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모음:
옛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 · ·
기타
HCF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목차

설명

한/영 전환을 잘못하면 BL이다.

중세국어: '유이[juj]'를 빠르게 발음한다.
현대국어: '이위[jy~jwi]'를 빠르게 발음한다.

한글 창제 초기에는 글자 모양 그대로 가 합쳐진 삼중모음이었다. 즉 그 소리는 [유이]를 빠르게 읽은 [juj]였다. 하지만 오늘날 'ㅟ'의 소리가 [uj]에서 입술을 ㅜ모양으로 하고 ㅣ를 소리내는 단모음 [y], 혹은 이중모음 [wi]로 바뀌었으므로[1] 만약 'ㆌ'라는 모음을 오늘날에도 쓴다면 그 발음은 [jy][2] 혹은 [jwi]가 될 것이라고 짐작해 볼 수 있다. 한국어 표준어에는 없는 소리이나, 강원도 방언에는 있다(관련 기사).

한편 'ㅟ'를 이중모음 [wi]로 소리내는 경우에 한해, 일부 낱말에서 앞의 반모음 [w]가 [ɥ]로 소리나는 경우가 있다. 경구개 반모음 ([j], [ɥ]) 계열 이중모음을 쓸 때는 재출(再出)의 법을 써서 점을 두 번 찍어 적으므로[3], [wi]의 [w]가 경구개음화된 [ɥi]를 'ㆌ'로 쓰기도 한다. 그러니까 'ㅟ[wi]', 'ㆌ[ɥi]'. 그러나 두 글을 구별하여 쓰는 일은 적으며 지금 쓰는 모음 자모 목록에도 'ㆌ'는 없다.

'ㆌ[ɥi]'를 인정할 경우 반모음 [ɥ]를 표기하는 부분 모음으로서의 'ㅠ'를 인정하는 일이 된다. 이를테면 '사귀-' 어간에 '-어' 어미가 붙은 형태를 구어에서는 '사귀어'가 아닌 '사겨' 와 비슷하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은데, [ɥ]를 표기하는 부분 자모 'ㅠ'를 인정할 경우 '사귀어'의 줄임말은 '사ᄀᆏ[sa.gɥʌ]'로 쓸 수 있다.

근대 국어 화자들은 '잉글리ᄉᆔ' 따위 표기에 이 자모를 썼다. 'English'의 sh는 [ʃ] 발음인데, 한국어에서 ㅅ[s]가 전설 고모음([i, y])이나 경구개 반모음([j], [ɥ]) 앞에서 [ʃ]와 비슷한 [ɕ] 변이음으로 소리나기에 이를 반영한 듯하다. 현대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영어 어말의 [ʃ]를 '시'로 쓰고 있다. 하지만 딱 맞아 떨어지는 건 아니다. 어두, 어중에서는 '슈'.
  1. 표준 발음법에서는 전자를 표준 발음으로, 후자를 허용 발음으로 해 두고 있지만 사실상 후자가 일반적이다.
  2. 독일덴마크에 걸쳐 있는 지방이름인 유틀란트를 현지발음을 각각 풀이하면 위틀란트의 "위", 윌란의 "위" 부분이 해당된다.
  3. 사실 엄밀히 보면 [ɥ]까지 상정한 표기법은 아니고, 'ㅛ, ㅑ, ㅠ, ㅕ'와 같은 [j]계 상향 이중 모음 한정이다. 훈민정음 창제 때는 단모음 [y]도, 이에 평행하는 반모음 [ɥ]도 없었다.