "망했어요"라는 의미의 공지를 올렸다.
  • 하스스톤의 정화
  • 국내 정발판 건담워

7 사건, 시기

  • 각종 게임규제.
  • 그라나도 에스파다에서 있었던 노토리우스당 사건 : 대한민국 온라인 게임 역사상 가장 대규모의 운영진 개입이 있었던 사건이자 관련 사건 중 최초로 언론 보도까지 된 최악의 흑역사이다. 언론 보도 기준으로는 그라나도 사건이라고 불렸다.
  • 그리스의 컴퓨터 게임 금지법 : 컴퓨터 게임을 아예 법적으로 금지했던 시기가 있었으며, EU의 계속된 제재로 인해 현재는 풀린 상태다.
  • SAMP 모드메이커 폭행사건  : 옛날 서버 주인이 모드메이커를 폭행 , 협박한 사건
  • 내맘대로Z9별의 캐릭캐릭체인지 이벤트 : 일단 커플천국 솔로지옥 이벤트는 두번째 치고, 이 이벤트가 아예 저연령층 여성 유저를 노린듯해서 기껏 모아두었던 티아라 팬과 올드유저들은 욕 먹고 다 떠나고 말았다. 이것도 모자라 티아라 팬 한정으로 2년 후에는 이런 사건이 터져버렸고, 캐캐체 주인공인 아무는 천하의 개쌍놈에 등극하는 기염을 토했다.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닌텐도가 다른 게임 표절하던 시절 : 1970년대 후반 인기 있는 게임들을 표절해서 표절당한 회사의 소송드립에도 굴하지 않고 일본 본토에서 성공을 거두었지만 미국으로 수출한 결과 망했어요가 됐다. 이 사건을 계기로 닌텐도는 표절 게임 제작을 그만두고 참신한 게임들을 만들어내게 된다.그나마 이 문서 항목 중에서 결과적으론 좋았던 경우
  • 대전 액션 게임 경쟁 사건 : 1990년도 당시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인기가 지나치게 높아서 대부분의 기업(주로 일본, 미국, 유럽등의 세계 기업들)들이 후속작 대대로 성공하기 위해서 수많은 양산형 대전액션 아케이드 게임들을 개발을 했는데 일부 게임을 제외(인기작의 후속작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 KOF 시리즈등)한 수많은 최신 게임이 인기도에 밀려서 망했다. 게다가 이번 사건으로 오락실 동전 게임 사업의 경우 게임기 교체이상한 대전액션게임기를 수입하는 문제로 인한 큰 피해를 입었다.
  • 던전 앤 파이터
    • 민수 이벤트 : 사람 이름갖고 장난 친 이벤트. 이런 병맛같은 이벤트로 엄청나게 까였고, 지금도 회자되고 있는 던전 앤 파이터 최악의 흑역사로 자리잡을 줄 알았으나, 이 보다 더한 핵폭탄급 사건으로 인해 완벽히 묻혔다.
    • 키리의 약속과 믿음 이벤트 : 던전 앤 파이터 사상 최악의 이벤트. 이 이벤트 때문에 동시 접속자수 최상위권이었던 던파가 순식간에 몰락해버렸다. 이 사건의 후폭풍은 사건 이후 몇 년이 지난 뒤로도 여전히 남아있으며, 한 게임의 수명을 통째로 깎아버린 던전 앤 파이터, 아니 한국 온라인 게임 사상 손꼽히는 막장 이벤트로서 길이길이 남을 흑역사.
  • 듀크 뉴켐 포에버의 자비가 없는 12년이 넘는 개발 기간 : 덕분에 듀크 뉴켐 포에버가 개발되는 동안 전 세계에 무슨 일이 있었는가라는 글이 유행을 타기도 했다.
  • 마인크래프트
  • 메이플스토리
  • 번들 CD경쟁시대 : 대한민국 패키지시장을 말아먹는 데 큰 공헌을 한 희대(?)의 병림픽.
  • 밸브 코퍼레이션스팀 모드 유료화 사태
  • 블리자드 인빈테셔널 코스프레 대회 in 한국# : 블리자드 월드 와이드 인빈테셔널에서 개최된 코스프레 축제. 이 대회는 블리자드사의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을 코스프레해서 완성도가 가장 뛰어난 참가자에게 상금을 주는 대회이다. 문제는 한국에서의 참가자들인데, 하라는 WOW코스는 안하고, 이 대회의 룰에서 코스프레만 보고 온 사람들이 참가하면서 전혀 엉뚱한 코스를 선보인 것. 참가자들은 즐거운데, 심사의원들은 똥씹은 표정을 하고 있는 (관계자 측에서)웃지 못할 상황이 되어버렸다.
  • 사운드 볼텍스 부스의 수록곡 퀄리티에 관한 논란 : 이 논란으로 인해 게임 자체를 흑역사로 다루는 유저가 증가했다. 특히 2012년 3월 12일 이후는... 다행히도 이후 퀄리티에 대한 논란은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에서 당선된 양질의 곡들이 수록되면서 논란이 종식되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 리그 오브 레전드/사건사고 문서 참조.
