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ㄴㄴ을(를) 찾아오셨나요?

옛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모음:
옛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 · ·
기타
HCF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1 개요

ㅥ는 현재는 사라진 옛한글로 그 호칭은 쌍니은 혹은 된니은 혹은 겹니은 등이있다.

옛 문헌에는 매우 드물게 등장하는바, 훈민정음 언해본의 "혓그티웃닛머리예다ᄔᆞ니라(혀끝이 윗잇머리에 닿느니라)"에 그 쓰임이 보인다. '닿-' 어간 말음 /ㅎ/가 평폐쇄음화되어 [ㄷ]가 되고, 이것이 다시 선어말어미 '-ᄂᆞ-'의 'ㄴ'를 만나 [ㄴ]로 비음화되었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한글 윈도우에서 ㅌ한자를 누르면 쓸 수 있다.

2 발음

'ㅥ'의 발음은 /nː/[1]이었던 듯하다. 받침일 경우에 ㄴ을 길게 발음했을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ㄴ 앞에서의) ㄷ 비음화는, 'ᄃᆞᆮ니-[行]'의 이표기인 'ᄃᆞᆫ니-'에서 보이듯 쌍니은을 통해서가 아니라 앞 음절의 종성 ㄴ와 뒤 음절의 초성 ㄴ를 통해 표기되었으며,[2] 그나마도 (표음주의를 택한 중세 표기법답지 않게) ㄷ 어간 말음은 원형을 살려서 표기하는 것이 대세였다고 한다.
  1. 핀란드어에서 annan("내가 주다"라는 의미)에서 nn부분이 해당
  2. 이에 따를 경우 위의 "다ᄔᆞ니라"는 "단ᄂᆞ니라"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