  • 스트리트 파이터 광과민성 간질 사건 : 1992년 당시 패미컴용 해적판 스트리트 파이터를 플레이하던 한 게이머가 간질 발작 사태를 일으킨 사건. 이후 오락실에서 게임 화면을 구경하다 발작을 일으킨 사람이 나타나는 등 제2, 제3의 유사한 사건들이 잇따랐으며, 언론에서는 이를 부정적으로 보도하여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부추기는 계기가 되었다. 광과민성 간질이란 빛을 매개체로 하여 일어나는 간질로, 현란한 빛 등을 장시간 보고 있을 시 나타난다고 한다. 이런 광과민성 간질이 비디오 게임을 오래 하면 잘 일어났기 때문에 오락기 제조업체인 닌텐도의 이름을 따서 닌텐도 증후군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겼다. 자세한건 포켓몬 쇼크 참조. 이후 97년경 해외에서 포켓몬 애니메이션을 보다가 비슷한 증세를 일으킨 어린이가 나타나기도 했으며 훗날 국내에 포켓몬이 방영될 때 문제의 에피소드는 삭제되어 방영되었다. 박재동의 만화(이쪽은 스트리트 파이터 건)나 물리학자는 영화에서 과학을 본다 같은 대중 과학서적에서도 이 사건을 다루었다.
  • 아타리 쇼크
  • 엘소드의 각종 문제점사건 사고 : 일일히 설명하기 곤란하니 해당 문서 참조
    • 엘소드 필드화 : 말이 필요치 않을 엘소드 최악의 흑역사 중 하나. 온갖 버그에 렉이 판치던 때였다. 해당 문서 참조.
    • 스킬트리 개편 이지선다 : 2015년 4월 4일 간담회때 권오당과 제작진의 공식으로 인정한 흑역사 패치. 여름에 폐지될 예정이라 했으며 7월 23일 패치로 폐지되었다. 어지간히도 유저들의 골치를 썩였는지 그 다음으로 나온 스킬 시스템은 유저들이 매우 반기는 중.
    • 로제 캐릭터 출시 : 옆 동네에서 복붙해온 황당한 캐릭터. 이미 시망이었던 엘소드의 스토리와 설정을 다시 한 번 베베 꼬아놓은 것은 물론, 이미 있던 다른 캐릭터들과 설정이나 컨셉이 연달아 충돌하는 바람에 온 엘소드 유저들의 어그로를 끌었던 캐릭터. 그나마 현재는 코그의 의도대로 거의 묻히고 있다지만 엘소드가 그랜드체이스와 같은 전철을 밟게 될지도 모른다는 복선이 아니냐며 유저들을 충격과 공포에 빠트리고 있다. 더 자세한 것은 로제(엘소드)/논란을 참조할 것.
  • 천년 플레이어 사망 사건 : 국내에서 온라인 게임에 열중하다 사망한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천년과 제작사는 물론, 온라인게임 전체가 사회적으로 이미지가 크게 저하되었다.
  • 오버워치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각종 논란들 ; PC판은 전용 서버 없다고 불매 운동 벌이고 있고 한국에서는 미심의 발매 문제가 벌어지고 러시아에서는 민간인 살해 미션이 있다고 전량 회수조치 등등등...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사행성화 :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2014년 5월 15일 이 패치로 인해 카트라이더는 시한부 선고를 받게 되었다. 카트와 캐릭터,펫이 기어라는 랜덤박스로 판매하게 됐으며 착용 아이템은 커플 전용 목록만 남기고 모두 삭제했다. 차의 경우 트랜스포머 카트가 있지만 실질적으론 완전히 게임 자체를 시한부 선고를 받게한 패치.
  • 테일즈위버의 2차 각성
  • 포트리스2의 PC방 유료화 정책 : 국민게임으로 사랑받던 포트리스의 인기를 빠르게 식힌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 AIL게임원화가 리바하라 아키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 : 과거 자사의 작품에 가명으로 출연했던 에로게 성우의 실명과 신작 기획서 등도 같이 유출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EA, 바이오웨어드래곤 에이지 2, 매스 이펙트 3의 각종 논란들 : 드래곤 에이지 2의 때에 누적된 유저들의 분노는 매스 이펙트 3로 폭발하게 된다. End of line에 대표되는 바이오웨어측의 태도도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논란에 관해서는 각 문서들을 참조.
  • Leaf2.14사건
  • PS2 정식발매 이전에 보따리상이 주도했던 비디오게임 암시장 : 일본 대중문화 개방, 서민 CD 참조.
  • The 4th KAC 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 부문 결승전 기자재 사고 : 최종곡으로 콘테스트 당선작인 신곡 Everlasting Message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오류로 2스테이지 곡인 For UltraPlayers가 또 출력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결승전은 2015년 3월 22일 재개됨과 함께 KAC 2012 ULTIMATE MEDLEY -HISTORIA SOUND VOLTEX-도 공개되었다.

8 회사

  • 뉴 월드 컴퓨팅
  • 대원게임/2007년 이전(구 대원미디어/게임사업부) : 한 번도 아니고 세 번이나 이 문서에 기재되어 있다는 건 한국의 닌텐도 팬들이 얼마나 이 회사를 흑역사로 보는 지 알려 준다. 보통 흑역사로 게재되어있는 게임도 이렇게 많이 게재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데이터 이스트
  • 마네기
  • 메가 엔터프라이즈 (포포루를 운영하던 회사) : 메탈슬러그 4 제작에도 관여했다. 돈이 없어서 망한게 아니라 사장이 먹튀해 버렸다.
  • 미드웨이
  • 세중게임박스 : 옛날에 XBOX를 유통했던 회사로 젯 셋 라디오 퓨처와 세가 GT 2002를 정식으로 패키지로 발매하지 않고, 오로지 XBOX의 번들로만 제공해서 이미 XBOX를 가지고 있는 사람도 XBOX를 또 사야 할 수 있게 만든 유명한 사건을 만든 회사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 글을 참조 바람. 세중 파동 원문
  • 액티브 엔터프라이즈 (치타맨으로 유명한 액션 52 시리즈를 만든 게임회사)
  • 어뮤즈월드  : 아래의 쟈레코와 마찬가지로 코나미의 소송드립을 맞고 흔들흔들하다 7th 패치판을 (크게 잡아)3개(1.50, 2.00, Class R CV) 내고 그 후에 도산. 허나 이 쪽은 후신격인 3S Entertainment가 있는지라(정확히는 어뮤즈 자신이 AM테크 시절 때 다른 회사들을 인수합병했던 것처럼 3S에게 인수합병을 당한 것) 흑역사로 보지 않는 시각도 있다.
  • 오렌지 소프트 (머털도사 -백팔요괴편-의 제작사)
  • 인플레이 인터렉티브
  • 자레코 : 리듬 게임 록큰 트레드가 코나미에게 소송드립당하는 바람에... 결국 소송드립으로 인한 배상금을 견디지 못하고 타 회사에 합병.코나미 이 개...
  • 재미나 (한국 게임회사)
  • 초이락 게임즈 : 베르카닉스 문서 참조. 개발하던 게임 자체도 흑역사가 되었을 뿐더러 그 과정에서 회사가 한 짓과 여파가 심각한 막장이다. 사실 이런 일이 게임 업계에서 종종 일어났던 건 사실인데 이건 스케일이 너무 크다. 회사가 다시 재기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이며 게임 개발자 및 지망생들 사이에서 악명이 퍼질 대로 퍼진터라 앞으로 제대로 된 사원을 모집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거기에다 개발에 참여했던 개발진 전원을 쫓아낸 주제에 프로젝트는 유지하면서 기존 리소스를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개드립까지 쳤다. 게임 개발에 대해 아는 사람이라면 실로 어이가 없는 지경.
  • 캔디 소프트 (진 여신전생 3 녹턴 매니악스 한글판의 유통사)
  • 컴파일 : 그래도 뿌요뿌요세가에서 계속 판매하고 있지만 이들이 저지른 방만한 경영은 흑역사로 까도 부족함이 없다. 특히 사장의 병x같은 회사운영.
  • 타이토  : 스퀘어 에닉스에 인수되었으며, 2010년 구조조정으로 콘솔게임 사업은 완전히 날아가 버렸으며 오락실게임 산업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리즈 시절 일본이 비디오 게임의 주도권을 잡게 만든 회사 치고는 너무나도 처참한 말로다...
  • 테크모 : 코에이와 인수합병 후 2010년 2월 25일 모든 권리를 코에이 측에 전부 넘겼기 때문에 흑역사가 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다.
  • 토아플랜
  • 펜타비전
  • 허드슨
  • 효성 : 랜드매스 등으로 게임사업에 진출했지만 말아먹고 게임사업을 접었다.
  • LJN : 다만 이쪽도 후신격인 THQ가 있는지라... 엄밀히 따지자면 개발사가 아닌 유통사이다.
  • NMK
  • YONG YONG
  • 타이거 일렉트로닉스
  • 그 외 망했어요가 되어버린 회사들
  • 주식 시장에서 1주당 주가가 1000원 미만인 회사.

9 인물

  • 나츠메로와 원화가 시로의 해당 작품 참가 경력
  • 마비노기의 C2 팀장 인플레임즈 : 유저와 개발자 모두가 인정한 흑역사. 현재 마비노기 메인스트림에서 커버칠 수 없는 거대한 똥을 싸버리고 켈트신화에 ㅋ자도 관계없는 이리아를 추가해서 마비노기를 고사양 게임으로 만든 장본인이다. 마비노기는 인플레임즈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거대한 업적을 남겼다. 덧붙여 허스키 익스프레스의 팀장을 맡게 되었는데...서비스 종료. 그 이후 아예 존재 자체를 감추고 말았다.
  • KOF 플레이어 아르고[16] 루리웹 다중이 사건

10 한글화팀

  • 도시전설
  • 그 외 활동중단/해체된 모든 한패팀 : 제대로 활동하는 팀은 2011년 기준으로 팀 에페드린, 팀 산들바람, 팀 우타마루 정도이다.(중대형/유명 팀 기준) 나머지는 동인게임 제작팀 or 단순 커뮤니티로 전환한 상태.

11 e스포츠

흑역사/목록/e스포츠 문서 참조.

  1. 데이트 온라인 프리뷰+사전 체험기, 미연시 ‘데이트 온라인’ 홈페이지 오픈
  2. 2편의 경우 아직 ESRB가 설립되기 전에 발매되어서 미국 닌텐도가 자체적으로 17세 이상 전용이라는 딱지를 붙였고, ESRB가 설립된 이후 발매된 3편부터는 본격적으로 M 등급을 받기 시작한다.
  3. 나루호도의 복귀 및 4편 이전으로의 성격변화, 아카네의 과학수사관 합격, 미츠루기, 야하리, 마요이 등 구 인물의 재등장
  4. 이는 제작 감독이 바뀐 탓이 크다.
  5. 일러스트레이터이자 기획자인 아카이 타카미의 사정으로 아예 일러스트랑 시스템을 갈아엎었다.
  6. 해당 게임은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7. RTS의 경우 유닛, 리듬 게임의 경우 수록곡
  8. 단 완전히 명맥이 끊긴 것은 아니다. 원조 휘케바인 및 휘케바인 계열기는 전부 사라졌지만 테스트용 기체로 사용되던 엑스바인해당 계열기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 일설에는 물안경을 씌워 인상이 달라진 덕에 살아남은 거라 카더라
  9. 정확히는 A의 메인 디렉터이자 액셀 알마라는 캐릭터를 만든 모리즈미 소이치로가 OG2 제작 시점에 타사로 이적해 버려 남은 OG2 제작진들이 독자 해석을 통해 만든 스토리라 이 사단이 난 것. OGs의 제작 당시는 모리즈미가 OGs 제작에 협력해 액셀 관련 스토리를 대거 수정한 덕에 지금의 정상적인 캐릭터로 변경되었다.
  10. EZ2DJ 6th는 내부 데이터에 암호화가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쉽게 수정이 가능했다.
  11. 스킵 버그가 발생하면 콤보 0 노트수 0으로 U 조건이 달성된다.
  12. 그 예로 Paradise, Never Feel This Way 등을 들 수 있다.
  13. 이 쪽은 라이센스 만료로 삭제된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삭제한 것이다.
  14. Amunaworld라는 이름의 패스워드 생성기가 존재한다. 3.01버전에서 생성기를 사용한 패스워드를 막아버렸지만(정확히는 DJ NAME을 BA-BO로 띄웠다) 얼마 안돼 Amunaworld 3.01이 나오면서 뚫렸다.
  15. 위의 언리미티드와 함께 메이플스토리의 수명을 단축시켰다.
  16. 전북익산 으로 유명한 그 유저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